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문희 (2002). 미술․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논총, 27, 85-107.
- 교육과학기술부 (2009a). 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별책 4.
- 교육과학기술부 (2009b).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창의인재정책관.
- 권난주, 안재홍 (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 권영래, 박영충 (1997). 수학, 과학 통합활동이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1), 121-136.
- 권재술 (1991). 학문 중심 과학 교육의 문제점과 생활소재의 과학 교재화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1), 117-126.
- 김경희 (2013).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 중심의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 중심의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 김굉미 (2013). 역사교육에서 예술․과학 통합적 접근 방안.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 김대환 (2009). 팀티칭을 활용한 과학과 수학의 통합 교과형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인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김미숙, 이정규, 이희권, 김언주, 맹희주, 이상천, 정경아, 최호진, 한수연 (2007). 제1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에 관한 연구. 수탁연구 CR 2007-66.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
- 김민철 (2013). 미국의 STEM 교육 정책과 한국의 STEAM 교육 정책의 비교.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 김숙자 (2001). 수․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과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8(1), 173-203.
- 김숙자, 곽상신, 홍희주 (2002). 수학과 과학 관련 수업 분석에 터한 실천적 접근으로서의 수학과 과학 통합 교육 활동.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 221-249.
- 김영성 (2000). 고등학교 '공통 과학'의 지도 실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00-213.
- 김왕동 (2012). 창의적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 관점. 영재와 영재교육, 11(1), 97-119.
- 김재복 (1983).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적용. 서울: 교육연구사.
- 김정화 (2008). 수학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 교육을 위한 연구: 중학교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김정희 (2012). 융합인재교육(STEAM) 관점에서 미술교과의 공감각(Synesthesia) 교육에 대한 논의.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2, 125-144.
- 김준송 (2013). 융합인재교육(STEAM)과정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영재학생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 김향숙 (2012a).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 미술교육의 관계와 중요성 고찰. 기초조형학연구, 13(5), 107-115.
- 김향숙 (2012b). 예술교육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미술교육연구논총, 32, 1-29.
- 노상우, 안동순 (2012). 초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의 발전 방향 모색. 교육종합연구, 10(3), 75-96.
- 맹희주 (2005). 통합과학교육의 적용과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과학교수 효능신념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 맹희주, 손연아 (2011). 과학 수업에서 통합적 적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과학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차이 분석. 초등과학교육,30(4), 601-614.
- 맹희주, 손연아 (2012). 통합과학 수업컨설팅을 위한 초․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적용 현황 분석 및 교사의 수업능력 진단. 교과교육학연구, 16(2), 539-564.
- 박성익 (1997). 영재를 위한 교수-학습전략. 교수-학습방법의 이론과 실제(제1권). 서울: 교육과학사.
-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 박소영 (2013). 중학교 3학년 수학영재를 위한 STEAM 교수-학습자료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박승재 (1982). 통합과학교육. 도원 최종락교수 회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 박신영(2000).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박지연 (2013). 24절기를 중심으로 한 융합형 초등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교육대학교.
- 백윤수 (2011). 융합인재교육의 총론적 고찰. 융합인재교육 11월, 월례워크숍 발표자료집.
- 변영계, 김영환, 손미 (2000).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 서보억, 김혜경, 김주영, 김종재, 김현지, 채정림 (2008). 수학의 이해가 과학의 학습에 미치는 경향 분석 및 교과연계성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677-694.
- 서예원, 이재분 (2011).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 연구. 수탁연구 CR 2011-68. 한국교육개발원.
- 손연아 (1997). 통합과학교육과정의 모형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 손연아 (1999). 통합과학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1), 41-61.
- 송인섭, 문은식, 하주현, 한수연, 성은현 (2010). 과학영재를 위한 인문사회와 예술의 융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영재와 영재교육, 9(3), 117-138.
- 송인섭, 이신동,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2001). 영재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학문사.
- 신은주 (2005). 등속도 운동에서 일차함수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 관점을 기반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5(4), 419-444.
- 신재한, 남궁정도, 김유, 박성수, 조준범, 이영미, 한주연 (2013). 인형극을 통한 예술중심 STEAM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1), 215-240.
- 신종호, 서정희, 최재혁, 김용남, 김윤근, 이현주 (2007). 사교유형에 따른 아동과 일반 아동의 학습 선호 활동의 차이 연구. 초등과학교육, 25(5), 495-506.
- 염규아 (2007). 중학교 수학/과학 통합 교육을 통한 중학교 일차 함수 개념 지도 방안.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윤경미, 유순화(2008). 과학영재, 인문사회영재, 일반 중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청소년학연구, 15(5), 287-313.
- 이문남, 맹희주 (2004). 10학년 '과학' 교과서 단원 중 물리 영역의 통합과학적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새물리, 49(2), 130-139.
- 이보아 (2010). 융합형 영재의 발굴. 한국과학창의재단 제1회 영재교육 열린포럼 발표자료,47(59).
- 이슬비 (2013). 미술․과학 융합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 이승우, 백종일, 이정곤 (2013).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 수학영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 16(1). 35-55.
- 이재호 (2012)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16(1), 123-130.
- 이정모 (2005). 미래 융합과학기술의 틀과 인지과학. 과학사상, 1, 22-42.
- 이종기, 박경화 (2006). 고등학교 과학 영재 학생의 탐구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방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과학교육논총, 31, 83-96.
