• 제목/요약/키워드: decision making skill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4초

간호사의 팀워크스킬과 의사결정역량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eamwork skill and decision making competency on nursing work performance)

  • 문미영;김미연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5호
    • /
    • pp.1361-1373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사의 팀워크스킬과 의사결정역량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2기관의 대학병원에서 2명 이상이 함께 근무하며 인계를 주고받아 지속적인 연계성 있는 환자의 직 간접 간호를 주 업무로 수행하는 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6년 3월 16일부터 3월 2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1.0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간호사의 팀워크스킬과 의사결정역량 모두가 간호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은 일반적 특성 중 총 임상경력 (${\beta}=.23$, p<.001)과 팀워크스킬 (${\beta}=.61$, p<.001), 의사결정역량 (${\beta}=.13$, p=.015)으로 66%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간호사의 팀워크스킬과 의사결정역량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조직차원의 지원과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항만하역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Stress of Container Termainal Workers)

  • 최은경;김공현;이종태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3-80
    • /
    • 2002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job characteristics of container terminal workers by applying the Job Strain model,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distress. Methods: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to the container terminal workers in Pusan. Among the 200 male worker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s, white-collar workers and blue-collar workers were 100, respectively. Karaseks Job Content Questionnaire was utilized to evaluate the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PWI) was applied to measure the extent of their psychosocial stress. Results: In white-collar workers, the skill discretion, created skill, decision-making authority, decision-making latitude, psychological job demand, and supervisor support of the job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high, while in blue-collar workers physical exertion was significantly high. The result of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PWI) reveals that blue-collar workers were more stressed than white-collar workers, especially, the indices of depression (factor 2), sleeping disturbance and anxiety (factor 3), General well-being and vitality (factor 4)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in white-collar workers, only the index of social performance and self-confidence (factor 1)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PWI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ower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job demand. By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PWI, blue-collar workers had increased odds ratio of 2.66(95% CI;1.11-6.41) compared with white-collar workers. The unmarried workers increased odds ratio of 3.54(95% CI;1.18-10.62) compared with married workers. And workers who have not own house increased odds ratio of 2.35(95% CI;1.15-4.79) compared with workers who have own house. Particularly, odds ratio of work-shift in blue-collar workers was 11.10(2.14-57.64). Conclusion: Skill discretion, created skill, decision-making authority, decision-making latitude, psychological job demand, and supervisor support were increased in white-collar workers. Decreased skill discretion and increased physical exertion were found in blue-collar workers, which is supported the Job Strain model. Job stress of blue-collar workers was comparatively higher than that of white-collar workers, especially, skill discretion, decision-making authority, decision-making latitude, job insecurity, physical exertion were noticeable factors. Especially, sleeping, smoking, and work shifting turned out to be a main cause that increases stress. Therefore, in order to decrease the job stress, a health promotion program to change the health behaviors should be activated and an organized job stress management program should be introduced. Especially, working condition for blue-collar such as physical exertion and work-shift should be improved.

  • PDF

청소년들의 건강행태에 따른 라이프스킬(Life Skills) 수준 비교 (A Comparison of Life Skill's Levels of Adolescents by Health Behavior)

  • 이규영;송승훈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4-12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life skill's levels of adolescents. Methods: This was descriptive comparative survey using as convenience sample of 460, fifth and six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Korea. The life skill was measured by life skill scale that 78 items regarding self esteem, social skill, decision making skill, and goal setting ski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mean,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using the SPSS/WIN 20.0. Results: The family-related self-esteem was higher ($26.02{\pm}3.73$) than other self-esteem score. Low family-related self-esteem associated with health behavior such as current drinking, accessing to pornography sites on internet in adolescen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s (cognitive, peer, family, body, general), decision making skill and goal-setting skil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program that focuses on enhancing family-related self-esteem to effectively reduce the risk behaviors among adolescents.

  • PDF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기술 혁신과 발명' 단원에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An Instructional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nvention' Uni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 서정완;이용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08-12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과에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능력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 추출, 환경 요소 분석, 의사결정 검사도구 개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수업 도구 선정,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과제 개발의 6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로 문제인식, 문제규정, 대안생성, 대안평가, 최적안 선택, 최적안 평가를 도출하였다. 둘째, 의사결정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도출된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를 기준으로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셋째,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해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를 준거로 여러 의사결정 수업 모형을 비교 분석하여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넷째, 개발된 의사결정능력 향상 수업 모형을 기준으로 디자인 사고를 적용하여 의사결정능력의 하위요소를 체험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과제를 개발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수업 과제를 본 수업과 이후 수정 보완을 거친 수업에 투입하였고,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모형은 기술교과에서 의사결정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 수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초등학생들의 책임있는 의사결정능력 함양 방안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 Method for Children's Decision Making Skill)

