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cation satisfaction

검색결과 1,972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생의 플립드 러닝 기반 감각통합치료 수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tudents' Experiences of Flipped Learning-Based Clas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 이나핼;정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0-92
    • /
    • 2017
  • 목적 : 플립드 러닝기반 감각통합치료 수업을 받은 작업치료 대학생의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수업 후 학습자의 요구와 성찰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대학생의 플립드 러닝 기반 감각통합치료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7년 1학기 K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전공필수과목인 '감각통합치료 및 실습'을 수강한 3학년 학생 중 10명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일대일 면담방법을 이용하였고, 녹음한 면담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의미단위 20개, 중심의미 8개, 주제 3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경험, 오프라인 수업에서의 학습경험, 플립드 러닝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와 성찰의 주제로 분석하였다. 온라인 수업은 원하는 시간과 공간에서 학습할 수 있다는 편리함과 반복학습의 만족감을 가져왔다. 하지만 교수와의 면대면 수업의 부재로 소통과 집중력의 문제를 호소하였다. 오프라인 수업에서는 다양한 감각통합 실습수업에 흥미를 보였고, 적극적인 실습태도의 변화가 있었다. 결론 : 실습이 요구되는 감각통합 수업에 플립드 러닝 기반 수업은 시간의 확보와 실습 몰입 면에서 효과가 있었다. 다른 작업치료교과목도 플립드 러닝으로 수업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었으며, 플립드 러닝 수업을 통해 능동적인 학습 자세가 필요하다는 성찰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작업치료 교육 분야에서 플립드 러닝 수업을 시도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뇌졸중 환자를 위한 팀접근 재활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a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on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Survivors)

  • 조복희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7-15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program for stroke survivors, and to identify its effects on their rehabilitation. The team was composed of 7 members: a rehabilitation nurse, a physician, a physical therapist, an occupational therapist, a therapeutic recreational therapist, a nutritionist, and a researcher. A quasi-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with 36 subjects: 1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8 in the control group, using a noneq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4 times in rehabilitation programsfocused on information and emotional support provided by the rehabilation team-and received telephone counseling from the researcher.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a)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had an ischemic stroke within the last year, (b) patients free of any communication disorder, (c) and those having a primary caregiver who could assist in filling out the form assessing the level of AD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who had been discharged from a tertiary hospital, between October 1st, 1999 and September 30th, 2000. The data were analysed by $X^2$ test, Fisher's exact test, ANCOVA, Wilcoxon's rank sum test, and Wilcoxon's signed rank test using an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erms of physical variables (blood pressure, grasp power, and ADL)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pressure between the two groups (systolic pressure P= .012, diastolic pressure P= .050). 2)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sp power between the two groups (affected side : P= .012, unaffected side : P= .010). 3)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level of ADL between the two groups. 2. In terms of psychosocial variables (depression, self-efficacy, self-esteem, and social activitie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all four psychosocial variables showed a tendency to improv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only two variable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showed a simalar tendency in the control group. 2) The level of social activities in the contro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 month (P= .050). 3.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mproved in both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Stroke has high recurrence rate and requires considerable follow-up care.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and designed for stimult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of stroke survivors. Through the program period of one month (meetings were held weekly), a positive effect was detected in physical variables, although the psychosocial variables did not improve significantly. In retrospect, a one month period may not be an adequate length of time to improve the psychosocial variables, as the stroke survivors were complicated cases, and most of them were elderly. Further research is therefore recommended by increasing the length of program, so that its effect can be more noticeable.

  • PDF

빅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에서 구매의도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Purchase Intention in Soci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Utilized Big Data Analysis)

  • 남수태;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08-414
    • /
    • 2016
  •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환경에서 구매의도에 관한 문헌적 고찰을 통해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개념 모델에서 제시된 요인에 대한 실증 분석된 연구들을 메타분석하기 위해 2005년-2015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만 여과하여 조건에 부합한 총 29편의 논문을 연구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 만족과 구매의도 경로가 가장 큰 효과 크기로 나타났으며, 효과크기는(r = .455)이었다. 두번째 효과크기는 구전과 구매의도 경로에서 효과(r = .398), 다음으로 신뢰와 구매의도 경로에서(r = .386)로 나타났다. 그런데 상호 작용성과 구매의도 경로에서는 가장 낮은 효과크기(r = .342)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개념 모델에서 제시된 예측변수는 약 22%-12%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안전 항해 지원 서비스 제공에 대한 유용성 평가(II) : CPA/TCPA 정보 제공 서비스를 대상으로 (An Evaluation of Effectiveness for Providing Safety Navigation Supporting Service : Focused on CPA/TCPA Information Supplying Service)

