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derstand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Critical Pedagogy

비판교육학에 의한 세계시민교육의 이해

  • Received : 2017.06.21
  • Accepted : 2017.08.03
  • Published : 2017.09.28

Abstract

Scholars suggest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 as an important direction for the future education. Although many academic discussions have been internationally going on, the studies in Korea are still on the beginning stage. Thus, it is asserted that studies for GCE should be proceeded more actively and widely, especially for a theoretical background because it might give a concrete direction for GCE. In the international trend, studies suggest that GCE should be discussed among post-modernism, post-colonialism, and critical theory as theoretical framework. So, this study purports to find a theoretical framework which represents those three. It is critical pedagogy (CP) which also includes educational values for GCE. The reason is because CP tries to achieve emancipation in terms of consciousness, reason and rationality through educational praxis and it should be a background for GCE in terns of current situation in the world. Therefore, this study asserts and tries to prove that CP is currently at the center of theoretical backgrounds for GCE.

최근 들어 미래 교육의 한 방향으로 세계시민교육이 논의되고 있다. 국외의 활발한 논의와는 달리 국내에서는 시작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의 학문적 방향을 위해서는 다양한 연구 방향이 제안되고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것이 바로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이론적 배경이다. 이것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전개되어야 세계시민교육이 지향하는 바와 향후 다양한 연구 방향의 지표가 분명해지기 때문이다. 국외 선행연구들에서 살펴보면 세계시민교육의 배경 이론으로 탈근대주의, 탈식민주의, 그리고 비판이론이 논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은 특히 교육이라는 영역적 특성을 담은 것으로서 비판교육학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가진 의식, 이성, 합리성의 해방은 세계시민교육이 현시점에서 취해야 할 중요한 방향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의 이론적 배경 중 하나로서 비판교육학은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의는 비판교육학이 세계시민교육의 이론적 배경으로 타당함을 주장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희, "Post 2015 맥락의 세계시민교육 담론 동향과 쟁점 분석," 시민교육연구, 제47호, 제1권, pp.59-88, 2015.
  2. 허창수, 장인실, 박철희,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제언," 교육과정연구, 제28권, 제4호, pp.77-101, 2010.
  3. 설규주, "탈국가적 시민성의 대두와 시민교육의 새로운 방향: 세계시민성과 지역시민성의 조화로운 함양을 위한 후천적 보편주의 시민교육," 시민교육연구, 제32권, 제1호, pp.151-178, 2001.
  4. 배영주, "세계시민의 역할 과제를 중심으로 한 세계시민교육의 재구상," 교육과학연구, 제44권, 제2호, pp.145-167, 2013.
  5. 이윤주, "세계시민성 함양과 세계시민교육의 실천방안: 청소년 참여교육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1호, pp.225-245, 2016.
  6. 김용옥, 도올, 시진핑을 말하다, 통나무, 2016.
  7. 허영식, "세계시민의 개념에 관한 시론: 세계시민교육의 이론적 기초," 아시아교육연구, 제5권, 제3호, pp.165-196, 2004.
  8. 김용찬, "세계화 시대 민주시민교육을 통한 평화교육 강화 방안,"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논총, 제31권, 제2호, pp.35-46, 2011.
  9. 김영순, 정소민, 윤현희,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 발전교육의 연계 방식에 관한 탐색적 논의," 중등교육연구, 제64권, 제3호, pp.521-546, 2016.
  10. 허영식, 정창화, "다중관점 지향적 세계시민교육의 도전과 과제: 독일에서의 연구동향과 함의를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논총, 제26권, 제3호, pp.114-146, 2016.
  11. 정용교, "다문화시대 세계시민교육의 현황과 대안모색: 사회과교육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pp.109-123, 2013.
  12. 최준호,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사례연구: 난민문제 수업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제26권, 제3호, pp.239-266, 2016.
  13. 박수남, 정수권, 서경석, "초등학생들의 세계시민성 육성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세계교육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사회과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pp.213-240, 2007.
  14. 김다원, "세계시민교육에서 '여행'의 교육적 의미 탐색," 국제이해교육연구, 제10권, 제2호, pp.131-162, 2015.
  15. 박수경, "세계시민교육에서 다원적 정체성의 의미와 내러티브 교수법 연구," 중등교육연구, 제64권, 제3호, pp.585-610, 2016.
  16. 박환보, 조혜승,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교육학연구, 제54권, 제2호, pp.197-227, 2006.
  17. 성열관,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의 보편적 핵심요소와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 제37권, 제2호, pp.109-130, 2010.
