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ne-shaped

Search Result 18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Buckling resistance, torque, and force generation during retreatment with D-RaCe, HyFlex Remover, and Mtwo retreatment files

  • Yoojin Kim ;Seok Woo Chang;Soram Oh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8권1호
    • /
    • pp.10.1-10.9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buckling resistance of 3 nickel-titanium (NiTi) retreatment file systems and the torque/force generated during re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The buckling resistance was compared among the D-RaCe (DR2), HyFlex Remover, and Mtwo R25/05 retreatment systems. J-shaped canals within resin blocks were prepared with ProTaper NEXT X3 and obturated by the single-cone technique with AH Plus. After 4 weeks, 4 mm of gutta-percha in the coronal aspect was removed with Gates-Glidden drills. Retreatment was then performed using DR1 (size 30, 10% taper) followed by DR2 (size 25, 4% taper), HyFlex Remover (size 30, 7% taper), or Mtrwo R25/05 (size 25, 5% taper) (15 specimens in each group). Further apical preparation was performed with WaveOne Gold Primary. The clockwise torque and upward force generated during retreatment were recorded. After retreatment, resin blocks were examined using stereomicroscopy, and the percentage of residual filling material in the canal area was calculated. Data were analyzed using 1-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the Tukey test. Results: The HyFlex Remover files exhibited the greatest buckling resistance (p < 0.05), followed by the Mtwo R25/05. The HyFlex Remover and Mtwo R25/05 files generated the highest maximum clockwise torque and upward force, respectively (p < 0.05). The DR1 and DR2 files generated the least upward force and torque (p < 0.05). The percentage of residual filling material after retreat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file systems (p > 0.05). Conclusions: NiTi retreatment instruments with higher buckling resistance generated greater clockwise torque and upward force.

사질토에서 현장타설 팽이기초의 거동특성 (The Behavior of In-situ Top Base foundation in Granular Soil)

  • 김학문;김찬국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0호
    • /
    • pp.121-12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기존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기초가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현장타설 팽이기초의 거동특성을 검토하고자, 현장재하시험 결과를 근거로 팽이기초의 수치해석 모델링을 하였으며, 구성된 수치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기초형식 및 형상 변화에 따른 거동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현장타설 팽이기초 (In-situ TBF)는 전단활동파괴면이 더 깊고 넓게 형성되어 지반파괴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지지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기초의 형상에 따른 효과는 원추부에 의한 것 보다는 말뚝부에 의한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추부와 말뚝부가 조합되어 이루어진 팽이기초 형상이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뚝부의 길이를 증가시키면서 해석을 수행한 결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팽이기초말뚝부의 길이가 효율적 크기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Effects of radiation therapy on the dislocation resistance of root canal sealers applied to dentin and the sealer-dentin interface: a pilot study

  • Pallavi Yaduka;Rubi Kataki;Debosmita Roy;Lima Das;Shachindra Goswami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6권2호
    • /
    • pp.22.1-22.12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and compared the effects of radiation therapy on the dislocation resistance of AH Plus and BioRoot RCS applied to dentin and the sealer-dentin interface.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single-rooted teeth were randomly assigned to 2 groups (n = 15 each): AH Plus (Dentsply DeTrey) and BioRoot RCS (Septodont).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ed to a total radiation dose of 60 Gy. The root canals of all samples were cleaned, shaped, and obturated using the single-cone technique. Dentin slices (1 mm) were sectioned from each root third for the push-out tes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as done to examine the sealer-dentin interface. The failure mode was determined using stereomicroscopy. Bond strength data were analyzed by the independent t-test, 1-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Tukey post hoc test (α = 0.05). Results: Significantly lower bond strength was observed in irradiated teeth than non-irradiated teeth in the AH Plus group (p < 0.05). The BioRoot RCS group showed no significant reduction in bond strength after irradiation (p > 0.05) and showed a higher post-irradiation bond strength (209.92 ± 172.26 MPa) than the AH Plus group. SEM revealed slightly larger gap-containing regions in irradiated specimens from both groups. Conclusions: The dislocation resistance of BioRoot RCS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irradiation and was higher than that of AH Plus. BioRoot RCS may be the sealer of choice for root canal treatment in patients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남서태평양 라우분지 TA19-1 해산과 TA19-2 해산의 지자기 특성 연구 (Magnetic Characteristics of TA19-1 and TA19-2 Seamounts in the Lau Basin, the South Western Pacific)

