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itical global citizenship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9초

글로벌 시민성교육과 지리교육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Geography Education)

  • 조철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62-180
    • /
    • 2013
  • 본 연구는 최근 긴요해지고 있는 글로벌 시민성교육을 지리 교과와의 관련성의 측면에서 탐색한 것이다. 먼저 글로벌 시민성이라는 개념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이것이 교육적 차원에서 중요하게 된 이유를 세계화라는 시대적 변화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지리 교과를 통한 글로벌 시민성교육의 정당성에 대한 것으로서 이는 지리 교과의 핵심개념인 장소, 공간, 스케일, 상호의존성의 논의에 토대하여 전개하였다. 그 후 지리 교과를 통한 글로벌 시민성교육을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위 영역의 범주를 설정하였는데, 이는 기존의 분류 체계들을 귀납적으로 검토하여 지식과 이해, 기능, 가치와 태도라는 측면에서 재설정한 것이다. 셋째, 글로벌 시민성을 촉진하기 위한 실천적인 측면으로서, 즉 지리수업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계획하기 위해 사전에 고려해야 할 것들을 목적, 내용, 방법 측면에서 논의하고, 수업 전략을 쟁점 중심 접근과 소비자로서 저항의 지리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지리를 통한 글로벌 시민성교육에서 경계해야 할 유의점을 비판적 글로벌 시민성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 PDF

세계시민역량 함양을 위한 초등 가정과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효과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Learning Plan and its Effects on Fostering the Global Citizenship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권보은;유난숙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2호
    • /
    • pp.351-368
    • /
    • 202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implement a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ing-learning plan and assess its effects to enhance global citizenship competencies among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DDIE model was employed for learner needs analysis, instructional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is was followed by assessments of global citizenship competencies and class satisfaction.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ore ideas associated with an area of "Liv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 four practical problems were designed: What actions should I take for the rational management of living resources? What actions should I take to ensure consciousness of the need to respect diversity in daily life? What actions should I take to maintain a safe and healthy living environment? What actions should I take to make sustainable choices? Based on these four practical problems, four lesson topics we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both the voyeur's and the critical perspectives, resulting in a total of 8 sessions. The subsequent delivery of an 8-session clas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home economics yield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global citizenship competencies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willingness to act) of 3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mediately after the ses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focus on the core ideas of the revised 2022 curriculum, thereby offering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ithin the curriculum.

비판교육학에 의한 세계시민교육의 이해 (Understand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Critical Pedagogy)

  • 허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25-234
    • /
    • 2017
  • 최근 들어 미래 교육의 한 방향으로 세계시민교육이 논의되고 있다. 국외의 활발한 논의와는 달리 국내에서는 시작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의 학문적 방향을 위해서는 다양한 연구 방향이 제안되고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것이 바로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이론적 배경이다. 이것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전개되어야 세계시민교육이 지향하는 바와 향후 다양한 연구 방향의 지표가 분명해지기 때문이다. 국외 선행연구들에서 살펴보면 세계시민교육의 배경 이론으로 탈근대주의, 탈식민주의, 그리고 비판이론이 논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은 특히 교육이라는 영역적 특성을 담은 것으로서 비판교육학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가진 의식, 이성, 합리성의 해방은 세계시민교육이 현시점에서 취해야 할 중요한 방향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의 이론적 배경 중 하나로서 비판교육학은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의는 비판교육학이 세계시민교육의 이론적 배경으로 타당함을 주장하고 있다.

Exploring Secondary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y in Understanding Democratic Citizenship

  • Young-Shin Par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42-358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democratic citizenship. This study utilized the democratic citizenship frame to assess 17 participants' comprehension of this concept. The researcher designed a method course where participants in groups analyzed science activities to identify democratic citizenship compon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wo science activities-one on energy and the other on climate change-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panels addressing various global issues,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democratic citizenship was enhanced. Preservice teachers showed a good understanding of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nd STS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nd the most enhanced understanding of empathy, which was the least perceived in pre-survey, compon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The democratic citizenship frame proved to be a valuable tool for teaching and learning this topic, particularly when applied to socioscientific issues in the classroom. More research-based revisions of the science curriculum are necessary, and more systematic practices with reflections are essential in teacher education.

