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science curriculum

검색결과 797건 처리시간 0.032초

A Study on the Curricular Satisfactions and Curriculum Improvements of the Students majoring in Clinical Pathology

  • Kim, Jung-Hyun;Park, Jung-Yeon;Yang, Byoung-Seon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39-244
    • /
    • 2012
  • This study aims to analysis the curriculum problems and its improvements and to investigate curricula satisfaction among the students majoring in Clinical Pathology. A college used as a population, and 80 effective survey data were collected by sampling the graduates who carried out the clinical field training in third grade year.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Stata(version 12.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pearson correlations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synthetical theory curriculum has an positive effect on curricula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extension of both the clinical field training and laboratory and practice education have an significant influence direction of positiveness on curricula satisfaction. Third, as the problems of curriculum, the students selected shortage of english subjects connected with the job. We must intensify additional subjects (english ability) for job as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Accordingly, academic, industrial circles and students are supposed to jointly seek for the plan for the enhancement of clinical field training satisfaction.

  • PDF

제7차 교육과정기의 초등 과학교과 현장학습 실태조사 (A Survey on Science Field Study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in 7th Korean School Curriculum)

  • 김은진;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2권2호
    • /
    • pp.173-18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bout current status of science field study in elementary schools. A total of 72 elementary teachers in Busan and Gyungnam districts were involved and the data from questionnaire was gathered. The questionnaire was comprised two parts: items on general level include the epistemological aspect and actual condition and items on concrete level according to chapter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Many teachers cognize the requirement of science field study in 7th Korea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is larger than 6th one. But they respond the actual number of science field study in 7th curriculum is nearly equal to 6th. 2. In analysis to grades, the actual number of field study decrease as grade is high. 3. In the science content aspects, the requirement of field study is the largest on biology domain and earth science domain. 4. Many teachers have pointed out “the difficulty of administration for field study” and “inappropriated surrounding of their school” as the problems of science field study in elementary school.

  • PDF

비전공자 대상 기초 데이터과학 실습 커리큘럼 (Curriculum of Basic Data Science Practices for Non-majors)

  • 허경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65-27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비전공자들을 위한 교양과목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과학 실습 커리큘럼을 제안하고, 엑셀(스프레드시트) 데이터 분석 도구를 활용한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데이터 수집, 데이터 가공 및 데이터 분석을 위한 도구에는 엑셀, R, 파이썬,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등이 있다. R, 파이썬 및 SQL은 데이터 과학을 실습하는 데 있어, 프로그래밍 언어와 자료구조를 이해해야 한다. 반면에, 엑셀 도구는 비전공자들에게도 친숙한 데이터 분석도구로서,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학습 부담이 없다. 그리고 기초적인 데이터과학 실습을 엑셀로 진행하면, 데이터과학 이론을 습득하는 데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 학기 분량의 기초 데이터과학 실습 커리큘럼과 주별 엑셀 실습 내용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교육 내용 실체를 실증하기위해, 엑셀 데이터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선형 회귀 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 예제들을 제시하였다.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 발문유형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Questioning Type on the Grade 3 and 4 Science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between the 2009 Curriculum and the Revised 2015 Curriculum)

  • 김주아;김용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6-12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09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발문을 비교 분석하여 교수 학습 활동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교육과정의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발문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만큼 적용적 발문의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둘째, 학습자가 자유롭게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개방적 발문의 비율이 늘어난 점은 바람직한 변화라고 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배운 내용을 적용할 수 있고, 확산적, 평가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발문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초등 교육과정에서 과학과의 생물 영역과 타 교과의 내용 연계성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iology-related Contents Presented in Science and Other Subject Matter Area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 박재근;강호감;김용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63-75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contents of biology domains that were dealt with in the 7th national elementary-school science curriculum were in turn dealt with in the other subject matter areas. Through this, it was hoped that the place and identity of biology as a subject could be more clearly established and defined and additionally, mor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new national science curriculum could be acquired at the same time. Subject matter areas that overlapped with biology in the 7th national elementary-school curriculum were practical arts, social studies and physical education.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specific components that were dealt with by these subject matter areas we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science,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y failed to correspond across grades. Moreover, topics such as 'natural calamities and the environment' and 'human reproduction' that were dealt with by other subject matter areas, but not in science must be included for developing the new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ccordingly, when it comes to composing the contents of each subject matter area during creation of the new national curriculum, the relevant experts in related subject matter areas should be mobilized to conduct in-depth analysis of the following areas: viability, the most appropriate level of difficulty, and appropriateness of any hierarchy of relative importance between subjects. Additionally, efforts to reflect any improvements in the way the new national curriculum is developed which come about through this research are needed.

