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of university education

검색결과 4,331건 처리시간 0.029초

융합영재교육의 발전 과제와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 (Discussions on The Direction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 맹희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6호
    • /
    • pp.981-1001
    • /
    • 2013
  • 융합형 인재 육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영재교육에서도 융합교육을 위한 노력들이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노력은 양적으로 매우 부족한 편이며, 과학과 예술에 편중되게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융합교육과 관련된 영재교육의 연구 현황들을 통해 우리나라 융합영재교육의 실현과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를 논의하고, 향후 융합영재교육의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논의결과 융합영재와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명확한 정의의 확립이 필요하며, 영재교육의 수혜영역별 융합적 사고력에 대한 정의와 개념적 틀 마련을 위한 연구들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또한 영재의 특성을 고려한 융합영재교육의 콘텐츠 개발과 융합이론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융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사되어졌다. 더불어 영재교사들의 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들 또한 필요한 것으로 논의되었다.

피쉬본분석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형 콘텐츠 융합 교육 연구모델 도출 (A Study Model of Content Convergence Education for Social Problem Solving through the Analysis of Fishbone)

  • 이중만;박성원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7권4호
    • /
    • pp.49-62
    • /
    • 2020
  • In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of VR·AR contents convergence education for solving social problems was presented after benchmarking the domestic and foreign realistic educational contents industry and policy trends and Fishbone diagram analysis. The goal was to create VR·AR content convergence talent for co-prosperit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target of education was students, researchers, and business personnel who are interested in VR AR technology education and contents business such as game animation, etc. The education model is based on understanding about storytelling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children and the elderly, and is technology education for content production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W, and is a convergence education for content planning and business model strategy development.

「대학­교육대학원 직업특수교육과」와 「전공과」간 융합교육과정에 기반한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화 조건 (A Study on the Qualification of Professional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Convergence Curriculum between the 「Department of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in University-Educated Graduate School」 and the 「Department of Majors」)

  • 김영준;강경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15-125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교육대학원 직업특수교육과"와 "전공과" 간의 융합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자격화 조건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문헌 분석과 전문가 회의를 병행한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내용은 현행의 "대학-교육대학원 직업특수교육과"에서 편성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을 이수하여 직업특수교사의 자격을 취득한 대상이 성인기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으로 재구조화 가능한 전공과에서 교직 경력을 축적한 이후 융합교육과정으로 구축된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에 대한 양성과정에 접근하여 자격을 취득하는 절차적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대학-교육대학원 직업특수교육과"의 교육과정적 기반이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양성과 융합되기 위하여 개선되어야 할 중점 사항 역시 연구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직업특수교육과 장애인 평생교육 간의 기능적 관계를 정립하는 것으로 결론을 고찰하였다.

융합교육의 현황 및 향후 방향: 한밭대학교 사례중심으로 (A Study on Convergence Education: A case of Hanbat National University)

  • 윤린;김인선;최병욱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3호
    • /
    • pp.55-60
    • /
    • 2011
  • 본 논문은 한밭대학교 융합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주요 융합학문 분야의 특징과 국내 대학의 융합교육 현황에 관해 연구한 내용이다. 각 학문분야별로 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대학들의 사례를 분석하였고 국내 대학에서 융합교육의 추진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국내 대학의 융합교육의 효과적인 방향을 도출하였다. 학생들과 교수들의 융합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한 절실함에서 출발하여, 학교와 산업구조의 성격을 고려한 융합교육의 창조, 그리고 융합의 전체적인 학교 틀에서 학생들 스스로 자치그룹형성과 이에 대한 물질적 제도적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 and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 Kim, Kwihoon;Jeon, In-Seong;Song, Ki-S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3-21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현직 초·중등 교사의 인공지능 융합교육 역량 강화 및 소양 함양을 위한 인공지능 소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인공지능 융합교육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검사도구는 Hall et al.(1979)의 관심중심수용모형을 기반으로 George, Hall & Stiegelbauer(2006)이 개발한 관심단계 설문 척도를 사용하였다. 인공지능 소양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 인공지능 융합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적용 전, 후 모두 비사용자의 유형이 나타났으나 전반적인 관심도는 적용 전에 비해 상승하였다. 인공지능 소양 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결과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영역에서 만족한다는 응답이 도출되었으나, 인공지능과 산업의 융합 및 적용 사례에 대해서는 다소 만족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AI 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Analyzing Teachers' Educational Needs to Strengthen AI Convergence Education Capabilities)

