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rice powder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 of Black Rice Powder Levels on Quality Properties of Emulsion-type Sausage

  • Park, Sin-Young;Kim, Hack-Yo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37-743
    • /
    • 2016
  • The effects of black rice powder on the quality of sausage were investigated. Samples were prepared with 0% (control), 1%, 3%, and 5% black rice powder. With increasing black rice powder content, the moisture and ash content of sausage increased, while protein con-tent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bserved for the control (p<0.05). The fat content in samples containing 5% black rice powder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bserved for other samples (p<0.05). With increasing black rice powder content, the pH of uncooked and cooked samples increased. In addition,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tent of black rice powder, emulsion stability decreased. On the other hand, with increasing black rice powder content, cooking yield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other samples, those containing high content of black rice powder exhibited higher viscosity. With increasing black rice powder content, the hardness of samples decreased, while the gumminess and chewiness of samples containing black rice powder were less than those observed for the control (p<0.05). Moreover, with increasing black rice powder content, the flavor,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samples increased. In addition, the tenderness of samples containing 3% and 5% black rice powder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bserved for the control and sample containing 1% black rice powder (p<0.05). In addition to the economic benefits, black rice powder can be used to improve quality characteristics.

Effect of Black Rice Powder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Pork Patties

  • Park, Sin-Young;Lee, Jong-Wan;Kim, Gye-Woong;Kim, Hack-Yo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1-78
    • /
    • 2017
  •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patties formulated with black rice powder were investigated. Moisture contents of samples containing black rice powd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Protein, fat, and ash conte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black rice powder content. Uncooked and cooked pH values of samples increased with increasing black rice powder content. Lightness and yellowness of sample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black rice powder. Redness of cooked samples containing black rice powd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Water holding capacity and cooking yield of samples increased with increasing black rice powder concentration. Diameter and thickness reduction ratio of samples decreased with increasing black rice powder content. Sensory evaluation of samp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mples. Thus, black rice powder improved the quality of pork patties.

돈육 재구성 육포의 흑미가루 첨가량에 따른 품질특성 (Effects of black rice powder concentration on quality properties of pork restructured jerky)

  • 박신영;김학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74-47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돈육 재구성 육포에 흑미가루가 첨가되었을 때 일어나는 품질 변화 및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처리구별로 돈육 재구성 육포 제조 시 흑미가루 첨가함량을 0, 1, 3, 5%로 구분하여 제조하였다. 수분함량은 흑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단백질함량과 지방함량은 흑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육포의 가열 전 후 pH는 흑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가열 전 후 색도는 흑미가루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돈육 육포의 보수력과 가열수율은 흑미가루 첨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흑미가루 3%와 5%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가열수율을 나타내었다(p<0.05). 흑미가루 첨가수준에 따른 전단력 변화는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으며, 관능평가 결과 색도, 향미, 연도,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 평가에서 흑미가루 3, 5% 처리구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돈육 재구성 육포에 흑미가루를 일정수준 이상(3, 5%) 첨가하였을 때 대조구에 비해 이화학적 특성들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므로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흑미 분말을 첨가한 소프트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Soft Cookies with Addition of Black Rice Powder)

  • 강창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5권1호
    • /
    • pp.45-52
    • /
    • 2013
  • 흑미분말 소프트 쿠키의 제과 적성을 파악하고자 쿠키 제조시 흑미 분말 첨가량을 3%, 6%, 9% 첨가하여 제조한 후 쿠키의 물리적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흑미 분말 쿠키의 비체적은 대조구와 첨가구 사이에 유의차가 보이지 않았으며 반죽 내 수분함량에 의해 결정되는 퍼짐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결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특히 a값은 시료 간 유의차가 크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쿠키가 맛, 풍미, 색깔, 조직감 등에서 흑미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전체적 수용도에서 6%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흑미와 녹차 혼합분을 첨가한 식빵의 항산화성 및 품질 특성 (A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with Waxy Black Rice Flour and Green Tea Powder)

  • 김원모;이윤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13
    • /
    • 2008
  •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from waxy black rice flour(WBRF) and green tea powder were investigated. The bread was manufactured with 1% of green tea powder and 10, 20, 30 or 40% of WBRF(w/w). The group of 40% of WBRF and green tea powder significantly showed the highest bread weight and volume. Lightness(L value) and yellowness(b value) decreased, but redness(a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WBRF contents in mixtur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the lowest in the control group, but springiness was the lowest in the group of 40% of WBRF and 1% of green tea powder. The sensory scores of appearance, external and crumb color, grainy in the group of 40% of WBRF and 1% of green tea powder were the significantly lowest. Overall acceptabilities of the groups of 10% and 30% of WBRF with 1% of green tea powd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e group of 40% of WBRF and 1% of green tea powder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TEAC content. Thus, if the mixture of green tea powder and WBRF would be used, it might be proper to use 1% of green tea powder and 10% of WBRF mixture considering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read.

