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cussions on The Direction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융합영재교육의 발전 과제와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

  • Received : 2013.11.08
  • Accepted : 2013.12.30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Many studies on convergence education have been done in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to meet the social needs for people of convergence talent and to adjust our education system to the paradigm shift. However, the number of studies on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not sufficient enough and most of them are mainly on science and art. So, this study reviews the previous studies on gifted education involving convergence, and discusses the pressing issues to address for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n korea. Also, the direction of the further research is introduced. There is an agreement that the definition of the convergence gifted and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needs to be clarified, and further researches have to be conducted to establish a basis for defining integrated thinking ability.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the content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ccommodating individual differences, and a theory-based approach to creat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is proposed. On top of that, the needs for the studies on how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capability of the teachers are discussed.

융합형 인재 육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영재교육에서도 융합교육을 위한 노력들이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노력은 양적으로 매우 부족한 편이며, 과학과 예술에 편중되게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융합교육과 관련된 영재교육의 연구 현황들을 통해 우리나라 융합영재교육의 실현과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를 논의하고, 향후 융합영재교육의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논의결과 융합영재와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명확한 정의의 확립이 필요하며, 영재교육의 수혜영역별 융합적 사고력에 대한 정의와 개념적 틀 마련을 위한 연구들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또한 영재의 특성을 고려한 융합영재교육의 콘텐츠 개발과 융합이론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융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사되어졌다. 더불어 영재교사들의 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들 또한 필요한 것으로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문희 (2002). 미술․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논총, 27, 85-107.
  2. 교육과학기술부 (2009a). 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별책 4.
  3. 교육과학기술부 (2009b).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4.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창의인재정책관.
  5. 권난주, 안재홍 (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6. 권영래, 박영충 (1997). 수학, 과학 통합활동이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1), 121-136.
  7. 권재술 (1991). 학문 중심 과학 교육의 문제점과 생활소재의 과학 교재화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1), 117-126.
  8. 김경희 (2013).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 중심의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 중심의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9. 김굉미 (2013). 역사교육에서 예술․과학 통합적 접근 방안.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10. 김대환 (2009). 팀티칭을 활용한 과학과 수학의 통합 교과형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인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1. 김미숙, 이정규, 이희권, 김언주, 맹희주, 이상천, 정경아, 최호진, 한수연 (2007). 제1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에 관한 연구. 수탁연구 CR 2007-66.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
  12. 김민철 (2013). 미국의 STEM 교육 정책과 한국의 STEAM 교육 정책의 비교.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13. 김숙자 (2001). 수․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과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8(1), 173-203.
  14. 김숙자, 곽상신, 홍희주 (2002). 수학과 과학 관련 수업 분석에 터한 실천적 접근으로서의 수학과 과학 통합 교육 활동.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 221-249.
  15. 김영성 (2000). 고등학교 '공통 과학'의 지도 실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00-213.
  16. 김왕동 (2012). 창의적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 관점. 영재와 영재교육, 11(1), 97-119.
  17. 김재복 (1983).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적용. 서울: 교육연구사.
  18. 김정화 (2008). 수학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 교육을 위한 연구: 중학교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9. 김정희 (2012). 융합인재교육(STEAM) 관점에서 미술교과의 공감각(Synesthesia) 교육에 대한 논의.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2, 125-144.
  20. 김준송 (2013). 융합인재교육(STEAM)과정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영재학생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1. 김향숙 (2012a).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 미술교육의 관계와 중요성 고찰. 기초조형학연구, 13(5), 107-115.
  22. 김향숙 (2012b). 예술교육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미술교육연구논총, 32, 1-29.
  23. 노상우, 안동순 (2012). 초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의 발전 방향 모색. 교육종합연구, 10(3), 75-96.
  24. 맹희주 (2005). 통합과학교육의 적용과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과학교수 효능신념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5. 맹희주, 손연아 (2011). 과학 수업에서 통합적 적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과학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차이 분석. 초등과학교육,30(4), 601-614.
  26. 맹희주, 손연아 (2012). 통합과학 수업컨설팅을 위한 초․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적용 현황 분석 및 교사의 수업능력 진단. 교과교육학연구, 16(2), 539-564.
  27. 박성익 (1997). 영재를 위한 교수-학습전략. 교수-학습방법의 이론과 실제(제1권). 서울: 교육과학사.