  • 김자미;김용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21-130
    • /
    • 2023
  • 학교 현장에서는 사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AI를 접목한 AI 융합교육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I, AI 융합교육에 대한 용어의 혼재를 최소화하기 위해 용어를 정의하고, AI 융합교육을 수행하는 관점에서 교사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전문가 19명의 의견 수렴, 교육대학원의 AI 융합전공에 재학 중인 중등 교사 12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AI 융합교육을 AI 기반교육이나 활용교육이 아닌 문제 해결의 방법론으로 정의하였다. 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에서는 AI와 빅데이터'가 1 순위이며, 'AI 융합교육 방법론', 'AI 활용 학습 실제'등의 순이었다. 본 연구는 AI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가 혼재하는 가운데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용어를 정의하였고, 현직 교사의 AI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장애인 평생교육 융합 관점에서 본 「대학 특수교육과」의 혁신 과제 (The Innovation Challenges of 「University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with Convergence on Lifelong Education of the Disabled)

  • 김영준;강경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67-182
    • /
    • 2018
  • 본 연구는 장애인의 교육적 수요로써 거듭 강조되는 평생교육 관점에서 "대학 특수교육과"의 혁신 과제를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보편적 기초 기반으로 특수교육과 장애인 평생교육 간 정합성을 살펴보았으며, 이어 조직 기반의 일환으로 교원 전문성 역량 개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 지원 기반의 "대학 특수교육과" 평생교육원지역 유관기관­지역구 대학 간 통합 협업체계 구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 기반으로써 대학 평생교육원 자체 장애인 평생교육과정 구축, 학과 차원 "특수교육과"의 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점진적인 재구조화 기반 마련을 제시하였다. 또한, 양성 자격 기반으로 "대학 특수교육과" 협동과정 기반 '장애인 평생교육사(가칭)' 양성을 제시하였다.

독일 울름대학교 계속교육센터의 융합교육 사례 (Case of Convergence Education at the Continuing Education Center at Ulm University in Germany)

  • 박응희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1권2호
    • /
    • pp.1-11
    • /
    • 2021
  • 본 연구는 고령자들을 위한 노인교육에 관한 대학의 융합교육 사례를 살펴보는데 있다. 독일 울름대학교의 학문적인 계속교육 센터(ZAWiW)의 노인주제관련 여러 전공 영역간의 연계, 세대간의 협력 모형을 분석하여 대학기관의 노인교육 다양성과 차별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노인학습자 참여 중심으로 학제간 연구와 노인기의 삶이 연계된 다양한 주제들이 진행되고 있다. 계절아카데미, 울름 3-세대간 대학 등을 통해 지역과 대학의 연계, 학제간 융합 등이 활발히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교육에 대한 대학의 차별화 전략을 이끌어 낼 수 있다.

기계공학의 융합교육을 위한 재료역학 교재 및 휴대용 재료시험기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of material mechanics and portable material testing machine for convergence education of mechanical engineering)

  • 조승현;이순아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20-27
    • /
    • 2018
  • In this paper, we conducted an analysis of existing materials of material mechanics, surveying educational demands, and selecting art fields for mechanical engineering in collaboration with experts in the fields of aesthetics and renaissance in order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conversed with humanities and arts. In addition, as a core education tool for convergence education, it was developed with an education kits that can be disassembled, assembled and carried by students. As a results of research, education materials were introduced various arts, linked to the engineering thinking. And measurement experiments of material characteristics were carried in a general classroom using developed education kits. From a paper results, the artistic sensitivity of the students will be enhanced and the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ill be improved as the ultimate goal of convergence education.

융합 공학교육을 위한 마이크로 디그리 도입 (Micro Degree for Convergence Engineering Education)

  • 홍연기
    • 융복합기술연구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31-3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how to introduce micro degree for innovation in convergence education in our university. To this end,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micro and nano degrees and domestic and foreign applications were reviewed. The reason why the rate of students completing the multi-degree was low was that the credits required for graduation were higher than that of other domestic universities, and the difficulty of the courses offered in the convergence major did not match the students.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f students learning convergence subjects while acquiring new knowledge and skills, the introduction of a micro degree is considered to be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convergenc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