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structional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nvention' Uni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기술 혁신과 발명' 단원에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 서정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 이용진 (한국교원대학교 기술교육과)
  • Received : 2016.01.31
  • Accepted : 2016.03.12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We confront incessant choices in life. A person or a group stands at a crossroad continuously and make decisions under limited conditions in each time in order to achieve a goal. These series of processions are referred to as decision making and dominates our actions. Based on this view, the decision making is crucial and it secures its own position in school education as well as in real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cision making skills instructional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improve decision making skills in technological subjects. The components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echnological education was problem recognition, problem identification, alternative production, alternative assessment, optimum selection, optimum evaluate. An instructional models for improvement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echnology education and examination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echnological education. Depending on the components of decision making skills developed a teaching material to experience each step. And in the teaching material was to verify the improved decision-making skill. Accordingly, a decision making instruction model in technolog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e students' decision making skills.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과에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능력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 추출, 환경 요소 분석, 의사결정 검사도구 개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수업 도구 선정,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과제 개발의 6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로 문제인식, 문제규정, 대안생성, 대안평가, 최적안 선택, 최적안 평가를 도출하였다. 둘째, 의사결정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도출된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를 기준으로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셋째,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해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를 준거로 여러 의사결정 수업 모형을 비교 분석하여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넷째, 개발된 의사결정능력 향상 수업 모형을 기준으로 디자인 사고를 적용하여 의사결정능력의 하위요소를 체험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과제를 개발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수업 과제를 본 수업과 이후 수정 보완을 거친 수업에 투입하였고,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모형은 기술교과에서 의사결정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 수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1).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별책 10].
  2. 권낙원, 최화숙(2010). 수업모형. 서울: 동문사.
  3. 김미숙, 박효정, 유효현, 전미란, 박춘성, 손은영(2006). 영재의 리더십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2, 리더십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 김일남, 이광성(2005). 사회과 의사결정수업모형 탐구. 파주: 양서원.
  5. 박성익, 권낙원(1994). 수업모형의 적용 기술. 서울: 성원사.
  6. 박지영, 최미숙(2012). 교사용 유아 의사결정력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2(5), 5-25.
  7. 이상봉, 배선아(2007). 기술교육에서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의 함양을 위한 수업설계. 실과교육연구, 13(4), p. 78-82
  8. 이은미(2006). 유아 리더십과 부모 양육태도 관계 분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학식, 임지훈(2005). SPSS. 12.0 매뉴얼. 파주: 법문사.
  10. 차경수(1994). 社會科 論爭問題의 敎授模型. 시민교육연구 19(1), pp.225-240.
  11. 최유현(2003). 기술적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난 사고 활동의 분석과 그 계발 전략. 科學敎育論叢, 15, 281-318.
  12. 최유현 외(2010).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의 재구조화 방안. 교육과정평가연구, 13(1), 165-187.
  13. Banks, J. A. (1977).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studies: decision-making and citizen action. Boston: Addison-Wesley. 최병모(역)(1987). 社會科 敎授法과 敎材硏究. 서울: 敎育科學社.
  14. Blosser, P. E. (1993). Using Cooperative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Retrieved from ERIC: http://files.eric.ed.gov/fulltext/ED351207.pdf
  15. Engle, S. H., & Ochoa-Becker, A. S. (1988).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Decision making in the social studies. Teachers College Pres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정세구(역)(1991). 民主市民敎育. 서울: 敎育科學社.
  16. Fenton, E. (1967). The New Social Studies; Implications for School Administration. NASSP. 51(317). 61-76.
  17. Gunter, M. A., Estes, T. H., & Schwab, J. H. (2007). Instruction: A models approach. Boston: Allyn & Bacon. 권낙원(역)(2010), 수업모형.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18. Hunt, M. P., & Metcalf, L. E. (1968). Teaching high school social studies. New York: Harper & Row.
  19. IDEO. (2012). Designer's workbook. Retrieved October 12, 2015, from http://www.designthinkingforeducators.com/
  20. Jonassen, D. H. (2012). Designing for decision mak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0(2), 341-359. https://doi.org/10.1007/s11423-011-9230-5
  21. Ross, J. A. (1981). Improving Adolescent Decision-Making Skills. Curriculum Inquiry, 11(3), 279-295. https://doi.org/10.2307/1179805
  22. Simons, H.(1947). Administrative Behavior: A Study of Decision-Making Processes in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New York: Macmillan. 김해천(역)(1980). (管理的) 經營者: 經營行動. 서울: 東洋社.
  23. Woolever, R. M., & Scott, K. P. (1988). Ac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Promoting cognitive and social growth. Illinois: Scott Foresman & Company.
  24. Wu, T. F., Custer, R. L., & Dyrenfurth, M. J. (1996). Technological and personal problem solving sty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