영구 국가교육과정에서 시민성 교과의 출현과 지리교육의 동향 (A Continuous Concern of Citizenship Education in British Geography Education)

  • 조철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421-435
    • /
    • 2006
  • 본 연구는 영국 지리교육계의 시민성교육에 대한 관심의 역사 및 범위를 국가교육과정에서의 시민성 교과의 출현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까지는 주로 제국주의 이데올로기를 통한 국가정체성 중심의 시민성교육에 치중하였다면, 1980년대 이후에는 학생들의 개인적 가치와 가치 입장에 대한 반성과 성찰, 그리고 사회정의에 초점을 둔 로컬 및 글로벌 시민성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리교육의 내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시민성 교과의 출현이라는 외적인 요인이 시민성교육에 대한 관심을 더욱 자극하고 있다. 이후 영국지리교육계에서는 지리교과가 시민성교육을 계속 주도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이론적 정당화의 논리 구축뿐만 아니라, 교사들의 실천적 연구와 지속적 관심을 촉구하고 있다. 한편, 최근 영국 정치 및 사회문화 지리학계에서는 차이와 정체성을 만드는 시민성의 공간에 주목하고 있으며, 국가 스케일에서 로컬 및 글로벌 스케일에 초점을 둔 급진적이고 비판적인 시민성으로 관심을 전환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지리교과를 통한 시민성교육 역시 국가정체성 중심에서 탈피하여 사회정의의 보다 나은 세계를 위한 로컬 및 글로벌 시민성교육에 더욱 치중해야 할 것이다.

  • PDF

다문화사회에서 세계시민성과 지역정체성의 지리교육적 함의 (The Implications of Global Citizenship and Regional Identity in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ield of Geographical Education)

  • 박선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78-49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의 지리교육에서 세계 시민성과 지역정체성의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지리교육은 국지적 지역적 국가적 세계적 규모에서 장소 및 지역을 탐구하며 인간 사회의 인종적 문화적 정치적 다양성에 대한 지리적 표현을 학습하는 교과로서 다문화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매우 적절한 과목이다. 또한 지리교육의 공간이나 지역이 인간의 경험, 지각, 반응 등에 의해 구성되는 가치 내재적 공간이고, 시민성이 영역을 가지고 있는 지리적인 단위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 등에서 시민성 교육에 대한 정당성을 갖는다. 다문화교육에서 시민성은 국가 중심을 탈피하여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세계시민성 교육이 지리교육에서 지역정체성에 대한 포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지역정체성은 특정 지역의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이며 인종, 민족, 성, 정치적 지위, 사회적 지위 뿐 아니라 자연에 대한 사고, 경관, 민족성, 방언, 역사적 배경 등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 다문화사회의 지역정체성은 다양한 집단들의 이질성을 내포한 동질성으로 지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집단들의 갈등을 해소할 열쇠를 가지고 있다. 이에 지리교육의 다 문화교육은 다문화사회의 갈등 해결을 위해 비판적 사고에 바탕을 둔 지역정체성 함양에 초점을 둘 것을 제안한다. 다문화사회의 지리교육은 인종이나 민족을 강조하는 교육보다는 지역에 바탕을 둔 것으로 지구적 관점의 세계시민성과 다문화교육의 다양성의 관점을 통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 PDF

다국적기업 제품신뢰의 선행요인과 성과: 글로벌 기업시민주의의 조절효과 (Antecedents and it's Consequence of Local Consumers Trust in MNC's Product: The Moderating Effect of Global Corporate Citizenship)

