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ginning teacher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1초

멘토링 대화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멘토 전문성에 대한 고찰 (Investigation of a Mentor-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action in Mentoring Conversations)

  • 이순덕;고문숙;남정희;이선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77-893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멘토교사와 멘티교사간의 멘토링 대화에 나타나는 상호작용 특징을 분석하여 멘티교사의 교수기술발달 정도와 연관성을 토대로 멘토 전문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임중등과학교사 4명을 멘티교사로, 경력교사를 4명을 멘토교사로 선정하였다. 개발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 따라 멘티교사들에게 5회의 멘토링을 실시한 후 1차, 3차, 5차 멘토링 대화를 상호작용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멘티교사가 실행한 총 5차시 수업을 RTOP으로 분석하여 교수기술발달 정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멘토의 전문성 기준에 대해 고찰하였다. 멘토링 대화에서 상호작용 시작은 멘토가 주도하며 멘토교사 질문의 형태가 단순질문 비율이 높으면 멘티교사 반응은 단순반응의 비율이 높아져 반성의 기회가 차단되고 교수기술 발달정도가 적었다. 반면 멘토교사 질문의 형태가 사고질문의 비율이 높은 경우, 멘티교사 반응은 설명반응의 비율이 높아져 설명반응을 하는 과정이 반성의 기회가 될 수 있고 반성은 반성적 실천을 용이하게 하여 교수기술 발달정도가 높았다. 사고질문의 비율이 높아도 교수기술 지원이 미흡한 경우는 발달정도가 미미했다. 교수기술 피드백 방법이 멘토교사 중심의 설명식이면, 멘티교사가 단순반응을 하게 되는 경향이 있어 반성의 기회가 차단되고 교수기술발달 정도 역시 적었다. 멘토교사 피드백의 형태에서 설명피드백 비율이 높으면, 교수기술발달정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과학교사의 수업실행 전문성 발달을 위한 멘토교사의 전문성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멘토교사는 서로 의견이 교환되는 형식으로 상호작용을 이끌어 갈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둘째, 멘토교사는 상호작용 할 때 멘티교사의 사고에 초점을 두고 반성적 사고를 유도하는 상호작용을 해야 하며, 멘티교사의 반성이 반성적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어야한다. 셋째, 교수기술 지원 시 멘토교사는 명확한 근거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효과적이다. 넷째, 멘토교사는 하나의 교수기술을 지원할 때마다 멘티교사에게 지원된 교수기술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자신의 수업에 지원된 교수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숙고의 과정을 거치도록 유도해야 한다.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과 교사의 직업정체성에 관한 생애사 연구 (Life History Research on the Vocational Identity of Mechanical Education Teachers in Technical High School)

