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eeding site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7초

간동맥 화학색전술 후 시술부위의 모래주머니 적용무게에 따른 효과 (The Effect of the Weight of a Sandbag on the Sheath Region after a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 차경숙;고지운;이기령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4-3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exudate and bleeding incidence and the changes in back pain and discomfort based on the weight of a sand bag applied to the femoral puncture site after hepatic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Method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comprised 82 patients randomly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Experimental group 1 patients had a 600g sandbag, experimental group 2 patients an 800g sandbag, and control group patients a 1900g sandbag, on femoral access sites post procedure. The three groups of patients were assessed on level of exudate and bleeding and asked about back pain and discomfort at 30, 60, 120, 180 and 240 minutes after the procedur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udate and bleeding between the three groups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sandbag post procedure. Both back pain and discomfor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bleeding and exuda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sandbag. The lowest level of back pain and discomfort was found in the group with the lightest weight (600 g). Therefore, the use of lighter-weight sandbags to prevent post procedure vascular complications is proposed.

  • PDF

직각 Z-절골술을 이용한 거대 두개골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Large Skull Defect Using Right-Angled Zigzag Osteotomy)

  • 이기영;백혜원;변준희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5호
    • /
    • pp.667-670
    • /
    • 2007
  • Purpose: Among the materials for cranioplasty, autogenous bone is ideal because it is less susceptible to infection and has lower rates of subsequent exposure. However, the procedure is technically demanding to perform and requires a donor site. Disadvantages further exist when the defect is large and there are attendant limitations in donor site. The authors present their experience with reconstruction of large skull defect using right-angled zigzag osteotomized outer table of autogenous calvarial bone, overcoming the limitation in donor site. Methods: From 2000 to 2006, 9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who had undergone reconstruction with right angled zigzag osteotomized outer table of autogenous calvarial bone. Results: Aesthetically satisfactory skull shape was achieved. Major complications of infection, hematoma, plate exposure, and donor site complications of dural tear with bleeding, cerebrospinal fluid leak, and meningitis were not seen. One patient had delayed wound healing and was successfully managed conservatively. Conclusion: Autogenous bone is the material of choice for cranioplasty, especially in complicated cases. Right angled zigzag osteotomy is a useful method in reconstruction of large skull defects with less donor site morbidity.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후 원형문합기를 이용한 위십이지장 문합술 - 문합부 합병증과 예방책 - (Circular Stapled Billroth I Anastomosis after Distal Subtotal Gastrectomy - Anastomotic Complications and Prevention -)

  • 이문수;강길호;조규석;김용진;김형수;이화수;김성용;백무준;김창호;조무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2호
    • /
    • pp.103-108
    • /
    • 2006
  • 목적: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후 원형문합기를 이용한 위십이지장 문합술은 안정성과 간편함, 신속성 등 여러 장점으로 인해 점점 그 선호도가 증가되고 있다. 이에 기계문합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의 고찰을 통해 이 술식의 안전성을 위해 보완해야 될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위암으로 근치적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후 원형문합기를 이용하여 위십이지장 문합술을 시행한 5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합부위의 출혈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시작하였던 2001년 1월을 기점으로 그 이전을 제1군(n=219), 그 이후를 제2군(n=375)으로 분류하여 각 군 간의 임상적 특징과 문합부와 관련된 술후 합병증을 비교하였다. 결과: 두 군 간 합병증 비교에서, 문합부의 누출은 제1군이 4예(1.8%), 제2군이 3예(0.8%) 발생하였고(P=0.196), 문합부 협착은 두 군 모두 발생하지 않아 두 군 간 차이는 없었다. 출혈은 제1군이 43예(19,6%), 제2군이 2예(0.5%)로 제1군에서 많게 나타났다(P=0.019). 결론: 위암 환자의 원위부 위아전절제술 후 원형문합기를 이용한 위십이지장 문합술은 이 술식이 갖는 여러가지 장점으로 권장되는 술식이나, 문합부 출혈이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어 술 중 문합부 출혈 유무를 육안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기계문합법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PDF

식도파열 후 발생한 식도 흉막루와 대동맥루의 수술적 치료: 식도 및 대동맥 이중 우회술 (Double Bypass of Esophagus and Descending Thoracic Aorta for the Treatment of Esophagapleural and Aortopleural Fistula)