  • 김창환
    • 자원환경지질
    • /
    • 제47권4호
    • /
    • pp.395-404
    • /
    • 2014
  •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는 심해열수광상탐사를 위하여 2009년에 남서태평양 라우분지의 열수광상유망지역에 대하여 지구물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TA19-1 해산과 TA19-2 해산에 대한 해상자력탐사 결과를 이용하여 이 해산들의 지자기 특성을 분석하였다. TA19-1 해산은 단순한 1개의 원추형 형태로 정상부는 함몰된 칼데라를 가진다. TA19-2 해산은 TA19-1 해산에 비해 규모가 크고 대규모 함몰대를 가진 칼데라가 나타나고, 칼데라 서쪽으로 정상부가 나타나며 능선들도 여러개 존재하는 형태로서 TA19-1 해산에 비해 복잡한 해저지형을 가지고 있다. TA19-1 해산의 자기이상은 정상부를 중심으로 북쪽에는 고이상대가 남쪽에는 저이상대가 나타나는 단순 쌍극자 이상 형태로 분포하고 있다. TA19-2 해산의 자기이상은 해산 북쪽 사면에 고이상대들이 위치하고 있고, 칼데라 서쪽에 위치한 정상부를 중심으로 고이상대가 나타나고 그 주변 및 칼데라 주위로 저이상대가 분포하며 TA19-1 해산에 비교하여 복잡한 형태의 자기이상을 나타낸다. 해저지형, 지자기 자료의 결과는 TA19-2 해산이 TA19-1 해산에 비해 복잡한 화산활동의 결과로 형성되었다는 것을 지시한다. 열수분출대의 가능성이 높은 저자화이상대들은 주로 해산의 정상부 및 칼데라와 칼데라 주변부에 주로 나타나는데 이는 단층 및 균열 등에 따른 열수 분출에 의한 암석 변질의 영향 등으로 판단되며, 정상부와 칼데라 내에 나타나는 높은 고자화대는 volcanic sill, intrusion 등 후기 화성활동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라디에타소나무 단판적층재의 밀도·접착·강도성능 및 내부후성 (Density, Bonding Strength, Bending strength and Decay Resistance of Radiata Pine Laminated Veneer Lumber)

  • 서진석;이동흡;황원중;오형민;박영란;강승모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344-350
    • /
    • 2011
  • 라디에타소나무 단판적층재(LVL)를 제조함에 있어서, CuAz 및 ACQ 방부처리와 비처리, 수성비닐우레탄 접착제와 페놀변성 리조시놀수지 접착제의 상온경화형 접착제를 적용함에 따른 밀도경사, 접착 강도성능 및 내부후성(방부효력)을 살펴보았다. 결과, LVL의 밀도경사에서 접착층 주변이 원추형으로 밀도가 커지는 경사패턴을 보였다. 접착성은 수성비닐우레탄 접착의 경우, 자비반복시험 후 전층이 박리되거나, 일부 층이 박리하고 할렬 틈새 현상이 일어났다. 페놀변성 리조시놀수지 접착제 접착의 경우, 자비반복시험 후 접착층의 응력이 큰데 연유한 굽음과 상하 접착층 사이의 단판의 수직할렬 현상이 있었으나, 접착층의 박리나 할렬이 거의 발견되지 않아 침지박리접착력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방부효력시험에 있어서, 수성비닐우레탄 접착제로 적층한 LVL의 경우 갈색부후균에 의한 부후도가 백색부후균보다 크게 나타났다. 페놀변성 리조시놀수지 접착제로 LVL을 제조한 경우에는 갈색부후균에 의한 질량감소가 적었고, 약제를 처리하지 않더라도 그 피해가 낮았으며, 약제처리한 것은 질량감소율 0 수준을 보일 정도로 방부효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임플란트 상부 티타늄 구조물의 주조방안 (CONFUTER-AIDED CASTING DESIGN FOR IMPLANT TITANIUM SUPERSTRUCTURES)