  • 조동근;임세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9
    • /
    • 2017
  • 1970년대 산업화에 의한 숙련기술인력 수요의 급속한 팽창 및 이와 더불어 추진된 숙련기술인력 양성정책에 힘입은 공업교육은 산업변화와 더불어 변화하고, 필요한 인력을 육성하는 가운데 오랜 정체 상태를 벗어나게 되었다. 이후 공업교육은 국가 경제 정책에 종속됨과 이로부터 벗어남을 반복하며, 부침을 거듭해 왔다. 산업화, 정보화, 지식경제화의 영향에 의한 변화의 격랑 가운데 공업고교 교사로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지속된 변화의 와중에서 그들은 무엇을 지키고자 하였으며, 어떤 교사가 되고자 하였을까? 이를 탐구하려는 것이 이 연구의 배경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과 교사의 생애사 연구를 통해 다음 두 가지 문제를 탐구하는 것이다: 기계과 교사로서 겪은 주요한 경험은 무엇인가? 사회와 학교교육 변화의 맥락 속에서 그들의 직업정체성은 어떻게 변화, 형성되었는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과 교사로서 1970년대에 교직에 입문하여 40년 가까이 그 자리를 지킨 2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이를 녹취하여 분석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 외에 연구참여자의 인사기록카드, 각종 수상기록, 언론기사 등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업계 고교 기계과 교사가 겪은 주요한 교육적 경험은 (1)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 (2)기능반 지도교사 경험 (3)공고 교육의 혁신 경험 (4)새로운 분야에 대한 학습 (5)공업고등학교의 급격한 위상변화에 대한 경험 (6)실습장을 유지관리, 안전사고 예방 경험 등이었다. 공업계 기계과 교사의 교직 경험에 따른 직업정체성은 (1)정체성 표류 (2)정체성 안정 (3)정체성 전환 (4)정체성 유보 (5)정체성 승화 (6)정체성 통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되고 발달하였다.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나타난 초임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 분석 (An Analysis of No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 김유경;방정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7-51
    • /
    • 2012
  • 본 논문은 세 명의 초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나타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수학내용지식, 학생이해지식, 교수법에 대한 지식이라는 측면에서 상세히 분석하였다. A교사는 부진아였던 학생 시절의 영향을 받아 구체물을 통한 개념 중심의 수업을 구현하고자 하였고, B교사는 수학자처럼 자신만의 사다리꼴의 넓이를 구해보는 탐구 중심의 수업을 구현하였으며, C교사는 실생활 중심 수업을 하였다. 세 명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나타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구현하려고 하는 수업의 형태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본 논문은 세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초임교사의 수학과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협력적 멘토링을 통한 초임 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에서 나타나는 반성적 실천의 변화 (The Change in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their Teaching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 고문숙;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4-113
    • /
    • 2013
  • 이 연구는 초임 중등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교수에 대한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실천을 유도하는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멘토링 전후의 교수행위의 특징과 실제수업에서의 변화를 통해 교수실행의 반성적 실천이 어떻게 발전되어 가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교수 1명, 박사 석사과정에 있는 연구자 2명, 3명의 멘토교사와 3명의 멘티교사 등 총 9명이 참여하였다. 멘토링 과정에서 멘티수업 녹화본 및 전사본, 학습지도안, 일대일 멘토링 녹음 및 전사본, 멘토 저널과 멘티 저널, RTOP 교수 관찰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업의 분석은 RTOP을 이용하였으며, 멘티교사의 수업에 있어서의 인식과 변화는 자신의 교수행위에 대한 반성(reflection)과 반성적 실천(reflective practice)으로 범주화하여 수업실행 전후의 멘티저널, 멘토링 협의회 녹음전사본, 멘토링 후 멘티 저널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초임 과학교사 3명의 멘토링 이전 수업의 특징은 교과내용지식과 관련된 측면은 어느 정도 구성되어 있으나, 학생들에게 다양한 탐구활동의 기회를 제공해주는 탐구적 교수법과 학생들의 능동적 지식 구성을 강화하는 수업방법에 있어서는 매우 취약함을 보여주었다. 멘토링이 진행됨에 따라 3명의 멘티교사의 차시별 수업을 분석한 결과, 멘티교사별로 상승곡선의 경향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기는 하나, RTOP의 평균 점수는 점진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적 멘토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멘티교사의 교수실행의 변화로 나타난 반성적 실천에서는, 멘토링 과정에서 3명의 멘티교사 모두 수업에 대한 반성이 일어나며 점진적으로 반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적 멘토링을 통해 멘티교사에게 수업반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피드백하는 과정에서 멘티교사의 반성적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와 함께 반성적 실천에 의한 실제수업에서의 변화로 이어졌다. 이는 수업반성을 통해 교수기술의 향상을 가져옴을 알 수 있다.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신규가정과교사의 경험 탐색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Novice Home Economics Teachers Using Photovoice)

  • 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9-38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신규가정과교사로서의 교사생활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내용은, 신규가정과교사는 첫 1년 동안의 교사생활에서 무엇을 경험하며 이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연구방법론은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2022년 가정과교사 중등교사 임용시험에 합격한 후 3월부터 수도권 중학교에 근무하는 신규가정과교사 3명이며, 2022년 2월~2023년 1월에 걸쳐 서면 인터뷰(2월, 1회), 포토보이스(3월~12월, 9회, 총 81장의 사진과 사진별 현장 노트), FGI(여름방학과 겨울방학)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주제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신규가정과교사의 내러티브는 크게 가정과교사 이야기와 신규교사 이야기로 구분되었다. 신규가정과교사는 가정과교사로서, '가정교과는 실천교과이다', '가정과교사는 변화를 만드는 교사이다', '가정교과는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의 하위주제로 자신들의 내러티브를 구성하였다. 또 신규교사 이야기의 하위주제는 '이제 정말 시작이구나', '교직은 멋진 직업이다', '좋은 교사가 되겠다'이다. 이 연구는 신규가정과교사의 첫 1년을 그들의 목소리로 생생하게 탐색함으로써 신규교사의 학교생활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고, 연구전략이자 교육전략인 포토보이스의 가능성을 넓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Exploring Online Learning Profiles of In-service Teachers in a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

  • PARK, Yujin;SUNG, Jihyun;CHO, Young Hoa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8권2호
    • /
    • pp.193-213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online learning profiles of in-service teachers in South Korea, focusing on video lecture and discussion activities. A total of 269 teachers took an online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 for 14 days, using an online learning platform from which web log data were collected. The data showe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the initial participation time,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procrastinating behaviors. A cluster analysis revealed three online learning profiles of in-service teachers: procrastinating (n=42), passive interaction (n=136), and active learning (n=91) clusters. The active learning cluster showed high-level participation in both video lecture and discussion activities from the beginning of the online course, whereas the procrastinating cluster was seldom engaged in learning activities for the first half of the learning period. The passive interaction cluster was actively engaged in watching video lectures from the beginning of the online course but passively participated in discussion activities. As a result, the active learning cluster outperformed the passive interaction cluster in learning achievements.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gard to how to improve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through considering online learning profiles of in-service teachers.