  • PDF

흑미 미강 쿠키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Bran Cookies)

  • 주신윤;최해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82-19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흑미 미강 분말을 첨가(0, 1, 3, 5, 7, 9%)한 쿠키를 제조하여 쿠키의 항산화 활성을 입증하고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흑미 미강 분말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11.81{\pm}0.03$ mg GAE/g이며, 이를 쿠키에 첨가한 경우 시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제조된 쿠키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흑미 미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의 기능성과 함께 제품의 적합성 판단을 위해 흑미 미강 분말과 쿠키의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의 결과 흑미 미강에는 섬유소와 지방의 성분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방산의 분석에서 흑미 미강은 약 80%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 성분은 주로 oleic acid와 linoleic acid로 나타났다. 또한 아미노산의 분석에서 대조군에 비해 7% 첨가 쿠키가 높은 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죽의 밀도는 흑미 미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pH는 감소하였다. 쿠키의 수분함량에는 유의적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퍼짐성 지수는 흑미 미강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손실율과 팽창률은 감소하였다. 쿠키의 색도는 흑미 미강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이 낮아지고, a값이 높아졌으며,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쿠키의 기호도 검사(전반적인 기호도, 외관, 향, 맛, 조직감)에서 5%와 7% 흑미 미강 쿠키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성 강도 검사(흑미 미강 향, 고소한 맛, 부드러운 정도, 삼킨 후의 느낌)에서는 흑미 미강을 첨가한 쿠키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강도를 보였으며, 느끼한 향은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강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쿠키에 흑미 미강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쿠키의 기호도를 증가시켜주고 동시에 총 페놀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높여주어 쿠키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쿠키 제조시 기호도가 가장 높고 항산화능이 좋았던 7% 흑미 미강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식이 내 곡류 종류와 지방수준이 성장기 이후 비만유도 흰쥐의 당대사와 항혈전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Kinds of Dietary Grain and Dietary Lipid Level on the Glucose Metabolism and Antithrombogenic Capacity of Full Grown Obesity Induced Rats)

  • 옥향목;손정숙;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8호
    • /
    • pp.613-625
    • /
    • 200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impact of kinds of dietary grain and dietary lipid level on the glucose metabolism and antithrombogenic capacity in obesity induced rats. Total of 80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raised for one month with control diet containing $50\%$ (w/w) well-milled rice powder and $20\%$(w/w) of dietary lipids. The rats were blocked into 8 groups and raised for two months with diets containing well-milled rice, brown rice, black rice, or glutinous barley powder and 8 or $20\%$(w/w) of dietary lipids. The contents of total dietary fiber in experimental grains were in following order; glutinous barley > black rice > brown rice > well-milled rice. Weekly food intake were lower in glutinous barley group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Body weight gain was high in high level of fat groups ($50\%$w/w) than medium level of fat groups ($8\%$ w/w).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in each groups. But brown rice group was a little lower than others. Plasma insulin concentration was lower in black rice and glutinous barley group than rice group. Plasma glucagon concentra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Hexokinase activities in skeletal muscle are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level of dietary fat and grain variety factors. Brown ric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st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in hexokinase activity. Plasma $TXB_2$ concentrations in black rice and glutinous barley groups were lower as compared to rice and brown rice groups. Plasma 6-keto-$PGF_{1\alpha}$ concentrations in glutinous barley group was higher as compared to others. In conclusion brown rice has a little lowering effect glucose concentration. Black rice and glutinous barley intakes enhance antithromboenic capacity. It is suggested that the intakes of mixed gains are recommend.

쌀가루의 종류와 농도를 달리한 찐 흑임자 첨가 흑임자죽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Sesame Gruels Made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teamed Black Sesame and Various Kinds of Rice Powder)

