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mp connection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5초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들깨 흰비단병 (Stem Rot of Perilla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권진혁;최시림;이흥수;심홍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7-178
    • /
    • 2012
  •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 재배중인 들깨에서 S.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갈색으로 썩으면서 서서히 시들어 말라 죽었다. 병반부와 지제부의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고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9 ${\mu}m$였다.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이와 같이 들깨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근거로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들깨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둥굴레에 흰비단병을 일으키는 Sclerotium rolfsii에 관하여 (Sclerotium rolfsii Causing Collar Rot on Doonggulle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 권진혁;강수웅;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1-122
    • /
    • 2000
  • 경상남도농업기술원 함양약초시험장 포장에 발생한 병든 둥굴레로부터 병원균을 분리하여 병원균의 특성과 병징을 토대로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둥굴레 흰비단병을 동정하였다. 이 병의 병징은 지제부가 암갈색으로 변하고 그 위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밀생하고, 병반부위에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며 지제부 부근의 토양 표면에도 형성되었다. 병원균은 PDA 배지 상에서 왕성하게 생장하였으며 균사생장 중에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고 균사가 가장 잘 자랄수 있는 온도는 $30^{\circ}C$이였다. PDA 배지에서 시간이 경과되면 갈색을 띤 구형 또는 부정형의 많은 균핵을 형성하였는데 균핵의 크기는 $0.9{\sim}6.8{\times}0.6{\sim}5.2\;mm$ (평균 $2.7{\sim}2.3\;mm$) 이었다.

  • PDF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은방울꽃 흰비단병 (Stem Rot of Convallaria keiskei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이흥수;강동완;곽용범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5-147
    • /
    • 2011
  • 경남농업기술원 함양군 약초전시 포장에 재배중인 은방울꽃에서 S.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원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서서히 시들어 말라 죽었다. 병반부와 지제부의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고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9 ${\mu}m$였다.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은방울꽃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은방울꽃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옥수수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Sclerotium Rot of Corn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권진혁;강동완;이흥수;최시림;이상대;조현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7-199
    • /
    • 2013
  • 2011년 7월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S. rolfsii에 의한 옥수수 흰비단병 증상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갈색으로 변하면서 시들어 말라 죽는다. 병반부와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며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이 형성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이고 잘 자라며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sim}8{\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균사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옥수수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옥수수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Sclerotium rolfsii 에 의한 섬쑥부쟁이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Stem Rot of Aster glehni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이찬중;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85-87
    • /
    • 2005
  • 2003년 6월에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함양 약초시험포장에 재배중임 섬쑥부쟁이에서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이 발생되였다. 병징은 줄기와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면서 암갈색으로 변하고 그 위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생기고, 병반부와 지제부위의 토양 표면에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되었다. 병원균은 감자한천 배지상에서 왕성하게 생장하였으며 균사생장 중에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균사의 크기는 3~$8\mu\textrm{m}$이었다. 감자한천 배지에서 갈색을 띤 구형 또는 부정형의 많은 균핵을 형성하였는데 균핵의 크기는 1~3mm였다.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다. 이상과 같이 병징과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섬쑥부쟁이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팬지 흰비단병 (Stem Rot of Pansy (Viola tricolor)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25-27
    • /
    • 2003
  • 2002년 경상남도 진주시 도로변 화단에 재배중인 팬지에서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는 증상이 관찰되었다. 이 병의 병징은 지제부가 암갈색으로 변하고 그위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밀생하며, 병반 부위뿐만 아니라 지제부의 토양 표면에도 갈색의 둥근 균핵이 많이 형성된다. 병원균의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은 PDA배지에 배양시 3$0^{\circ}C$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균사에는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고 균사 폭은 3.9~10.4 $\mu\textrm{m}$이었다. 균핵은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크기는 1.3~4.2 mm 이었다. 이상의 특징으로 이 병원균은 Sclerorium rolfsii로 동정하였으며 팬지 흰비단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수세미오이 흰비단병 (Sclerotium Rot of Sponge Gourd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김진우;이용환;심홍식
    • 식물병연구
    • /
    • 제18권1호
    • /
    • pp.54-56
    • /
    • 2012
  •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S. rolfsii에 의한 수세미오이 흰비단병 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과실이 수침상으로 무르고 갈색으로 변하면서 썩는다. 병반부와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며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이 형성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이고 잘 자라며 배양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갈색의 작은 둥근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9 ${\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 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수세미오이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그리고 ITS rDNA 염기서열 비교분석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수세미오이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강낭콩 흰비단병 (Stem Rot of Common Bean (Phaseolus vulgaris L.)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강동완;곽연식;최옥희;한성숙
    • 식물병연구
    • /
    • 제18권2호
    • /
    • pp.139-141
    • /
    • 2012
  •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S. rolfsii에 의한 강낭콩 흰비단병 증상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서서히 시들어 말라 죽었다. 병반부와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며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형성하였다.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이며 잘 자라며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9 ${\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 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강낭콩에서 발생한 병징,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병을 S. rolfsii Saccardo에 의한 강낭콩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잠두 흰비단병 발생 (Collar Rot of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김태성;강수웅;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1-133
    • /
    • 2001
  • 2001년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잠두 재배포장에서 줄기가 부패하고 주위에 흰곰팡이가 발생하는 병이 관찰되었다. 이 병의 병징은 지제부가 암갈색으로 변하고 그 위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밀생하고, 병반 부위에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며 지제부 부근의 토양 표면에도 형성되었다. 병원균은 PDA 배지 상에서 $30^{\circ}C$에서 가장 잘 자랐으며 균사생장 중에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PDA 배지에서 갈색 또는 암갈색을 띤 구형 또는 부정형의 많은 균핵을 형성하였으며, 균핵의 크기는 $1.0{\sim}3.7{\times}1.0{\sim}2.8\;mm$(평균 $1.0{\sim}2.3\;mm$)였다. 병원균의 특징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잠두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 PDF