  18. 정기오,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사론," 교원교육, 제31권, pp.183-205, 2015.
  19. 박환보, 유나연, 장세정, 유혜영, "청소년의 세계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비교교육연구, 제26권, 제4호, pp.31-53, 2016.
  20. J. Derrida, Cosmopolitanism and Forgiveness, Routledge, 1997.
  21. K. W. Appiah, Cosmopolitanism: Ethics in a World of Strangers, W. W. Norton & Company, 2006.
  22. M. Papastephanou, (Ed.), Cosmopolitanism: Educational, Philosophic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Springer, 2016.
  23. W. Gaudelli,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veryday Transcendence, Routledge, 2016.
  24. K. McDonough and W. Feinberg, (Eds.), Citizenship and Education in Liberal-democratic Societies: Teaching for Cosmopolitan Values and Collective Ident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5. L. Shultz, A. A. Abdi, and G. H. Richardson, (Ed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ost-secondary Institutions: Theories, Practices, Policies, Peter Lang, 2011.
  26. A. Wierenga and J. R. Guevara, (Eds.), Educating for Global Citizenship: A Youth-led Approach to Learning through Partnerships, Melbourne University Press, 2013.
  27. A. A. Addi, L. Shultz, and T. Pillay, (Eds.), Decolonizing Global Citisenship Education, Sense Publisher, 2015.
  28. T. S. Popkewitz, Cosmopolitanism and the Age of School Reform: Science, Education, and Making Society by Making the Child, Routledge, 2008.
  29. J. Harshman, T. Augustine, and M. Merryfield, (Eds.), Research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AP, 2015.
  30. UNESC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Paris, 2015.
  31. L. Johnson, Towards a Framework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esented at Education and Citizenship in a Globalizing World, University of London, Institute of Education. 19th-20th November 2010, from http://www.ioe. ac.uk/about/documents/About_Overview/Johnson_l.pdf, 2015.04.10.
  32. J. L. Kincheloe, P. McLaren, and S. Steinberg, "Critical Pedagogy and Qualitative Research," In N. Denzin and Y. Lincoln (Eds. 4th Ed.), The Sage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163-177, SAGE Publications, 2011.
  33. L. T. Smith, Decolonizing Methodologies: Research and Indigenous People, Zed Book Limited, 1999.
  34. 허창수, "탈식민주의 이론과 실제의 꼴라주," 교육과정연구, 제29권, 제3호, pp.23-48, 2011.
  35. 허창수, "비판이론의 시각에서 바라본 국제이해교육: 영화 텍스트를 통한 이해," 김대현, 진시원, 주재홍, 김영천, 김아영, 김복영, 허창수, 강이화 공저, 국제이해교육과 신식민주의 비평, pp.151-189, 학지사, 2012.
  36. H. Bhabha, The Location of Culture, 1994, 나병철 옮김,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 2002.
  37. 허창수, "비판교육학을 통한 교육 국제자원활동의 이해," 교육과정연구, 제16권, 제5호, pp.87-95, 2016.
  38. Seewha Cho, Critical Pedagogy Social Change, 심성보.조시화 역, 비판적 페다고지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살림터, 2013.
  39. P. McLaren, "Critical Pedagogy: A Look at the Major Concepts," In. A. Darder, R. D. Torres, and M. P. Baltodano (Eds. 3rd Ed.), The Critical Pedagogy Reader, pp.56-78, Routledge, 2017.
  40. J. Habermas, Erkenntnis und Interesse, 1968, J. J. Shapiro, (Trans.), Knowledge and Human Interests, Beacon Press, 1971.
  41. H. Giroux, Teachers as Intellectuals: Toward a Critical Pedagogy of Learning, 1988 이경숙 옮김, 교사는 지성인이다, 아침이슬, 2001.
  42. L. Johnson and P. Morris, "Towards a framework for critical citizenship education," The Curriculum Journal, Vol.21, No.1, pp.77-96, 2010. https://doi.org/10.1080/09585170903560444
  43. J. L. Kincheloe, Ciritical Pedagogy, Peter Lang Publishing, 2004.
  44. J. L. Kincheloe and S. R. Steinberg, "Indigenous knowledges in education: Complexities, dangers, and profound benefits," In N. K. Denzin, Y. S. Lincoln, and L. T. Smith (Eds), Handbook of critical and indigenous methodologies, pp.135-156, SAGE publications, Inc, 2008.
  45. H. A. Giroux, "Critical Theory and Rationality in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Inquiry, Vol.10, No.4, pp.329-366, 1980. https://doi.org/10.1080/03626784.1980.11075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