- 이춘식 (2012). 미국 STEM 교육의 최신 동향과 딜레마.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5(4),101-122.
- 이혜숙, 이해미, 문종은 (2010). 수학과학통합교육의 설계 및 실행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49(2), 175-198.
- 이화국 (1985). 과학교사교육에서 교과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과학교육논총 제 10집.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73-85.
- 정광수 (2009). 과학과 예술의 공약 가능성과 한계. 과학철학, 12(2), 87-109.
- 조향숙, 김훈, 허준영 (2012). 현장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현안보고 OR2012 02-02, 한국교육개발원.한국과학창의재단.
- 조희형, 이문원, 이칭찬 (1985). 과학교육과의 교육과정과 운영에 대한 모델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2), 99-112.
- 최윤진 (2013). 팽이형 융합인재 모델 및 초등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 최정훈 (2011a).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STEAM 교육. 2011년 8월 9일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한국교원대학교.
- 최정훈 (2011b).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STEAM 교육이란?. 한국과학창의재단-월간 과학창의 2월호, 4-7.
- 최태호, 박명옥 (2011). 융합형 영재교육의 가능성 모색. 영재교육연구, 21(3), 683-702.
- 태진미 (2011). 창의적 융합인재양성, 왜 예술교육에 주목하는가. 영재교육연구, 21(4),1011-1032.
- 태진미 (2013). 과학적 태도 수준 그룹에 따른 스토리텔링 기반 STEAM 교육의 효과 검증. 영재와 영재교육, 12(1), 5-28.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1). 미국의 STEM 교육 정책 동향(I).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보고서.
- 한수연 (2009). 기초사고력과 소통능력증진을 위한 예술-과학 연계형 교육프로그램의 논리와 구조. 기초연구 09-01.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 홍영기 (2009). 수학.과학교과의 주제중심 통합프로그램의 효과. 통합교육과정연구, 3(1),42-66.
- Colangelo, N. M. (1991). Counseling gifted student.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 273-284). Boston: Allyn & Bacon.
- Czerniak, C. M., Weber, W. B., Sandman, A., & Ahern, J. (1999). A literature review of science and mathematics integration.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9, 421-430.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9.tb17504.x
- Davidson, J. E. (1986). The role of insight in giftednes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 Dewey, J. (1963). Experience & Education. The Kappa Delta Pi Lecture Series, London:Macmillan Publishing Company.
- Drake, S. M. (1991). How our team dissolved the boundaries. Educational Leadership, 49, 2022.
- Drake, S. M. (1998). Creating integrated curriculum: Proven ways to increase student learning.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 Dunn, R., & Milgram, R. (1993). Learning styles of gifted students in diverse cultures. In R. M. Milgram, R. Dunn & G. E. Price (Eds.), Teaching and counseling gifted and talented adolescents: An international learning style perspective. Westport, Conn.: Praeger.
- Feldman, S. (1998). Teacher quality and professional unionism. In Shaping the Profession that Shapes the Future, Speeches from the AFT/NEA (the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on Teacher Quality.
- Hart, E. P. (1990). The science-technology-society movement in science education: Critique of the reform proces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3), 189-203.
- Hirst, P. H., & Peters, R. S. (1970). The Logic of Education.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 Jacobs, H. H. (1989).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Kaufman, J. (2010). 창의성 101 [김정희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본출간년도: 2009).
- Lamb, J. R., Householder, C. E., & Bailey, D. L. (2000). Integrating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in middle school technology-rich environments: A study of implementation and chang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1), 27-35.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0.tb17317.x
- Ludwig, G., & Cullinan, D. (1984). Behavior problems of 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girl and boys. Gifted Child Quarterly, 28, 37-39. https://doi.org/10.1177/001698628402800109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1). Successful K-12 Stem Education: Identifying effective approach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 NCTM (1995). 199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Yearbook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Nikitina, S., & Mansilla, V. B., (2003). Three Strategies for Interdisciplinary Math and Science Teaching; A Case of Illinois Mathematics and Science Academy. Goodwork Project Report Series 21.
- Patterson, C. H. (1973). Humanistic Education, New Jersey: Prentice-Hall, INC.
- Pissanos, B. W., & Temple, I. G. (1990). Fitting together-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 and classroom teachers.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 Dance, 62(7), 55-61.
- Renner, J. W., & Marek, E. A. (1990). An educational theory base for science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 241-256.
- Roebuck, K. I., & Warden, M. A. (1998). Searching for the center on the mathematics-science continu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8(6), 328-333.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8.tb17428.x
- Root-Bernstein, R., & Root-Bernstein, M. (2009). 창의성: 그 잠재력의 실현을 위하여 [임웅역].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년도: 2004).
- Ross, W.M., Hogaboam-Gray, A. (1998). Integratio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ffects on students. International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3), 113-122.
- Sternberg, R. J. (1997). Mental self government: A theory of intellectual styled and their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1, 197-224.
- Trefz, R. (1996). Maximizing tour classroom time for authentic science: Differentiating science curriculum for the gifted. ED 400 188. paper presented at the Global Summit on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San Francisco, CA.
- Webb, J. T. (1993). Nurturing soci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In K. A. Heller, F. J. Monks, &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 childness and talent (pp. 525-538). Oxford: Pergamon Press.
- Yakman, G., & Kim, J. (2007). Using BAOUK to teach purposefully integrated STEM/STEAM education. 37th Annual Conference International Society for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Atlanta,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