  • 오세욱;이호용;이근우;심준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21-439
    • /
    • 2003
  • Statement of problem : It is difficult to obtain a good titanium casting body using the traditional sprue design because of high melting point of Ti, and the low fluidity and high reactivity of molten Ti. Purpose : A new sprue design for titanium casting bodies needs more trial and error. In order to decrease the number of trial and error, computer simulation(MAGMASOFT, Magmasoft Giessereitechnologie GmbH, Achen, Germany) was used to optimize sprue design in U-shaped implant superstructures. Material and method : Five kinds of sprue were examined for the design of the sprue former for titanium casting: Sprue design A(sprue length 4 mm, rectangular shape, 4 sprues), Sprue design B(sprue length 4 mm. round shape. radius 2 mm, 7 sprues), Sprue design C (sprue length 2 mm, round shape, radius 2 mm, 7 sprues). Sprue design D (sprue length 2 mm, cone shape, large radius 3mm. small radius 2mm, 7 sprues), and Sprue design E( sprue length 2 mm. one unit channel shape). Sprue design F(sprue length 2mm, one unit channel shape) was also examined for the design of the customized sprue former in the Biotan system(Schutz Dental Gmbh, Germany). The casting bodies were taken in Sprue design A, Sprue design D, Sprue design E, and Sprue design F in the Biotan casting system. The numerically predicted defect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ental castings by the radiographic and sectional view observations. Results : 1.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uter simulation, turbulence during mold filling was decreased in the sequence of Sprue design F, Sprue design E, Sprue design D, Sprue design C, Sprue design B, and Sprue design A. 2. The calculated solidification time contours indicate that hot spot was moved from the casting body to the sprue button in the sequence of Sprue design A, Sprue design B, Sprue design C, Sprue design D, and Sprue design E. The filling pattern of Sprue design F was similar to that of Sprue design E. 3 The predicted filling pattern shows that less turbulence was found in the customized sprue former than in the standard sprue former. 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adiographic and cross sectional observations, casting defects less than 1mm were found at the center of a casting body with Sprue design E and Sprue design F. However, larger casting defects of 4mm were found in a casting with Sprue design A. 5. The predicted casting porosity was similar to that of the real casting. Conclusion : One unit channel-type and customized sprue former can be recommended. Further research and developement of various sprue designs using computer simulation in necessary to optimize casting design, in order to reduce the formation of casting defects in implant titanuim super-structures.

한국산 야생 오소리에서 분리한 오소리구충 (Tetragomphius procyonis)의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 소견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Tetragomphius procyonis (Ancylostomatoidea) from Wild Badger)

  • 손화영;오윤희;김현철;박배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9-385
    • /
    • 2009
  • 계룡산국립공원으로부터 기증된 야생오소리의 췌장에서 오소리구충 (Tetragomphius procyonis)을 분리하여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그 형태를 관찰하였다. 충체의 길이는 수컷 15.0-18.8 mm, 암컷 21.5-25.5 mm에 달하였다. 암수 모두 구강 복면 변연에 한 쌍의 절판과 배면에 하나의 절판이 존재하였다. 컵모양의 구강 기저부에 한쌍의 분기된 아복치 및 한쌍의 아배치가 존재하였다. 충체 전체에 가로 줄무늬가 존재하였고 경부유두 선상의 복측 중앙에 배설공이 개구하였다. 가늘고 긴 교접자 (8.7-9.3 mm)는 그 끝이 서로 융합되어 있었다. 교접낭은 잘 발달되어 있었으며 잘 발달된 배늑은 평행으로 주행하였다. 음문은 충체 후방 4/5 부위에 개구하였고 꼬리에는 미돌기 및 미유두가 존재하지 않았다. 배구 및 부교접자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음문은 체후방 4/5에 개구하였다. 자궁내의 충란은 16 세포기였고 직장내의 충란은 32 세포기였으며 충란의 크기는 77.48-83.45 ${\times}$ 50.75-63.38 ${\mu}m$였다.

토공량 산정을 위한 소형무인항공시스템의 활용성 평가 (Validation on the Utilization of Small-scale Unmanned Aerial Systems(sUAS) for Topographic Volume Calculations)