  • 박성준;강창현;김경환;유병수;김영태;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753-757
    • /
    • 2010
  • 식도 파열 후 발생한 식도 흉막루 및 대동맥 흉막루를 식도와 대동맥 이중 우회술로 치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48세 남자가 폭발 사고로 인한 손상으로 하부 식도 파열을 진단받았다. 외부 병원에서 1차례 식도 봉합술을 시행받았으나 식도 누출이 지속되었고, 이로 인해 좌측 흉강의 농흉이 동반되어 있었고, 이차적인 대동맥 손상으로 흉부 하행 대동맥에 스텐트를 삽입한 상태로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반복적인 수술 및 농흉으로 인한 유착 및 대동맥 손상을 고려하여 흉골 하행 경로를 통해 식도-위 우회술을 시행하였다. 남아있는 농흉은 감염 징후 없이 만성화 단계를 거치던 중 흉관 삽입 부위로 출혈이 관찰되었다. 검사 결과 흉부 하행 대동맥의 감염성 동맥류로 대동맥 벽이 약해진 상태가 확인되어 대동맥 우회술을 시행하였다. 우측 흉강을 통해 상행 대동맥과 복부 대동맥에 인조혈관으로 우회술을 시행하였고, 흉부 대동액 부위는 결찰하였다. 이후 원위부 결찰 부위에 남아 있는 개통 부위에 대해 혈관 플러그(vascular plug)를 이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더 이상 출혈 없이 4개월째 외래 관찰 중이다.

교정용 밴드 제거 후 미생물 분포 및 치주 조직의 임상적 변화 (Changes of periodontopathogens and clinical parameters of periodontal tissue after debanding)

  • 양유미;김성식;전은숙;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63-274
    • /
    • 2006
  • 본 연구는 밴드 제거 직후 및 4주 경과 후 치주조직의 임상적인 환경변화와 미생물 분포 변화를 알기 위해 시행하였다. 최후방 구치에 밴드를 포함하는 고정식 교정 장치를 장착하고 교정 치료를 1년 이상 시행한 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 22세, 남자 6명, 여자 11명). 최후방 구치의 밴드를 제거한 직후와 제거 후 4주가 경과한 다음에 치주조직의 탐침 깊이와 출혈 빈도를 측정하였으며, 치은 연하의 치태를 채취하여 미생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치주질환에 관련성이 깊은 미생물 중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Treponema denticola를 직접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으로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밴드 제거 직후와 제거 후 4주가 경과한 시점의 치주조직의 탐침 깊이와 출혈 빈도, 병원성 미생물의 존재 여부를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탐침 깊이와 출혈 빈도는 모두 하악 좌측 구치 협면에서 감소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상악 우측 구치 설면에서 감소율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병원성 미생물 중 T. denticola가 밴드 제거 4주 후에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으며, 하악보다 상악에서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비록 밴드를 장착하여 치주 환경이 불량해졌다 하더라도 올바른 구강 위생 관리가 시행된다면 밴드를 제거한 후 정상적인 치주 상태로 회복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반복되는 후방 비출혈에서 내시경 지혈술의 효과 (Efficacy of Endoscopic Electrocauterization for Recurrent Posterior Epistaxis)

  • 이정주;이은규;류광희;서민영;홍상덕;김효열;동헌종;정승규
    • Journal of Rhinology
    • /
    • 제25권2호
    • /
    • pp.75-79
    • /
    • 2018
  • Background and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common site of recurrent epistaxis after initial intervention such as packing and cauterization had failed a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urgical endoscopic electrocautery. Subjects and Method: Retrospective review of 47 patients with recurrent and uncontrolled idiopathic epistaxis between October 1995 and March 2016. All patients underwent endoscopic examination in the operating room after hospitalization. We performed electrocautery when a bleeding site was found. Results: The most common sites of bleeding were the inferior meatus (28%), sphenoethmoid recess (23%), superior septum around the olfactory cleft (13%), and the posterior end of the middle turbinate (15%). There was no serious complication during the one week after surgery. In 46 (98%) patients, refractory epistaxis was successfully controlled. One patient had recurrent epistaxis after electrocautery and underwent endoscopic sphenopalatine artery ligation. Conclusion: In patients with refractory idiopathic epistaxis after failure of first-line treatment, endoscopic examination through a surgical approach and electrocautery for suspected bleeding are effective.