  • 황훈규;김배성;신일식;이장세;유영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788-179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육/해상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항해사의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해양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ARPA 혹은 ATA 장비가 탑재되어 있지 않는 선박에 CPA/TCPA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안한다. 제안 서비스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선박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시나리오 기반의 시뮬레이터인 SiNAS 및 CPA/TCPA 정보 제공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유용성을 평가한다. 이를 위해 검증 목적에 적합하도록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명세한 후, 다양한 경력을 가진 12명의 항해사를 선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또한, 임무 성공 여부, 충돌 위험 선박과의 최근접 거리, 충돌 위험 선박을 인지하는데 까지 걸린 시간, 인지한 후 회피 조치를 취한 시간 등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하며, 유효성, 효율성, 만족성의 세 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제안 서비스의 유용성을 평가한다.

건설기업 내부마케팅 구성요인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 연구 - 시공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 (A Relationship study between the internal marketing-related organizational factors in construction companies and corporate performance - Surveyed by executives and employees in Contractor -)

  • 이종선;박순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65-77
    • /
    • 2013
  • 최근 경기침제는 건설 산업의 전반적 건설기업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 2011년 대한건설협회 발표에 따르면 2008년 이후 워크아웃 및 법정관리 중인 건설사는 25개사에 이른다. 이는 기존 건설기업을 운영하는 틀과 사고((思考)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다. 지금부터 건설 산업은 서비스업이 되어야 하며, 또한 미래 성장산업으로 뻗어나가려면 서비스업으로 변신해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서비스산업분야의'외부고객의 만족을 위해서는 내부고객인 종사원의 만족이 우선이다.' 라는 내부마케팅을 건설기업에 시행(도입, 적용) 및 활동에 앞서 내부마케팅관련 구성요인을 선정하려한다. 또한 각 구성요인들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시공사에 기업성과가 있는지 검정하려한다. 그리고 그동안 등한시 하였던 건설기업 구성원의 고객 지향(의식, 인식)적 사고의 전환 도구로, 내부 소통의 도구로 또한 현재 처하고 있는 건설 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건설기업에도 내부마케팅의 시행 및 활동을 제안 하고자 한다.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학생 요구 분석: J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udents' Needs for the Improvement of Liberal Arts Curriculum : Focused on the Case of J University)

  • 이정열;김삼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545-554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J대학의 2개 캠퍼스 11개 학부의 재학생 422명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의 핵심목표, 교양교육과정에서 달성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핵심역량, 개설을 희망하는 교양교과목의 주제 분야, 개설 희망 교과목, 교양교육 개편 시 시급한 과제 등을 성, 학년, 계열 및 캠퍼스별로 알아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교육의 핵심 목표로 남학생은 인성과 리더십을 갖춘 인재를, 여학생은 핵심역량의 달성을 지목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교양교육과정에서 달성해야 할 핵심역량은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인성, 자기진로개발 및 취창업 역량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체능 분야의 교과목 개설을 희망하는 비율이 높았다. 넷째, 개설을 희망하는 교양과목은 여성학 혹은 페미니즘, 스포츠 관련 과목, 철학, 심리학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J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농촌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경험에 대한 인식 (Awareness to the Experience of Rural Married Migrant Women's Life in Korea)

  • 이현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1호
    • /
    • pp.71-103
    • /
    • 2013
  •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 경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와 인천에 거주하는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활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이주여성들의 절반이상은 자신들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으며, 남편과의 만족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학습지도이며, 자녀에게 가장 필요한 지원은 기초 교과지도, 자녀교육의 문제해결 방법으로 방과 후 학교교육 활성화와 언어소통으로 나타났다. 한국생활에서 힘든 점은 언어문제이며, 차별받은 장소는 공공장소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에 적응하는데 가장 필요한 도움은 언어소통, 자녀교육, 지역사회 적응의 문제가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주 참여하는 모임이나 활동은 종교단체, 모국친구 모임이며, 어려울 때 의논하는 사람은 한국인, 모국인 순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농촌지역 결혼이주 여성들이 지역사회와 한국사회에 잘 적응하여 자녀들을 잘 양육할 수 있는 기틀을 지역사회와 한국사회는 제도적으로 잘 마련하며 또한 기초 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 시켜야 할 것이다.