  28.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29. 박소영 (2013). 중학교 3학년 수학영재를 위한 STEAM 교수-학습자료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0. 박승재 (1982). 통합과학교육. 도원 최종락교수 회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31. 박신영(2000).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2. 박지연 (2013). 24절기를 중심으로 한 융합형 초등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교육대학교.
  33. 백윤수 (2011). 융합인재교육의 총론적 고찰. 융합인재교육 11월, 월례워크숍 발표자료집.
  34. 변영계, 김영환, 손미 (2000).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35. 서보억, 김혜경, 김주영, 김종재, 김현지, 채정림 (2008). 수학의 이해가 과학의 학습에 미치는 경향 분석 및 교과연계성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677-694.
  36. 서예원, 이재분 (2011).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 연구. 수탁연구 CR 2011-68. 한국교육개발원.
  37. 손연아 (1997). 통합과학교육과정의 모형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38. 손연아 (1999). 통합과학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1), 41-61.
  39. 송인섭, 문은식, 하주현, 한수연, 성은현 (2010). 과학영재를 위한 인문사회와 예술의 융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영재와 영재교육, 9(3), 117-138.
  40. 송인섭, 이신동,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2001). 영재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학문사.
  41. 신은주 (2005). 등속도 운동에서 일차함수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 관점을 기반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5(4), 419-444.
  42. 신재한, 남궁정도, 김유, 박성수, 조준범, 이영미, 한주연 (2013). 인형극을 통한 예술중심 STEAM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1), 215-240.
  43. 신종호, 서정희, 최재혁, 김용남, 김윤근, 이현주 (2007). 사교유형에 따른 아동과 일반 아동의 학습 선호 활동의 차이 연구. 초등과학교육, 25(5), 495-506.
  44. 염규아 (2007). 중학교 수학/과학 통합 교육을 통한 중학교 일차 함수 개념 지도 방안.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45. 윤경미, 유순화(2008). 과학영재, 인문사회영재, 일반 중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청소년학연구, 15(5), 287-313.
  46. 이문남, 맹희주 (2004). 10학년 '과학' 교과서 단원 중 물리 영역의 통합과학적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새물리, 49(2), 130-139.
  47. 이보아 (2010). 융합형 영재의 발굴. 한국과학창의재단 제1회 영재교육 열린포럼 발표자료,47(59).
  48. 이슬비 (2013). 미술․과학 융합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49. 이승우, 백종일, 이정곤 (2013).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 수학영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16(1). 35-55.
  50. 이재호 (2012)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16(1), 123-130.
  51. 이정모 (2005). 미래 융합과학기술의 틀과 인지과학. 과학사상, 1, 22-42.
  52. 이종기, 박경화 (2006). 고등학교 과학 영재 학생의 탐구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방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과학교육논총, 31, 83-96.
  53. 이춘식 (2012). 미국 STEM 교육의 최신 동향과 딜레마.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5(4),101-122.
  54. 이혜숙, 이해미, 문종은 (2010). 수학과학통합교육의 설계 및 실행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49(2), 175-198.
  55. 이화국 (1985). 과학교사교육에서 교과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과학교육논총 제 10집.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73-85.
  56. 정광수 (2009). 과학과 예술의 공약 가능성과 한계. 과학철학, 12(2), 87-109.
  57. 조향숙, 김훈, 허준영 (2012). 현장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현안보고 OR2012 02-02, 한국교육개발원.한국과학창의재단.
  58. 조희형, 이문원, 이칭찬 (1985). 과학교육과의 교육과정과 운영에 대한 모델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2), 99-112.
  59. 최윤진 (2013). 팽이형 융합인재 모델 및 초등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60. 최정훈 (2011a).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STEAM 교육. 2011년 8월 9일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한국교원대학교.
  61. 최정훈 (2011b).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STEAM 교육이란?. 한국과학창의재단-월간 과학창의 2월호, 4-7.
  62. 최태호, 박명옥 (2011). 융합형 영재교육의 가능성 모색. 영재교육연구, 21(3), 683-702.
  63. 태진미 (2011). 창의적 융합인재양성, 왜 예술교육에 주목하는가. 영재교육연구, 21(4),1011-1032.