송이 외생균근(外生菌根)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icholoma matsutake Ectomycorrhiza)

  • 구창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1호통권158호
    • /
    • pp.16-20
    • /
    • 2005
  • 송이균근은 형태적으로 매우 특이한 외생균근이다. 즉 송이균근은 Y자형이 아닌 빗자루형이며, 균사는 매우 밝은 흰색을 띠고, 메마른 경우 물에 쉽게 젖지 않는다. 송이균근이 왜 이런 특정을 갖는가를 이해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를 관찰하였다. 송이균근의 정단부에는 균사충이 발달하지 않았고 균근 부위 중에서 균사충이 잘 발달된 부위에서는 Hartig 망이 1-2층 발달하였으나, 세포내부로 침입하여 들어간 균사는 없었다. 그러나 뿌리 외부의 균사충이 덜 발달한 부분에서는 표피세포나 피층세포층에서 Hartig 망이 형성되지 않았다. 이들 세포의 내부에서는 약 $2{\mu}m$ 크기의 반원형 알갱이 형태인 전분체가 세포벽을 전체적으로 덮고 있었다. 송이균사표면은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작은 알갱이로 덮혀있기 때문에 매우 밝은 흰색을 띠며 물의 표면장력으로 인하여 잘 젖지 않는 현상을 부분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송이균사의 세포벽은 매우 얇은 단순한 막질이고, 연결꺽쇄(clamp connection)는 없었다. 송이균근의 정단부에 균사충이 없기 때문에 Y자형으로 갈라지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균근이 가지를 많이치는 것은 송이균근이 소나무뿌리로부터 탄수화물을 받는 표면적을 넓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송이균사의 세포벽이 매우 얇은 것은 세포벽의 신축성이 커서 주기적인 토양건조에 따라 수분포텐셜을 잘 조절하여 원형질분리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생존전략과 관련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거친 균사 표면은 균사가 물에 느리게 젖게 함으로써 삼투포텐셜이 매우 낮았던 균사가 수분을 갑자기 많이 흡수하는 것을 막는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송이균근은 정단부에서 균사충이 발달하지 않으므로 Y자형으로 갈라지지 않으며, 균사표면의 거친 입자는 흰색을 더욱 밝게하면서 잘 젖지 않도록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