  • 이용창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7권1호
    • /
    • pp.111-126
    • /
    • 2017
  • 소형 무인항공시스템(무인항공기 플랫펌과 센서의 융합기술, 'sUAS')은 정확성, 경제성 및 운용면의 무궁한 잠재성으로 여러 건설현장에서 새로운 응용이 창출되면서 활용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형 UAS에 의한 토공량 산정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흥시 소재 배곧생명공원 내 위치한 대략 $270m{\times}300m{\times}20m$ 규모의 원추형 성토부를 대상으로 소형무인항공기를 활용하여 영상을 취득한 후, UAS 영상해석을 통해 산출된 토공량을 GNSS Network-RTK 지상측량에 의한 토공량과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무인항공시스템 자료와 GNSS Network RTK 자료에 의한 토공량의 편차가 2% 이하였고 특히, 작업의 편이성, 신속성 및 경제성 면에서 소형 UAS 영상기반 토공량 산정의 효용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식생높이의 산정방안이 보완된다면 중 소규모 현장의 토공량 산정은 물론 3차원 지형공간정보 생성 분야에 무인항공영상의 응용이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Wolf-Hirschhorn syndrome 환아의 치과 치료 치험례 (Dental Treatment of a Wolf-Hirschhorn Syndrome Patient: A Case Report)

  • 김미애;박지현;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13-319
    • /
    • 2016
  • Wolf-Hirschhorn syndrome (WHS)은 4번 염색체 단완의 결실로 발생하며, 지능 및 성장 발달의 저하, 경련, 선천성 심기형과 특징적인 두개안면기형 등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사이가 넓고 돌출된 미간과 코의 기저부가 넓은 특징을 보이는 얼굴 모양은 그리스 전사의 투구(Greek warrior helmet appearance) 와 비슷한 모양을 보인다. 구강 내에서는 구순열, 우상치아, 원뿔형 치관, 다수의 결손치와 이로 인한 만기 잔존 유치 등의 소견을 보인다. 본 증례는 충치치료를 주소로 내원한 9세 여환으로 타병원에서 WHS으로 진단받았으며, 성장 지연, 정신 박약 및 WHS의 특징적인 얼굴 형태를 보였다. 구강 검사를 통해 다수의 영구치 결손과 만기 잔존된 유치 및 다수의 충치를 관찰하였으며, 환자의 협조도 미약으로 전신마취 하에 충치치료 하였다. 다수의 영구치 결손으로 현재 맹출한 영구치 및 유치의 관리가 중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구강 위생 관리 및 불소도포를 위해 주기적인 치과 검진이 필요하다.

상악 전치부 과잉치 외과적 발거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F MAXILLARY ANTERIOR SUPERNUMERARY TEETH)

  • 송우식;김인권;이상현;이완기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1호
    • /
    • pp.46-53
    • /
    • 2001
  • The prevalence of supernumerary teeth is between $1{\sim}3%$. Of these, $90{\sim}98%$ occur in the maxilla with particular predilection for the premaxilla, preceded by mandibular third premolars, mandibular forth molars and maxillary paramolars. The most common ones occur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they may occur singly between the central incisors(mesiodens), or they may be double(mesiodentes). Maxillary anterior supernumeraries may erupt into the oral cavity or remain unerupted. It is found that approximately 25% are erupted, while the rest are unerupted. They are usually a small tooth with a cone-shaped crown and a short root. They may cause delayed eruption, median diastema, bodily displacement or rotation of the adjacent permanent teeth. Occasionally they may lead to the developement of dentigerous cyst or primordial cyst, or eruption into nasal cavity. In this study, 109 supernumeraries surgically extracted from premaxilla in 84 patients are analy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Sex distribution of male and female is 2.2 : 1. 2. Almost cases are in pediatric age from 5 to 12 years old (87%). 3. Problems with supernumeraries are tooth malpositon, diastema, delayed eruption, eruption to nasal cavity and cyst formation. 4. Of 109 supernumeraries, 16(15%) are erupted into oral cavity, 92(84%) are impacted, and 1(1%) is erupted into nasal cavity. 5. Of 84 patients, 59(70%) have one supernumeray while 25(30%) have two supernumeraries. 6. Of 109 supernumeraries, 96(88%) are found within the region of the central incisors. 7. Of 109 supernumeraries, 94(86%) are vertically impacted, 11(10%) are horizontally impacted, 3(3%) are labiopalatally impacted and 1(1%) is impacted in nasal cavity. 8. Of 84 patients, we used palatal flap in 67(80%), labial flap in 6(7%), both flaps in 4(5%) and no flap in 7(8%). And incisive nerve was cut in 33(49%) of 67 palatal flaps. 9. Extration with ostectomy was done in 72 supernumeraries(66%), without ostectomy in 37 teeth(34%). 10. Extraction with tooth sectioning was done in 21 supernumeraries(19%), without tooth sectioning was done in 88 teeth(81%). 11. We used local anesthesia in 70 patients(83%) and general anesthesia in 14 ones(1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