  • PDF

초등교사 대상의 기초 데이터 과학 교육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the Curriculum of Data Scienc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조정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899-906
    • /
    • 2021
  • 데이터 과학은 통계학, 컴퓨터 과학, 정보기술, 도메인 지식 등 여러 분야의 융합 학문으로써 다양한 학문에서 제공하는 복합적인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한다. 데이터 과학은 인공지능과 함께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써,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는 데이터 과학자의 양성을 위해 세계의 대학과 기업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활발히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맞추어, 초등 교육 현장에서도 데이터 과학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들이 데이터를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관련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분야의 비전공자가 대다수인 현직 초등교사들의 데이터 과학 교육을 목적으로 강의 콘텐츠를 제안하고, 인공지능융합대학원에 재학 중인 현직 초등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15차시 교육 과정을 통해 적용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된 데이터 과학 교육 사례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학습자들로부터 수집한 설문을 바탕으로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Bloom의 신교육 목표 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과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체계 비교 (Comparison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he 2007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with 7th Elementary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 위수민;김보경;조현준;손정주;오창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1호
    • /
    • pp.10-21
    • /
    • 201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objectives in elementary science fo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to compare the classified data of 2007 revised curriculum with 7th national curriculum from a view of creative objectives. For the purpose, the frame and manuel was developed to classify the objectives. In this study,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hird- to forth-grade level were classified through the frame. The finding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objectives, stated in elementary science fo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biased to the 'conceptional knowledge', 'factual knowledge' and the 'underst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nd the remaining dimension of the Bloom's revised taxonomy is very scanty. Comparing with 7th national curriculum,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s objectives system has not conspicuous improvement in creativity area. It was suggested to improve present objectives system, because of give learners more experience to opportunity about creativity.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교과목의 강의 계획서 분석: ALA의 인가를 받은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Course Syllabi related to Data Science at the ALA-accredit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grams)

  • 박형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9-143
    • /
    • 2022
  • 본 연구는 미국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A)의 인가를 받은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사이언스와 관련된 수업의 내용을 조사했다. 연구의 목적은 강의 계획서의 내용 분석을 통해 해당 수업에서 다뤄지는 교과목 명, 교과 설명, 학습 목표, 주차 별 주제를 살펴보는 것이다.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에서의 데이터사이언스와 관련된 필수 과목 및 선택 과목은, 데이터사이언스 개론, 데이터 마이닝,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 큐레이션 및 관리, 머신 러닝, 메타데이터,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 데이터사이언스 전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에서 데이터사이언스 교과 과정을 개설 및 개정할 때 논의의 시작점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어 운영 역량을 강화하는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초.중.고등학교 탐구 기능 요소에 대한 6차와 7차 과학 교육 과정의 비교 (Comparison with the 6th and 7th Science Curricular for Inquiry Skill Elements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 하소현;곽대오;성민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2-113
    • /
    • 2001
  • 제 6차와 7차 교육 과정의 교과서가 아니고 교육부 고시 교육 과정과 교육 과정 해설에 제시된 초 중 고등학교 탐구 기능 요소의 종류와 빈도를 포괄적으로 조사하였다. 제 6차 교육 과정에 제시된 탐구 기능 요소의 종류는 모두 17가지였고, 7차 교육 과정은 23가지로 조사되어 7차 교육 과정은 6차 교육 과정에 비해 탐구 기능 요소의 출현 종류가 약 1.3배 증가되었다. 탐구 기능 요소의 전체 빈도는 6차 교육 과정에서 408회, 7차 교육 과정에서 729회로 조사되어 7차가 6차에 비해 약 1.8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 탐구 기능 요소의 총 활용 빈도는 초등학교의 경우, 6차 교육 과정 14가지 요소에서 155회, 7차 교육 과정 18가지 요소에서 188회, 중학교의 경우, 6차 교육 과정은 7가지 요소에서 44회, 7차 교육 과정은 16가지 요소에서 196회, 고등학교의 경우, 6차 교육 과정의 공통 과학은 10가지 요소에서 44회, 7차 교육 과정은 10가지 요소에서 50회, 고등학교 과학 4영역 I, II 의 경우, 6차 교육 과정은 11가지 요소에서 165회, 7차 교육 과정은 21가지 요소에서 279회로 나타냈다. 7차 교육 과정의 중학교 단계에서 탐구 기능 요소의 활용 빈도가 6차에 비해 약 4.5배 증가하여 초 중 고등학교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전체적으로 볼 때, 7차 교육 과정은 6차 교육 과정보다 탐구 기능 요소의 종류가 약 1.3배, 그 빈도가 약 4.5배로 더욱 강화되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향상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그 중요성을 깊이 인식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Statistics Education Between Korea and USA

  • Kim, Sang-Lyo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7권4호
    • /
    • pp.1107-1117
    • /
    • 2006
  • In this thesis, we conduct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inherent problems found in modern statistics education in Korea. We investigate the American probability and statistics curriculum currently used in Wisconsin and discuss the overall state of statistics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comparison of both the Korean and Wisconsin model, we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statistical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