  64. 태진미 (2013). 과학적 태도 수준 그룹에 따른 스토리텔링 기반 STEAM 교육의 효과 검증. 영재와 영재교육, 12(1), 5-28.
  65.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1). 미국의 STEM 교육 정책 동향(I).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보고서.
  66. 한수연 (2009). 기초사고력과 소통능력증진을 위한 예술-과학 연계형 교육프로그램의 논리와 구조. 기초연구 09-01.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67. 홍영기 (2009). 수학.과학교과의 주제중심 통합프로그램의 효과. 통합교육과정연구, 3(1),42-66.
  68. Colangelo, N. M. (1991). Counseling gifted student.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 273-284). Boston: Allyn & Bacon.
  69. Czerniak, C. M., Weber, W. B., Sandman, A., & Ahern, J. (1999). A literature review of science and mathematics integration.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9, 421-430.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9.tb17504.x
  70. Davidson, J. E. (1986). The role of insight in giftednes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 Dewey, J. (1963). Experience & Education. The Kappa Delta Pi Lecture Series, London:Macmillan Publishing Company.
  72. Drake, S. M. (1991). How our team dissolved the boundaries. Educational Leadership, 49, 2022.
  73. Drake, S. M. (1998). Creating integrated curriculum: Proven ways to increase student learning.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74. Dunn, R., & Milgram, R. (1993). Learning styles of gifted students in diverse cultures. In R. M. Milgram, R. Dunn & G. E. Price (Eds.), Teaching and counseling gifted and talented adolescents: An international learning style perspective. Westport, Conn.: Praeger.
  75. Feldman, S. (1998). Teacher quality and professional unionism. In Shaping the Profession that Shapes the Future, Speeches from the AFT/NEA (the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on Teacher Quality.
  76. Hart, E. P. (1990). The science-technology-society movement in science education: Critique of the reform proces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3), 189-203.
  77. Hirst, P. H., & Peters, R. S. (1970). The Logic of Education.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78. Jacobs, H. H. (1989).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79. Kaufman, J. (2010). 창의성 101 [김정희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본출간년도: 2009).
  80. Lamb, J. R., Householder, C. E., & Bailey, D. L. (2000). Integrating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in middle school technology-rich environments: A study of implementation and chang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1), 27-35.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0.tb17317.x
  81. Ludwig, G., & Cullinan, D. (1984). Behavior problems of 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girl and boys. Gifted Child Quarterly, 28, 37-39. https://doi.org/10.1177/001698628402800109
  82.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1). Successful K-12 Stem Education: Identifying effective approach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83. NCTM (1995). 199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Yearbook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84. Nikitina, S., & Mansilla, V. B., (2003). Three Strategies for Interdisciplinary Math and Science Teaching; A Case of Illinois Mathematics and Science Academy. Goodwork Project Report Series 21.
  85. Patterson, C. H. (1973). Humanistic Education, New Jersey: Prentice-Hall, INC.
  86. Pissanos, B. W., & Temple, I. G. (1990). Fitting together-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 and classroom teachers.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 Dance, 62(7), 55-61.
  87. Renner, J. W., & Marek, E. A. (1990). An educational theory base for science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 241-256.
  88. Roebuck, K. I., & Warden, M. A. (1998). Searching for the center on the mathematics-science continu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8(6), 328-333.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8.tb17428.x
  89. Root-Bernstein, R., & Root-Bernstein, M. (2009). 창의성: 그 잠재력의 실현을 위하여 [임웅역].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년도: 2004).
  90. Ross, W.M., Hogaboam-Gray, A. (1998). Integratio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ffects on students. International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3), 113-122.
  91. Sternberg, R. J. (1997). Mental self government: A theory of intellectual styled and their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1, 197-224.
  92. Trefz, R. (1996). Maximizing tour classroom time for authentic science: Differentiating science curriculum for the gifted. ED 400 188. paper presented at the Global Summit on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San Francisco, CA.
  93. Webb, J. T. (1993). Nurturing soci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In K. A. Heller, F. J. Monks, &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 childness and talent (pp. 525-538). Oxford: Pergamon Press.
  94. Yakman, G., & Kim, J. (2007). Using BAOUK to teach purposefully integrated STEM/STEAM education. 37th Annual Conference International Society for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Atlanta,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