  • 홍성헌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3호
    • /
    • pp.357-380
    • /
    • 2014
  • 신뢰와 고객충성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현지 진출한 다국적기업들은 현지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음으로써 고객충성도를 강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 진출한 다국적기업의 제품특성, 제품관련 서비스 커뮤니케이션, 지각된 가격공정성 등이 다국적기업 제품신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다국적기업 제품신뢰의 선행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글로벌 기업시민주의가 전 세계적으로 점점 요구되고 있는 현실에서 현지에 진출한 다국적기업이 기업시민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인식을 확보한다면 제품에 대한 신뢰형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맥락에서 글로벌 기업시민주의가 신뢰와 그 선행요인간 관계를 조절할 것인지에 대한 분석을 함께 하였다. 조절 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다국적기업 제품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은 제품과 서비스 커뮤니케이션으로 나타났다. 제품관련 서비스 커뮤니케이션이 신뢰에 더 큰 영향력 요인이었다. 현지 소비자들은 다국적기업이 제공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하여 신뢰를 하고 있다고 판단되므로 다국적기업들은 제품과 서비스로 이루어진 기업의 제품전략과 신뢰를 연계하고 소비자의 신뢰를 증진함으로써 고객충성도를 강화할 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한편, 가격공정성 지각 가설은 기각되었으나 가격공정성 지각과 신뢰와의 관계에 글로벌 기업시민주의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지각된 가격공정성은 다국적기업의 기업시민주의활동을 통해 선량한 기업으로 소비자에게 인지됨으로써 그 기업 제품에 대한 신뢰를 확보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 PDF

특급호텔 서비스종사원의 조직적 시민행동과 역할외적 행위가 고객의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Service Quality as External Effectiveness of Contact Employees for Deluxe Hotel in Seoul)

  • 박정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15-225
    • /
    • 2018
  • 본 연구는 특급호텔의 종사원의 조직적 시민행동과 역할외적 서비스가 고객이 느끼는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특급호텔 호텔경영자와 중견 간부들에게 새로운 대 고객서비스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역할과 활용을 제시한다. 본 연구 구체적 결과는 고객과 접촉하는 종사원의 조직적 시민행동과 역할외적인 서비스가 고객에게 믿음과 신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유의한 의미를 발견하였다. 제시된 가설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호텔이 대 고객서비스의 고객관계 형성에 종업원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기대하며 올바른 서비스 활동을 지원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기를 기대한다.

Revisiting Transnational American Studies: Race and the Whale in Melville's Moby-Dick

  • Kang, Yeonhaun
    • 영어영문학
    • /
    • 제64권4호
    • /
    • pp.585-600
    • /
    • 2018
  • Over the last three decades, the field of American Studies has increasingly paid attention to transnational approaches in an effort to diversify and expand the field's concerns beyond the narrow sense of the nation-state in today's globalizing world. Yet, the mediation of the transnational requires a careful analysis of the nation that is still in transit. In this context, this essay examines Herman Melville's novel Moby-Dick (1851) as a case study that vividly shows how reading American literature and culture through transnationalism not only offers new interpretations of canonical texts, but also helps us to better understand the historical roots and cultural contexts of contemporary issues such as global labor and migration, US citizenship and racial justice. To address the complexity of the text's circulation and reproduction, coupled with US national ideology and cultural conditions, I first turn to the canonization of Melville's Moby-Dick during the Cold War era as a national project and then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transnational readings by focusing on the politics of race and global capital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whaling industry. In doing so, I argue that critical transnationalism allows readers to keep questioning about their own understanding of race, nation, and cultural identity while remaining attentive to the destructive force of US imperialism and global capitalism in the twenty-first century.

비판교육학을 통한 교육 국제자원활동의 이해 (Understanding International Volunteering in Education through Critical Pedagogy)

  • 허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87-95
    • /
    • 2016
  • 교육 국제자원활동은 교육을 통해 지역 재원을 끌어낼 수 있는 자원활동 중의 하나이다. 이는 최근 들어 국제자원활동에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도 교육 국제자원활동 참여 인구와 지원은 급증하고 있는데, 참가자들은 그것이 가진 근본적인 의미인 지역 재원을 끌어내기 위한 노력보다는 자신의 스펙 쌓기 위한 과정, 자기 성장을 위한 봉사학습, 그리고 시혜적인 차원의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국제자원활동이 추구하는 방향이 부재한 데서 오는 오해라고 본 논의는 주장하고 있다. 이에 교육 국제자원활동 방향에 지평이 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의 필요성과 함께, 본 논의는 비판교육학을 제시하고 있다. 비판교육학은 허위의식을 해체함으로써 의식과 행동에서 자율성과 자주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비판교육학은 교육 국제자원활동에서 의미하는 자원활동이 가진 지역 재원 활용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활동을 끌어내는 데 필요하고 적합한 이론적 배경이 될 수 있음을 본 논의는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