  • 박정리;채경연;홍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19-929
    • /
    • 2007
  • 흑임자를 찌는 방법으로 처리 조건을 달리하고 각각의 쌀가루(찹쌀가루, 찹쌀현미가루, 찰흑미가루)에 찐 흑임자의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흑임자죽을 제조한 후 측정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sesamin 함량은 591.919 mg/100g seed, sesamolin의 함량은 550.081 mg/100g seed, lignan 총 함량은 1142.000 mg/100g seed이었다. SOD 유사활성은 15분 쪄서 처리한 흑임자 시료는 천연항산화제인 tocopherol보다는 활성이 다소 낮았지만 천연항산화제인 sesamol보다는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생 흑임자 시료의 활성보다 다소 높았다. 지방산 분석 결과 15분 쪄서 처리한 흑임자 시료는 생 흑임자에 비하여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arachidon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고형분의 함량은 찹쌀 흑임자죽은 찐흑임자 70%, 찰흑미 흑임자죽은 50%이상 찐 흑임자를 첨가했을 때 높았다. 찹쌀 현미 흑임자죽 고형분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L값은 찹쌀 흑임자죽, 찹쌀현미 흑임자죽, 찰흑미 흑임자죽 모두 찐 흑임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값의 경우 찹쌀 흑임자죽, 찹쌀현미 흑임자죽은 대조군에서 가장 낮았고, 찰흑미 흑임자죽은 70%에서 가장 낮았다. b값은 찹쌀 흑임자죽과 찰흑미 흑임자죽은 대조군에서 낮았고, 찹쌀현미 흑임자죽은 40%이상 찐 흑임자를 첨가하였을 때 낮았다. Texture는 찹쌀 흑임자죽, 찹쌀현미 흑임자죽, 찰흑미 흑임자죽 모두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adhesiveness가 찐 흑임자를 60% 이상 첨가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흑임자죽의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찹쌀 흑임자죽은 60%, 찹쌀현미 흑임자죽은 $60{\sim}70%$, 찰흑미 흑임자죽은 찐 흑임자를 60% 첨가한 시료에서 기호도가 좋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찐 흑임자를 죽에 이용하기 위한 최적 조건은 찐 흑임자의 첨가 비율을 찹쌀 흑임자죽에서는 60%, 찹쌀현미 흑임자죽에서는 $60{\sim}70%$, 찰흑미 흑임자죽에서는 60% 첨가하는 것이 전반적으로 가장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찹쌀, 찹쌀현미, 찰흑미 가루를 첨가한 흑임자죽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sesame gruel added with glutinous rice, glutinous brown rice and, glutinous black rice powder)

  • 박정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81-59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흑임자죽의 첨가비율과 제조방법을 기존의 흑임자죽 조리법(홍진숙 등 2003)을 바탕으로 여러 번의 예비실험을 통해 결정한 $100^{\circ}C$ 15분 볶음 처리한 흑임자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고, 쌀은 통쌀이나 타갠 쌀이 아닌 쌀가루를 대신하여 찹쌀가루, 찹쌀현미가루, 찰흑미 가루를 넣고 흑임자의 첨가 비율은 예비실험을 통해 0, 30, 40, 50, 60%로 정하여 흑임자죽의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흑임자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는 $100^{\circ}C$에서 15분 볶음 처리한 흑임자 시료는 수분 0.09%, 조지방 52.18%, 조회분 4.93%, 조단백 10.75%의 함량을 보였다. 생 흑임자 보다 $100^{\circ}C$에서 15분 볶음 처리한 흑임자 시료에서 모두 sesamin, sesamolin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Lecithin을 이용하여 TBARS를 측정한 결과 $100^{\circ}C$에서 15분 볶은 처리한 흑임자 시료가 기존 천연항산화제인 Tocopherol이나 sesamol 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고,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90% 이상의 높은 소거능을 보였고, 천연항산화제인 sesamol 보다는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100^{\circ}C$에서 15분 볶음 처리한 흑임자 시료에서 Linoleic acid의 함량이 높았고, Palmitic acid, Stearic acid, Arachidic acid, Oleic acid의 함량은 생 흑임자와 거의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Linolenic acid는 $100^{\circ}C$에서 15분 볶은 처리한 흑임자 시료에서만 측정되었다. 흑임자죽의 품질 특성 및 관능검사 결과 찹쌀, 찹쌀현미, 찰흑미 흑임자죽 제조 시 볶은 흑임자 시료를 50% 첨가하였을 때 전반적인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항산화성 및 전반적인 품질 면에서 볶은 흑임자 50% 첨가하였을 때 찹쌀, 찹쌀현미, 찰흑미 흑임자죽의 최적의 제조 방법으로 사료된다.

흑마늘 분말을 첨가한 흑미 설기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Sulgiddeok with Black Garlic Powder)

  • 두화진;심재용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77-684
    • /
    • 2010
  • Black food로서 흑미와 흑마늘을 이용하여 이들이 가지고 있는 생리활성 기능을 부여한 설기떡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설기떡의 주재료인 쌀가루의 호화특성은 모든 항목에서 흑미의 값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멥쌀보다 흑미를 이용하여 떡을 제조할 경우 상대적으로 노화지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색을 측정한 결과 주재료의 영향을 받아 L, a, b값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흑마늘 첨가량에 따라 L, a값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기계적 물성 측정 결과 조직감의 변화는 호화특성 결과와 연관되어 쌀가루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저장기간 동안 흑미 설기떡의 경도증가 폭은 control에 비해 적었다. 미세구조 관찰을 통해 BG0~BG5에서 규칙성을 띄는 벌집모양의 망상구조를 확인하였다. 관능적 품질특성 결과에서는 BG1과 같은 적절한 흑마늘의 첨가는 맛/향(taste/flavor)의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흑미 설기떡이 저장에 따라 경도증가가 감소하여 노화지연에 효과가 있었으며 흑마늘의 적정 첨가 함량은 전체적인 기호도 및 맛과 향 등을 고려하여 1% 첨가구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흑마늘과 흑미가 가지고 있는 생리적 활성으로 인해 기존의 멥쌀을 이용한 떡에 비해 영양적인 가치의 증가도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