객혈환자의 기관지동맥 조영술 전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기관지내시경 검사의 유용성 비교 및 색전술 성적 (Comparison of Clinical Significance Between Chest CT Scan and Bronchoscopy Prior to Bronchial Artery and Outcome of Embolization in Patients with Hemoptysis)

  • 장중현;유금혜;권정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6호
    • /
    • pp.551-559
    • /
    • 2003
  • 연구배경 : 객혈로 기관지동맥 조영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사전 검사로 흉부 CT 및 기관지내시경 검사를 시행했던 환자들에게서 각각의 검사에서 출혈부위를 예측했던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검사의 일반적인 우선 순위를 점검하고 기관지동맥 색전술의 성적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3차 대학병원에 중등도 이상의 객혈로 기관지동맥 색전술을 시행 받은 환자 50명에 대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객혈의 원인으로 활동성 폐결핵 16명, 비활동성 폐결핵 및 파괴성 폐손상 10명, 아스페르길루스종 8명, 기관지확장중 9명 등이었다. 색전 치료 성공율은 l달째 90%, 3개월째 88%, 추적 관찰된 평균기간 11.6개월까지 76%이었으며 이 기간 중 출혈로 인한 사망이 2예 있었다. 기관지통맥 색선술에 성공한 예에서 확인된 출혈부위와 흉부 단순 촬영의 출혈 예상부위의 일치율은 70%, 흉부 CT의 일치율 80%, 기관지내시경의 일치율 81% 이었고 흉부 단순 촬영 및 흉부 CT의 2가지 정보를 종합한 일치율 83%, 흉부 단순 촬영 및 기관지내시경 일치율은 78% 이었다. 결 론 : 객혈환자의 출혈부위 예측에 있어 흉부 CT, 기관지내시경 검사법 둘 다 높은 진단율을 보여 상호보완적인 성격을 가짐을 알 수 있었고 기관지동맥 색전술의 치료성적은 최근의 다른 기관의 보고와 비슷한 좋은 성적을 보였으며, 향후 이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연구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고성능 AE감수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기초적 성질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Slump Retentive Superplasticizer)

  • 최재진;김은겸;신치범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638-644
    • /
    • 1999
  • Workability time of superplasticized concrete is maintained generally for 30-60 minutes only. Therefore it is of great advantage for the concrete producer to use a high range water reducer which provides an extended slump life. Recently slump retentive srperplasticizer has been developed. Concrete mixing tests were done to know slump, setting, air content, bleeding and hardening characteristics of concrete using slump retentive superplasticizer. With slump retentive superplasticizer, high quality concrete was produced and slump loss of concrete was reduced in big way, making long transportation time possible as a practical alternative to on-site addition.

  • PDF

부순모래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현장 품질 특성에 관한 실험 연구 (Investigation on Properties of Concrete with Crushed Sand on Site)

  • 이성복;이도헌;지남용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07-112
    • /
    • 2003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concrete with crushed sand on site and to propose a quality guideline for its use as artificial sand and concrete. From our experimental result in laboratory and site, we found that demand water of concrete with crushed sand for target slump increased by 18kg/m3 compared to mixed sand and l8kg/m3 compared to sea sand respectively. The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by around 3∼6% when compared to concrete with sea sand. Accordingly, our study showed that the combined sand mixed with sea sand would be desirable to obtain workability and strength of concrete including dry shrinkage and bleeding test. Furthermore, the optimal replacement percentage of crushed sand was 50% with sea sand. As such, crushed sand would be sufficient as fine aggregate for concrete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and quality. Crushed sand, on the other hand can only be used as fine aggregate when VFS(Very Fine Sand) is below 3.5 percentage of weight of sand and particle shape is above 55 percentage. Also, the particle shape and microsand passing NO.200 sieve should continually be improved to increase workability of concrete on site.

동맥천자 인터벤션 시술 후 지속지혈 안전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of Continuous Hemostasis after Arterial Puncture Intervention)

  • 김승기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3호
    • /
    • pp.195-199
    • /
    • 2019
  • Most of the vascular procedures performed for various diagnoses and treatments of various abdominal intervention procedures performed by the Department of Radiology and Angiography are performed by puncture of the femoral artery. For this reason, patients should undergo blood-related tests such as prothrombin time (PT) and partial thromboplatin time (PTT). Therefore, many patients are instructed to take precautions such as putting a sandbag on the puncture site to prevent delayed hemorrhage after hemostasis of the femoral artery puncture site, and not to bend the leg of the treated area for about 3 hours. Because of this, many patients have complained of pain during the procedure and inconvenience during the absolute bed rest time in the w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afety of balloon ancillary devices with sandbags placed on the hemostasis site to prevent delayed hemorrhage after arterial puncture. We compared the safety of each patient with the results of medical records in consideration of the problem that the patient could not press with the focus,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as changed depending on the patient's body shape, and the problem of falling dow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puncture site. As a result, the use of a balloon type ancillary device improves the effect of continuous hemostasis, reduces discomfort during the patient's absolute stabilization time, increases the patient's satisfaction, and is a good alternative to the existing sandb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