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ind spots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초

노인 행정복지서비스 사각지대의 유형 구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Blind Spots in Administrativ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 김민호;이현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7-80
    • /
    • 2024
  • 노인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향후 노인 행정복지서비스 사각지대가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는 노인인구가 증가하는 부산광역시 기장군을 대상으로 노인 행정복지서비스 사각지대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GIS의 네트워크분석을 사용하여 읍·면 행정복지서비스 도달거리와 노인 이동가능거리를 분석하였다. 두 거리 간 비교를 통해 세 가지의 행정복지서비스 사각지대 유형(서비스공급사각지대, 이동불가사각지대, 이중사각지대)을 도출하였다. 기장군의 경우 노인 행정복지서비스 사각지대가 34.2%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이동불가사각지대 21.5%로 가장 높았으며, 이중사각지대 9.5%, 서비스공급사각지대는 3.2%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행정복지서비스 사각지대 유형별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복지사각지대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분산 ID기술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stributed ID Technology based on Blockchain for Welfare Blind Spot Management)

  • 민연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45-150
    • /
    • 2020
  • 정부의 포용적 복지국가 실현 정책에 따라 복지관련 서비스가 다양해지고 복지 급여의 수급 대상자의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사각지대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안전망의 확충이 주요 관심사로 제시되고 있으며 복지위기의 사각지대 관리를 위하여 저소득층 소득과 자립을 지원하고 빈곤·위기 가구를 적극적으로 발굴 및 지원하는 내용의 사회안전망 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복지사각지대 관리를 위하여 사각지대 관련 다양한 문제점을 검토하고 사각지대의 범위를 고려하여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의 적용가능성과 분산 ID(Decentralized Identifier) 기술의 단계별 적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New Vehicle Verification Scheme for Blind Spot Area Based on Imaging Sensor System

  • Hong, Gwang-Soo;Lee, Jong-Hyeok;Lee, Young-Woon;Kim, Byung-Gyu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4권1호
    • /
    • pp.9-18
    • /
    • 2017
  • Ubiquitous computing is a novel paradigm that is rapidly gaining in the scenario of wireless communications and telecommunications for realizing smart world. As rapid development of sensor technology, smart sensor system becomes more popular in automobile or vehicle. In this study, a new vehicle detection mechanism in real-time for blind spot area is proposed based on imaging sensor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other vehicles on the road is important for operation of driver assistance systems (DASs) to increase driving safety. As the result, blind spot detection of vehicles is addressed using an automobile detection algorithm for blind spots. The proposed vehicle verification utilizes the height and angle of a rear-looking vehicle mounted camera. Candidate vehicle information is extracted using adaptive shadow detection based on brightness values of an image of a vehicle area. The vehicle is verified using a training set with Haar-like features of candidate vehicles. Using these processes, moving vehicles can be detected in blind spots. The detection ratio of true vehicles was 91.1% in blind spots based on various experimental results.

차량의 사각 지대 제거를 위한 측/후방 카메라 영상 정합 시스템 (A Side-and Rear-View Image Registration System for Eliminating Blind Spots)

  • 박민우;장경호;정순기;윤팔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8호
    • /
    • pp.653-66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세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각지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파노라믹 비전 시스템(panoramic vision system)을 제안한다. 차량의 후방에는 광각 카메라를 사용하여 후방 거울(rear-view mirror)로부터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를 제거하며, 나머지 두 대의 카메라는 측면 거울(side-view mirror)의 아래에 설치하여 측면 거울로 보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제거한다. 좀 더 효과적인 사각지대 제거를 위해서 세 대의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영상을 정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후방 카메라에서 얻은 영상을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에서 focus-of-contraction(FOC)을 구한다. 그 뒤에 측방 카메라의 영상과 후방 카메라의 영상 사이의 호모그래피(homography)를 구한다. 그 다음으로 영상을 차도와 배경 영역으로 분리하고, 호모그래피를 사용하여 분리한 차도를 정합하고, 가상의 평면에 배경을 투영하여 최종정합을 완성한다. 마지막으로 정합된 영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실린더 파노라마 영상, 가상의 Top-view 시스템, 그리고 차량의 다양한 정보와 함께 사각지대 영상을 보여주는 통합 정보 가시화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드론을 활용한 케이블지지교량 안전점검 사각지대 해소 기술 (Cable-supported Bridge Safety Inspection Blind Spot Elimination Technology using Drones)

