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wareness to the Experience of Rural Married Migrant Women's Life in Korea

농촌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 경험에 대한 인식

  • 이현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3.01.25
  • Accepted : 2013.03.10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wareness about the experiences of immigrant women residing in rural areas of life in Korea. Immigrant women residing in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was a self-reported survey. Data collected by utilizing the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indings, more than half of the migrant women a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and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husband. Learning map awareness in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in the most difficult and the necessary support to the children the basic curriculum map, Children's education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after-school and school education activated and was the language barrier. Hard life in Korea, the language is a problem, Place discrimination received was a public place. Adapt to Korean society, language communication, child education, community adjustment problems with the same level of help was most needed. Meetings or activities often involve religious organizations, their home country, and meeting friends. His native Koreans, when it is difficult to discuss in order.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Korea and community well adapted to the social framework that can nurture children married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communities and Korean society and institutional as well prepared, and In addition, the foundation will need to activate the program.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 경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와 인천에 거주하는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활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이주여성들의 절반이상은 자신들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으며, 남편과의 만족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학습지도이며, 자녀에게 가장 필요한 지원은 기초 교과지도, 자녀교육의 문제해결 방법으로 방과 후 학교교육 활성화와 언어소통으로 나타났다. 한국생활에서 힘든 점은 언어문제이며, 차별받은 장소는 공공장소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에 적응하는데 가장 필요한 도움은 언어소통, 자녀교육, 지역사회 적응의 문제가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주 참여하는 모임이나 활동은 종교단체, 모국친구 모임이며, 어려울 때 의논하는 사람은 한국인, 모국인 순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농촌지역 결혼이주 여성들이 지역사회와 한국사회에 잘 적응하여 자녀들을 잘 양육할 수 있는 기틀을 지역사회와 한국사회는 제도적으로 잘 마련하며 또한 기초 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 시켜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휘원. (2006). 한국다문화사회의 형성요인과 통합정책. 국가정책연구. 20, 5-34.
  2.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2010). 경기도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3. 교육과학기술부.(2010). http://www.mest.go.kr.
  4. 김민영.(2007). 여성결혼이민자 지원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김은실, & 김정선.(2007). 지구시대 개인들의 행위 전략으로서 국제결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6. 김이선. (2007).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 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7. 류순희. (2010). 다문화가정 여성의 삶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재규.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농촌생활 적응 관련 요인 분석, 농촌경제. 29(3), 99-100.
  9. 법무부. (2010).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연보. 법무부.
  10. 법무부. (2011).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연보. 법무부.
  11.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8 다문화가족 지원센터 사업결과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12. 서은숙. (2009). 다문화시대 한류의 정체성과 방향. 인문콘텐츠, 14, 165-167.
  13. 설동훈. (2007) 국제 노동력이동과 외국인노동자의 시민권에 대한 연구. 민주주의와 인권, 7(2), 350-39
  14. 신윤환. (2002). 동아시아 한류현상: 비교분석과 평가. 동아연구, 42, 7-15.
  15. 유영은. (2006).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문화 적응에 관한 사례연구와 지원방안: 경기도 북부지역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논문.
  16. 이주여성 긴급지원센터.(2009). 이주여성 상담자료집. 이주여성지원센터.
  17. 이현주. (2009). 여성결혼 이민자의 삶과 자녀교육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임형백. (2007). 한국의 다문화사회의 특징과 사회통합을 위한 다층적 접근. 한국사회학회.
  19. 정기선. (2007). 경기도 코시안의 실태와 지원정책 방안. 성결대학교 개교 45주년 기념 세미나
  20. 정주연. (2008). 베트남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사회복지 학생연구 논총, 2, 236.
  21. 정혜은. (2009). 결혼이민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2. 조한숙. (2009). 농촌노인과 외국며느리의 고부관계 만족도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주경란. (2009).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정책방향에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최유진. (2007). 한국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접근. 장로회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충청남도.(2009). 여성결혼이민자가족 실태조사. 충청남도 복지과.
  26. 통계청. (2010). 2010년도 혼인.이혼 통계결과. 서울:통계청.
  27. 통계청. (2011). 2011년도 혼인.이혼 통계결과. 서울:통계청.
  28. 한국염. (2004). 이주여성의 실태와 과제. 서울외국인노동자센터 정책 세미나 자료.
  29.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08). 다문화사회를 향한 전망과 정책적 대응.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0. 홍소연. (2007).여성결혼이주자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1. Adams, B. N.(1990). The family. Chicago: Rand Mc Nally College Company.
  32. Berry, J. W.(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AninternationalReview, 46, 39-45. https://doi.org/10.1111/j.1464-0597.1997.tb01089.x
  33. Martiniello. M.(2002).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다르게, 평등하게 살기.(윤진 역). 도서출판 한울.
  34. Stalker, P.(2004). 국제이주. (김보영 역). 고양: 이소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