인지된 정보 통제가 소셜 네트워크 이용자의 정보 제공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Information Control on the Knowledge Sharing Intention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Users)

  • 이은곤;김경규;송호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7-127
    • /
    • 2013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자신의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SNS 이용자들의 개인정보가 의도하지 않게 노출되거나 악용되는 사례가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관리에 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정보 통제 요소가 SNS 이용자들의 보안 우려와 SNS 사업자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통해 접근 통제, 열람 통제 및 확산 통제의 세 가지 정보 통제 요소를 추출하였다.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SNS 서비스로서 페이스북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459개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PL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열람 통제와 확산 통제는 유의하게 SNS 이용자들의 보안 우려를 감소시키고 SNS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신뢰를 증진시킴으로써 SNS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지속적인 정보 공유 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보안 문제를 제기한 선도적인 연구일 뿐 아니라, 실제 구현이 용이한 보안 통제 기법을 소개함으로써 실무적인 측면에서도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민간경비원의 탈사회화와 재사회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ocialization and Re-socialization of Private Security Agent)

  • 박영만
    • 시큐리티연구
    • /
    • 제42호
    • /
    • pp.87-113
    • /
    • 2015
  •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탈사회화와 재사회화에 관한 연구로 민간경비원의 탈사회화 원인과 준비과정을 통한 재사회화의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과정을 분석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민간경비원으로 재직하였던 탈사회자 탈사회화 후 재사회화를 경험한 7명의 연구대상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 분석과 연구의 타당도를 평가한 후 내용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민간경비원은 개인마다 다르지만 다양한 요인에 의한 탈사회화를 하게 되었다. 즉, 저임금과 직업에 대한 불안정한 비전, 과도한 업무환경 및 열악한 복리 후생 등이 주된 원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간경비원은 탈사회화의 준비 시기는 업무특성상 40대 전후를 적당한 시기라고 하였다. 즉 전문성이 요구되는 만간경비업무에 대한 신체적인 변화와 자신의 능력을 고려한 시기가 적당하다는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민간경비원은 탈사회화 후 아쉬움 보다는 허탈감과 새로운 직업에 대한 걱정과 두렴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가족과 주변 사람들과의 소통을 통한 사회적응 및 재사회화에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로운 직업을 찾고 사회에 적응하려는 재사회화를 경험하여 새로운 직업에 대한 안정성과 만족감을 나타내고 있었다.

  • PDF

한국 부부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n family life education for couples in Korea)

  • 이은영;장진경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81-204
    • /
    • 2018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egrate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from 1900 to 2016 according to the types of dependent variables individually and statistically to obtain the results of the overall level of the marital education program I need to figure it out. In other words, the general and valid study on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he marriage education program will lead to more concluded conclusions and draw up an integrated and holistic conclus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marriage education program.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rried couples' education program on married couples'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rehensive Meta-Analysis. In other words, funnel plot, forest plot, and trim & fill were used to analyze all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education of the couple, and homogeneity test After choosing an analytical model for the analysis, we calculated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effect size (d) that can compare different individual studies through the analytical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effect size of domestic couples education programs after 1990,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sizes of dependent variable types and program - related variable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of the domestic marriage education program was close to the level of the large effect size and had a substantial and preventive effect. Self-esteem, communication, marital adjustment, emotion, and self control have a substantial and prophylactically significant change depending on the type of subordinate variables related to the marital education program But there was no change in origin family and life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the categorization of the dependent variable categorization of the Korean couple education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marital relations of the participant in the individual inner and the marital relations The effect was significant enough to change. Fourth, Korean couple education program was most effective when mixed age couples were participated in various family life cycl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deeply about marital education program effect of marriage education for various special groups such as married couples who are in a crisis of divorce, . It also means tha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or the last 30 years from 1900 to 2016 were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summarized through meta -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provide the most effective couples education programs for practitioners in the field.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the data of judgment about how to organize the marital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of any ages and characteristic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