  • 이성진;주봉철;김정호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31-38
    • /
    • 2022
  • 케이블로 상부구조가 지지되는 특수교량의 경우 특수한 장비와 인력이 없이는 접근이 어려운 사각지대가 다수 존재하고 있어, 안전점검에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장교와 현수교 등 케이블지지교량의 안전점검 사각지대를 검토하고, 드론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해상에 위치한 사장교를 드론을 활용하여 케이블과 보강형 그리고 주탑을 점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드론을 활용하여 점검자의 접근이 어려운 특수교량의 외부 안전점검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특수교량의 점검사각지대인 주탑 외부 상태 및 손상 확인을 위한 드론 점검은 매우 효과적인 안전점검 방법이다.

드론을 활용한 수거사각지대 해양쓰레기 탐지 및 위경도 매칭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ction of Marine Debris in Collection Blind Spots using Drones and a Method for Matching Latitude and Longitude)

  • 하상현;최은성;김지연;오성훈;정석찬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3-82
    • /
    • 2023
  • 해양쓰레기는 해양생물의 생존, 바닷물 오염, 풍경 등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2차적으로 경제적 손실 및 인간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 수중 및 해수면 쓰레기 문제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사각지대의 해양쓰레기 해결방안 연구는 더디게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드론을 활용해 테트라포드와 같은 사각지대에서 해양쓰레기를 탐지 및 추적한다. 또한 탐지된 쓰레기는 드론의 GPS, 고도, 방위 값 등으로 위치 좌표를 계산해서 이를 시각화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드론을 활용한 해양쓰레기 탐지 및 위경도 매칭 방법은 사각지대에서의 해양쓰레기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한다.

일반교사가 지각하는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특성의 구성개념 탐색 - CQR-M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loration of the Constru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At-Risk Learner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 최수미;유인화;김동일;박애실
    • 교육심리연구
    • /
    • 제32권3호
    • /
    • pp.421-442
    • /
    • 2018
  • 본 연구는 학교 현장의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사각지대에서 다양한 학습 및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 학습자를 보다 종합적으로 설명하고 선별해낼 수 있도록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들을 설명하는 보편적인 다차원적 구성개념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구, 충청지역에서 담임교사 경험이 있는 현재 교직에 재직 중인 교사 156명을 대상으로 주관식으로 구성된 반구조화된 개방형 면접질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장의 일반교사들의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특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서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특성에 관한 구성개념이 학습 및 인지적 차원, 정서행동적 차원, 환경적 차원, 관계적 차원, 일상생활적 차원의 총 5개 영역과 16개 범주로 구성된 다차원적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5개 영역 중 낮은 학습 및 인지적 차원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고 일상생활적 차원의 응답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학습 및 인지적 차원에 이어 정서 행동적 차원이 두 번째로 응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16개 하위 요인들 중 대인관계 소통 및 기술부족과 가족 구조 및 기능이 영역 내 응답비율 및 전체 응답비율이 가장 높은 범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사각영역이 없는 전방향 음원인식을 위한 QRAS 기반의 알고리즘 (QRAS-based Algorithm for Omnidirectional Sound Source Determination Without Blind Spots)

