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derstanding International Volunteering in Education through Critical Pedagogy

비판교육학을 통한 교육 국제자원활동의 이해

  • Received : 2016.03.30
  • Accepted : 2016.05.11
  • Published : 2016.05.28

Abstract

International volunteering in education is one of activities in volunteering. Volunteers have been recognizing that educational activit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volunteering. Recently, there is an increase of participants and various supports for educational volunteering in South Korea. However, regardless of the essential meanings in which activities commonly attempt for deriving local sources in terms of human and resources, many participants in volunteering take advantages of their own purposes and providing their supports in terms of a mercy. This study asserts that this situation comes from the lack of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volunteering. Therefore, this study realizes a need of providing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purports to suggest it for international volunteering in education. It is the critical pedagogy. Critical pedagogy tries to deconstruct false-consciousness of the oppressed through education. And, it emphasizes that people could have autonomy and self-directed sovereignty. Accordingly, critical pedagogy should be a theoretical background of activities for deriving human's autonomous consciousness and their own resources. Thus, it might be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international volunteering in education.

교육 국제자원활동은 교육을 통해 지역 재원을 끌어낼 수 있는 자원활동 중의 하나이다. 이는 최근 들어 국제자원활동에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도 교육 국제자원활동 참여 인구와 지원은 급증하고 있는데, 참가자들은 그것이 가진 근본적인 의미인 지역 재원을 끌어내기 위한 노력보다는 자신의 스펙 쌓기 위한 과정, 자기 성장을 위한 봉사학습, 그리고 시혜적인 차원의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국제자원활동이 추구하는 방향이 부재한 데서 오는 오해라고 본 논의는 주장하고 있다. 이에 교육 국제자원활동 방향에 지평이 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의 필요성과 함께, 본 논의는 비판교육학을 제시하고 있다. 비판교육학은 허위의식을 해체함으로써 의식과 행동에서 자율성과 자주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비판교육학은 교육 국제자원활동에서 의미하는 자원활동이 가진 지역 재원 활용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활동을 끌어내는 데 필요하고 적합한 이론적 배경이 될 수 있음을 본 논의는 강조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선재, 강종안, 김동훈, 한재광, 양진아, 하재웅. 자원활동은 자원봉사가 아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9.
  2. 허창수, "국제자원활동이 가진 교육과정적 의미 탐색: 한 활동가의 경험 이야기," 교육과정연구, 제30호, 제3권, pp.295-321, 2012.
  3. 오디에이와치(ODA Watch), 사람이 중심이 되는 원조를 위한 변화의 시나리오: 라오스 원조 종합 평가보고서, 2010.
  4. 고권혁, 국제자원활동의 유대의례와 교육적 이해: 라오스 한 청년센터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미발간 석사학위논문, 2015.
  5. 조혜영, 김정숙, "청소년 해외자원봉사활동 참가 경험과 의미: 대한민국청소년자원봉사단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7권, 제3호, pp.55-84, 2015.
  6. 서홍란, 박정란, "대학생 해외자원봉사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기초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2호, pp.139-168, 2014.
  7. 오단이, "국제자원활동 종기 및 현지적응과정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KCOC)에서 파견한 캄보디아 L단체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6권, 제3호, pp.373-399, 2014.
  8. 황기우, "대학생 해외자원봉사활동에 기반한 글로벌 인재 양성의 전망," 학생생활연구, 제2010권, 제1호, pp.14-24, 2010.
  9. 김선미, "대학생의 세계화, 정보화 역량분석," 사회과교육, 제46권, 제3호, 125-145, 2007.
  10. 지은림, "대학생용 지구시민의식 척도개발의 타당화 및 관련변인 분석," 교육평가연구, 제20권, 제2호, pp.151-172, 2007.
  11. 홍은숙, 이화숙,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137-153, 2015.
  12. 박소연, 김진경, 이택영, "대학생 전공관련 자원봉사가 자존감,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376-38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2.376
  13. 신미아, "간호대학생의 봉사활동, 자아존중감 및 직업존중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1024-1035, 2013.
  14. 이종승, 연구방법론: 교육.심리.사회, 교육과학사, 2009
  15. 김희주, 주경희, 우수명, "국제(지역)사회복지실천 사례에 대한 탐색적 연구: 코피노 어린이재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6권, pp.135-163, 2013.
  16. E. Cobbs, "Decolonization, the Cold War, and the Foreign Policy of the Peace Corps. Diplomatic History," Vol.20, No.1, pp.79-105, 1996. https://doi.org/10.1111/j.1467-7709.1996.tb00253.x
  17. M. B. Smith and N. Laurie, "International Volunteering and Development: Global Citizenship and Neoliberal Professionalisation Today," Transactions of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Vol.36, pp.545-559, 2011. https://doi.org/10.1111/j.1475-5661.2011.00436.x
  18. H. Perold, L. A. Graham, E. M. Mavungu, K. Cronin, L. Muchenwa, and B. J. Lough, "The Colonial Legacy of Internationsl Voluntary Service,"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Vol.48, No.2, pp.179-196, 2013. https://doi.org/10.1093/cdj/bss037
  19. R. Collins, Interaction Ritual Chains, 진수미 역, 사회적 삶의 에너지: 상호작용 의례의 사슬, 한올, 2009.
  20. M. Ngo, Canadian Youth Volunteering Abroad: Rethinking Issues of Power and Privil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Toronto, 1012.
  21. 한국국제협력단, 2014 KOICA 대외무역원조실적 통계, 2015.
  22. http://koica.go.kr
  23. The Inter-Agency Commission. Meeting Basic Learning Needs: A Vision For The 1990s. World Conference on Education for All, 1990.
  24. UNESCO, The Daker Framework for Action, World Education Forum, 2000.
  25. http://en.unesco.org/world-education-forum-2015
  26. U. Beck, The Cosmopolitan Vision, Polity Press, 2006.
  27. K. A. Appiah, Cosmopolitanism: Ethics in a world of strangers, 실천철학연구회 옮김(2008), 세계시민주의: 이방인들의 세계를 위한 윤리학, 바이북스, 2008.
  28. L. T. Smith, Decolonizing Methodologies: Researc and Indigenous peoples, Zed Book Limited, 1999.
  29. A. Badiou, Larelation Enigmatique Entre Philosophie et Politique, 서용순 역, 투사를 위한 철학: 정치와 철학의 관계, 오월의 봄, 2011
  30. P. McLaren, Critical Pedagogy: A Look at the Major Concepts. In A. Daeder, M, Baltodano & R. Torres (Eds.). The Critical Reader, pp.69-96, Routledge Falmer, 2003.
  31. S. H. Cho, Critical Pedagogy Social Change, 심성보.조시화 역, 비판적 페다고지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살림터, 2013.
  32. P. Freire, Pedagogy of the Oppressed, The Continuum Publishing Company, 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