  • 손경원
    • 한국철학논집
    • /
    • 제25호
    • /
    • pp.99-135
    • /
    • 2009
  • 본 연구는 증가하는 초등학생의 반사회적 행동을 줄이고,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의사결정 및 문제해결 능력 함양의 이론적 기초를 탐색하고, 효과적인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의사결정 및 문제 해결 능력은 교육의 중요한 목표로서 취급되어 왔으나 인지적 중심교육과 가치 규범 교육에 치중되거나 교실수업에 국한된 교육이 이루어져서 그 효과성이 문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서지능 및 사회정서 학습을 이론적 기초로 하여, 의사결정에서의 정서의 인식과 조절의 중요성을 고려하며 실제 생활문제 해결을 위한 문제해결전략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서의 문화 특수적 성격을 고려하여 동양심리학과의 연계를 모색하여 우리 문화에 적합한 교육 방안이 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도덕과 교육과정에 통합하여 교육하여 독자적 프로그램이 갖는 단기성, 편협성을 극복하고자 하는 한편, 현행 학교교육에서 시행하는 의사결정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교육적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과 개인특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the Sub-factors of Youths' Leadership Living Skills and Personal Features)

  • 김미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04-320
    • /
    • 2009
  • 이 연구는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의 하위요인간, 리더십생활기술의 하위요인과 개인특성(부모지지, 또래지지, 자기존중감, 자아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하여 청소년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생활리더십기술의 하위요인간 여러 가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청소년기에 건강하고 종합적인 성장을 위하여 특히 학습능력기술, 자기이해기술, 그룹활동기술 향상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의사결정기술, 자기이해기술에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통해 리더십생활기술의 점차적이며 긍정적인 향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또래지지 정도는 의사결정기술, 그룹활동기술과의 관련성을 보여 청소년기 또래집단의 중요성을 의미하며 또래집단 형성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다.

미래 유망 산업/직업 그리고 자격 예측을 위한 의사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cision Making Method for Prospective Industry/Occupation and Qualification)

  • 이원박;정병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3-190
    • /
    • 2011
  • Nowadays, many countries have strived to promote prospective industries and occupations at the national level under the global circumstances such as green growth, job creation and so on. For this reason, the decision making method for qualifications foresight which will be available for the mentioned category-prospective industry and occupation- is required for it's feasibility. Pilot surveys on future workforce demand and promotion policies on service industries which are selected as a prospective industry or occupation by government parties were conducted through this research. Based on them, available qualifications-including not only national(skill) qualification but also private qualification- which can be created for prospective industries and occupations related to green growth and job creation were predicted. On the other hand, observing the change of service industry, occupation and qualification abroad, this research attempts to present the decision making method for verifying the decision' validity on qualification in Korean service industry and related occupation. Apply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a preference was examined for checking the validity of the created qualifications by prospective service industries and occupations in both sides-experts and laypeople. Based on it's result, the research was conducted regarding a validity of new qualifications in prospective industries and occupations.

퍼지 의사결정을 이용한 연삭 가공용 전문가 시스템의 개발 (A development of the Grinding Expert System by Fuzzy Decision Making)

  • S.R. Shin;J.P. Kang;J.B. Song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37-44
    • /
    • 1995
  • Grinding is used for machining high precision parts with high additional value. However, the grinding operation needs high skill and long experience of an operator because of a lack of the scientific knowledge and engineering principles. Also, the wheel and grinding conditions affect grinding results. For these reasons,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CIMA).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Expert System to be informed of qualitative knowledge of grinding expert's skills and experiences. In this research, the Grinding Expert System is constructed by Fuzzy Decision Making Algorithm. Using this system, unskilled workers will be able to use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an expert.

  • PDF

중장기 복무 제대군인 대상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전직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Discharged Soldiers After Mid-to Long-term Service : Based on The Outplacement Service)

  • 최미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11-520
    • /
    • 2017
  • 본 연구는 현재 국가보훈처가 제대군인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전직지원서비스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전직지원서비스의 하위요인으로는 컨설팅, 교육훈련지원, 구직활동지원, 행정지원 등으로 설정하였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으로는 직업정보수집 능력, 목표설정 능력, 계획수립 능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평가 능력 등으로 설정한 후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중장기 복무 제대군인 남성 5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로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측정,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직지원서비스 중 행정지원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5개 하위요인 중 문제해결 능력에 가장 높은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직업정보수집 능력은 행정지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컨설팅, 교육훈련지원에서는 부(-)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설정 능력에서는 컨설팅, 행정지원에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교육훈련에 부(-)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획수립 능력은 행정지원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받았고 교육훈련에 부(-)적인 영향을 받았다. 문제해결 능력은 컨설팅과 행정지원에서는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받았으며 교육훈련지원에서는 부(-)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평가 능력은 전직지원서비스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지역사회 청소년의 리더쉽기술과 조직몰입 관계분석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kill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ommunity Youth)

  • 이채식;박은식
    • 농촌계획
    • /
    • 제12권1호
    • /
    • pp.49-58
    • /
    • 2006
  • Rearing community youth has been main factors of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leadership skil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ommunity youth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kil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6 rural youth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The study was adopted t-test, ANOVA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munity youth married, wealthier, and expanded farming area were more likely to have leadership life skills than others. Second, community youth wealthier and expanded farming area were more likely to ha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others. Third, group activity, being leader, teaming skill, communication self understanding, decision making, language skill among leadership skills hav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