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e competencies for the future society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6초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teaching)역량 프레임 제안 (Teaching Competencies of University Professors in Future Society)

  • 백종남;백유진;김세연;최숙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49-357
    • /
    • 2020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이론적 근거 탐색을 문헌분석과 연구자 협의를 통해 수행하였다. 미래 사회 변화 및 교수역량과 관련하여 이미 활발한 주장 및 논의들이 진행되어,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고찰하고 미래 사회의 변화를 탐색하여 교수역량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먼저,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주는 함의를 먼저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미래 사회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원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이론적 논거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하위요소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미래 사회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으로서 변화대응역량 2개 능력, 혁신추진역량 2개 능력, 수업역량 4개 능력 등 3개 영역 8개 능력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함양 계획을 세워 4차 산업 혁명 시대 불확실한 미래가 갖는 불안정성에 대비하고, 각 대학의 혁신과 변화 전략을 수립하며, 학생의 필요와 시대적 요구에 맞는 수업 혁신 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진단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elf Assessment Tool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e)

  • 양길석;서수현;옥현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1-8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현재와 미래사회를 대비한 핵심역량의 하나라는 판단 하에 이를 자가진단하거나 교육용 프로그램에서 효과성 검증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보고식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2개 영역, 8개 구인, 총 45개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구성하였다. 약 3천 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한 후 적합성 판단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전반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도구는 일차적으로 초중등학교 및 성인교육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이 도구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통해 누구나 온라인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발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각 개인의 자기계발에 필요한 교육 정보를 제공한다면 우리 국민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컴퓨팅 사고력 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 (Analytic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mputational Thinking based STEAM Program)

  • 김순화;함성진;송기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05-114
    • /
    • 2015
  • SW 역량은 미래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역량으로, 컴퓨팅 사고력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 컴퓨팅 사고력의 도입은 교사와 학생의 인식과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의 부족으로 도입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 친숙한 융합인재교육을 이용해서 개발된 컴퓨팅 사고력 기반 융합인재교육의 현장 적용을 통해 현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49명으로 실험집단 23명, 통제집단 26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에 컴퓨팅 사고력 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전-사후 융합적 사고력 검사, 컴퓨팅 사고력 검사를 통해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융합적 사고력의 하위 요인인 과학선호도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컴퓨팅 사고력 점수도 실험집단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여 컴퓨팅 사고력 기반 융합인재교육(CT-STEAM)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컴퓨팅 툴을 활용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기대해 본다.

미래교육을 위한 상상력: Vygotsky의 이론 및 정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An Imagination for Future of Education: Based on Vygotsky's Theory and Emotional Relation)

  • 박지원;김회용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31-53
    • /
    • 2017
  • 이 연구는 Vygotsky를 바탕으로 상상력교육의 가능성을 확보하고 정서와의 관련성 속에서 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상력은 창의력과 더불어 미래역량의 중요한 한 가지 요소이다. 그러나 상상력에 대한 교육의 개입에는 큰 딜레마가 있다. 상상력이 자연 발생적이며 따라서 아동에게 특화되어 있는 신비한 능력이라고 간주할 경우, 교육은 자연스러운 상상력이 발현되고 보전되도록 그 과정에 최대한 개입하지 않아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에는 상상력을 아동기의 미발달된 사고과정과 연결시킨 Piaget의 영향이 자리 잡고 있다. 발달심리학자 Vygotsky는 인간정신에 대한 Piaget의 내재적 발생론에 대항하여 사회 문화적 발생론을 주장한다. 그는 창조를 통한 사회문화적 상호작용이 인간의 가장 큰 특성이며, 이 과정에 경험적 질료를 종합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하는 '상상력'이 핵심적으로 관여한다고 보았다. 그는 상상력이 아동기에 국한되지 않고 문화적 경험에 따라 끊임없이 발달함을 밝혀냄으로써 상상력교육의 가능성과 중요성을 일깨워주었다. 특히 Vygotsky에게 창조적 상상력의 본질은 외적 생산보다는 인간의 정서를 표현하고 다루는 기능에 있으며 이는 미래교육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미래사회는 종전의 이성중심사회와 달리 지식과 도덕에서 감정의 요소가 부각되며 교육에서 정서와 깊은 관련을 가진 상상력의 역할을 요청하며 이에 적합한 교육적 개입을 요구한다.

초중등 학습자의 알고리즘적 사고 수준 측정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Algorithmic Thinking of Studen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심재권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237-243
    • /
    • 2019
  •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의사소통하는 능력, 협업하는 능력 등이 미래사회에 필요한 핵심역량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우리나라 정보 교과에서는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능력을 중요한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알고리즘적 사고는 컴퓨팅 사고력의 핵심적인 요소로 알고리즘을 설계하거나 프로그래밍 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정보 교과의 목표를 설정하거나 학생의 성취를 측정할 때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중,고등학생의 알고리즘적 사고를 측정하는 문항을 개발하고 수준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학교급이 높아질 수록 알고리즘적 사고를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성별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알고리즘적 사고의 수준을 위한 문항을 구성하거나 난이도를 설정하는데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orld Class SI 기업으로의 도약 : 핵심 경쟁력 확보를 위한 R&D 모델 개발 (A R&D Model for Korean SI Companie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 이연희;최진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29
    • /
    • 2003
  • This thesis suggests a R&D model for Korean SI companies who aggressively drive oversea business to overcome domestic market limitation and to become world class SI player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a lot of discussions on IT technologies and new business models, scientific approach to a R&D model for SI companies is rare due to its natural distinctiveness from manufacturing and general service domain. Therefore, this will be a flagship thesis to keep up our study. As business market environment gets more competitive, major Korean SI players will be confronted with much more keen competition among themselves. And as they are willing to expand their oversea market presence, they can not help struggling against global SI players. So, here we are presenting SI players the reinforcement of R&D as one of the key components to build up their own core competencies. That is, SI players have to adopt and evaluate fast changing and complicated IT technologies at the right time, and to apply them into a real business with cost-effective service delivery and operation processes internally. The ultimate purpose of all of these activities is to offer a SI company the value added business model based on its innovative technical capabilities and well refined service deliver model. For this purpose, we suggests, SI company's R&D has to play an important role of emerging technology verification/evaluation/utilization, value added business model creation, future innovation lead, standard body participation, and effective service delivery and quality system development. To become a more effective R&D organization, hybrid R&D, in which central R&D and divisional sub R&D work together, is considered as an idea model. The reliability of the R&D model for Korean SI companies', here we suggest, has been checked by SI companies R&D specialists and on-site business people.