  • 김영언;박구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91-103
    • /
    • 2022
  • 음원의 음량, 방향 및 음원까지의 거리와 같은 음원의 특성을 인식하는 것은 자율주행차, 로봇 시스템, AI 스피커 등 무인 시스템에서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이다. 음원의 방향이나 거리를 인식하는 방법은 레이다, 라이더, 초음파 및 고주파와 소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신호를 발신하여야 하며, 장애물에 의한 비가시 영역에서 발생하는 음원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비가시 영역을 포함한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원의 음량, 방향 및 음원까지의 거리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검출하여 인식하는 방법을 구현하고 평가하였다. 음원을 인식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교차형 기반의 음원인식 알고리즘은 음원의 음량과 방향을 인식할 수 있으나 사각영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뿐만아니라 이 알고리즘은 음원까지의 거리를 인식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 이러한 기존 방법의 한계를 탈피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교차형 기반의 알고리즘보다 더 발전된 직사각형 기법을 사용한 QRAS 기반의 알고리즘으로 음원의 음량, 방향 및 음원까지의 거리를 인식하여 음원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음원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전방향 음원인식을 위한 QRAS 기반의 알고리즘은 직사각형으로 배치된 4개의 음향센서에 의하여 도출되는 6쌍의 음향 도착 시간차를 사용한다. QRAS 기반의 알고리즘은 기존 교차형 기반의 알고리즘으로 음원을 인식할 때 발생하는 사각영역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음원까지의 거리도 인식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전방향 음원 인식을 위한 QRAS 기반의 알고리즘은 사각영역없이 음원의 음량, 방향 및 음원까지의 거리를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각지대를 고려한 이동로봇의 인공표식기반 위치추정시스템 (Landmark based Localization System of Mobile Robots Considering Blind Spots)

  • 허동혁;박태형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56-164
    • /
    • 2011
  • This paper propose a localization system of indoor mobile robots. The localization system includes camera and artificial landmarks for global positioning, and encoders and gyro sensors for local positioning. The Kalman filter is applied to take into account the stochastic errors of all sensors. Also we develop a dead reckoning system to estimate the global position when the robot moves the blind spots where it cannot see artificial landmarks, The learning engine using modular networks is design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dead reckoning system. Experimental results are then presente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localization system.

針의 巨刺法에 對한 實證的 硏究 -眼球의 Blind spot 變化에 對하여- (The practical study of contralateral therapeutic theory in acupuncture approach -about the change in the blind spot mapping pre and post acupuncture-)

  • 우영민;남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0-210
    • /
    • 2000
  • objective to ascertain whether the concept of the therapeutic side is associated with changes in the blind sport mapping that represents the brain function. design Physiological blind spot maps were used as an integer of brain activity before and after acupuncture needling on the meridian point Hapkok(合谷) and Techung(太衝) in the unilateral side decided by double-blind controlled study(20 subjects). setting outpatient clinic participants: adult volunteers intervention twen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comparative groups and underwent specific acupuncture therapy on the unilateral side. Blinded examiners obtained reproducible pre and post-acupuncture cortical maps, which were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main outcome measures Brain activity was demonstrated by reproducible circumferential measurements of cortical hemispheric blind spot maps before and after acupuncture on the unilateral side. in case of acupuncture needling on the ipsilateral side of an enlarged side of bilnd spot, there were reduction of blind spot in 7 cases of 10 subjects, and enlargement in 3 cases. in case of acupuncture needling on the contralateral side of the enlarged side of blind spot, there were enlargement of blind spot in 6 cases of 10 subjects, and reduction in 4 cases. results the significant changes in the blind spots before and after acupuncture were observed Acupuncture needlings on the ipsilateral or contralateral side of an enlarged cortical map were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the therapeutic side traditionally accepted in the oriental medical society. Acupuncture needling on the ipsilateral side of an enlarged blind spot map is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of map, and increaed contralateral cortical activity. Acupuncture needling on the side opposite an enlarged blind spot map is associated with the enlargement of map, and decreased cortical activity. conclusion Reproducible maps of cortical responses can be used to measure the neurological consequences of acupuncture needling. Acupuncture can affect the somatic sensory informations that reach to the contralateral thalamus, and so affect thalamic integration. we found that acupuncture therapy may be associated with an increase or a decrease in brain function depending on the side of acupuncture needling. thus,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 contralateral therapeutic theory in acupuncture approach has the clinical significance in the view of brain fun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