Survey of Attitudes on Professionalism in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Kim, Jin Yong;Kang, Seok Joo;Kim, Jin Woo;Kim, Young Hwan;Sun, Hook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2호
    • /
    • pp.134-140
    • /
    • 2013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attitudes toward professionalism, the core values, and the type of professionalism among plastic surgeons in Korea to establish a code of ethics regarding the role of professionalism for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Methods From March 9, to July 1, 2012, face-to-face and mail surveys were conducted targeting the 325 participants (256 specialists and 69 residents) who are registered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The proportion of each response given to an item was obtained through statistical processing through frequency analysis.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between the resident group and the specialist group. Results The survey results on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in plastic surgery showed that a high proportion (90.5%) of the respondents viewed the future of plastic surgeons as bright. Through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value items,"professional dominance" (4.58 pts), "autonomy" (4.45 pts), "lifestyle" (4.34 pts), and "commercialism" (4.31 pts) were assessed as critical values. "Altruism" (3.84 pts), "interpersonal competence" (3.79 pts), and "social justice" (3.61 pts) were viewed as lesser values. This differenc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n entrepreneurial outlook. Conclusions Plastic surgeons should pursue excellence, humanism, accountability, and altruism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professionalism in plastic surgery. In order to develop the necessary competencies of professionals,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arranged by the Korean Society of Plastic Surgeons, and an appropriate code of ethics should be established.

「프로그래밍 교육 과정」 연구에 대한 분석과 성취기준 부합도 평가 (Survey the Researches of "Programming Curriculum" and Evaluation with Outcome Criterion)

  • 김지수;김정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5호
    • /
    • pp.235-244
    • /
    • 2017
  •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이 핵심역량이 되면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래밍 과목의 교육목적은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단순한 컴퓨터 활용 능력과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성을 파악하는 수준으로는 달성할 수 없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여 실생활의 문제 해결을 위한 알고리즘을 작성하고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프로그래밍 영역 교육과정을 강화하였고,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도 마련되었다. 그러나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프로그래밍 교육과정들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고 이런 교육과정이 성취기준과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평가하였다. 또한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연구시 고려할 사항과 교육과정의 운영 결과가 성취기준과 부합하는지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아울러 초 중등학교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에서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조직브랜드 내부화가 조직브랜드 영속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Brand Internalization on the Organizational Brand Permanence)

  • 최수아;황윤용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77-93
    • /
    • 2019
  • 본 논문은 조직브랜드 내부화가 조직브랜드 영속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직브랜드 내부화가 고객지향성, 브랜드애착, 조직브랜드 영속성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고객지향성과 조직브랜드 영속성 간의 관계에 있어서 브랜드애착의 효과도 함께 검토하였다. 실증적 연구 결과, 조직브랜드 내부화는 종업원의 브랜드에 대한 애착을 높이고 고객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브랜드애착이 높아질수록 조직 내 직원들은 고객의 니즈를 잘 인지하고 공유함으로써 조직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핵심역량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업들은 브랜드를 단일된 컨셉으로 잘 조직화함으로써 내부 브랜드 파워를 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직원의 조직적 통합화를 실현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 같은 관점에서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중국의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혁의 특징과 과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Chinese High School Curriculum Reform)

  • 천단;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659-668
    • /
    • 2018
  • 한중 양국에 같은 고교 교육문제 주목하고 있음으로써 고교교육을 중심으로 중국 일반고교 교육과정 개혁방안의 목표와 구조, 내용, 운영 및 평가 부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고교 교육과정의 개혁원인과 특징,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고, 문제점에 대한 제안을 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국 고교 교육과정의 개현 원인은 의무교육이 나타났기 때문이고 실제적 고교 교육에 부합하는 고교 교육과정이 필요한 원인이 있다. 둘째, 중국 고교 교육과정 육성목표의 특징은 중국 미래 사회의 발전추세에 따라 학생의 평생학습능력과 핵심능력을 초점으로 두고 있다. 구조의 특징은 교과 및 활동 교육과정의 병행과 선택 및 필수교육과정의 병행구조이다. 내용의 특징은 시대성과 기초화, 선택권을 강조했다. 운영 및 평가의 특징은 운영을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러 지원을 제공하며, 발전성이 있는 평가를 채택하다. 고교 교육과정의 문제점은 교육과정 자체와 교사, 대입시험 3가지 문제점을 잡았다. 문제점에 대해 3가지 제안을 냈으며, 첫째, 고교 교육이 대입준비를 위한 것인지 아니면 국민의 교육을 위한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교사의 핵심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연수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졸업 편가와 대입평가 제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