초임 과학교사 지원을 위한 멘토링의 효율성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System to Support Beginning Science Teachers)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3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교사를 포함하여 수업전문성 개발이 요구되는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편으로써 멘토링 체제의 효과와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수업전문성 제고를 통한 교사의 책무성 제고가 요청되며, 여기서 현장 경험 속에서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멘토링이 주목되고 있다. 멘토링이란 개별 교사의 전문성과 경력발달과 연계하여 해당 교사가 전문적으로 그리고 개인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때로는 전문가-초보 관계로 운영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전문성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멘토링 체제 도입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교과별로 멘토-멘티를 최소 3쌍 정도 구성하여 멘토링을 시범운영해 본 결과를 토대로 멘토링 체제 도입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단원의 전 차시 수업에 대하여 멘토와 멘티가 수업동영상을 만들고 그 동영상을 활용하여 수업컨설팅에 초점을 둔 멘토링(video-based discussions)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참여교사의 개인적, 집단적 발전을 촉진할 수 있었다. 멘토와 멘티가 협력하여 수업에서 드러난 증거에 기반을 둔 공동탐구를 수행함으로써 반성적 경험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과학과 멘토링 체제 적용 결과를 멘토링의 필요성과 목적,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멘토링의 필요성, 역할 기대에 비추어본 멘토의 자격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결론에서는 멘토링 체제 운영상의 유의점을 논의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Developed b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김유림;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21-232
    • /
    • 2019
  • 과학 교육에서는 탐구 중심 과학 수업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교육 현장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 그 의미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여러 선행 연구에서 언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자발적으로 설정하고 1년 이상 과학 탐구 수업 계획, 실행 경험 공유, 반성을 함께 한 5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 탐구에 대해 어떠한 이해를 갖고 있는지,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변화되었다고 인식하는 지를 개방형 설문과 개별 면담 자료를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교사들은 과학 탐구를 '과학자가 하는 일'로 설명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자연 현상에 대한 궁금증을 과학적 탐구 기능을 수행하여 해결하는 과정', '과학 실천을 하여 과학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과학자의 탐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과학 탐구라고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두 명의 교사는 과학 탐구가 과학자 또는 학생이 과학을 하는 과정이라는 이해를 기반으로 과학 탐구를 교수-학습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전에는 과학 탐구가 실험과 동일하거나 손으로 조작하는 활동이 필수라는 탐구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다양한 방법의 과학 탐구가 있으며, 실험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형을 개발하거나 사용하여 현상을 설명하고, 학생들 간 증거 기반의 논의에 참여하는 것도 중요한 과학 탐구 과정이라는 발전된 이해를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증명의 필요성 이해와 탐구형 기하 소프트웨어 활용 (The Understanding the Necessity Proof and Using Dynamic Geometry Software)

  • 류희찬;조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419-438
    • /
    • 1999
  • This paper explored the impact of dynamic geometry software such as CabriII, GSP on student's understanding deductive justification, on the assumption that proof in school mathematics should be used in the broader, psychological sense of justification rather than in the narrow sense of deductive, formal proof.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drawn: Dynamic geometry provided positive impact on interacting between empirical justification and deductive justification, especially on understanding the necessity of deductive justification. And teacher in the computer environment played crucial role in reducing on difficulties in connecting empirical justification to deductive justific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research, however, it was not the case. However, once students got intocul-de-sac in empirical justification and understood the need of deductive justification, they tried to justify deductively. Compared with current paper-and-pencil environment that many students fail to learn the basic knowledge on proof, dynamic geometry software will give more positive ffect for learning. Dynamic geometry software may promote interaction between empirical justification and edeductive justification and give a feedback to students about results of their own actions. At present, there is some very helpful computer software. However the presence of good dynamic geometry software can not be the solution in itself. Since learning on proof is a func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curriculum organization, evaluation method, the role of teacher and student. Most of all, the meaning of proof need to be reconceptualized in the future research.

  • PDF

가정과 교사의 Brown에 의해 분류된 가정과 교육과정 모형 선호도 -교육과정 모형을 결정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Home Economics Teaehers' Preferences for Home Economies Curricnlum Design categorized by Brown -Focusing on elements detel111ining curriculum designs-)

  • 백은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1-104
    • /
    • 1998
  •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1) to determine the preferences for three home economics curriculum designs(HECD) categorized by Majorie Brown(Technical HECD, Self Actualization HECD, and Practical Reasoning HECD), (2)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middle school HE teachers and high school HE teachers on each curriculum element, and (3)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ferences for three HECD by curriculum elements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HE teachers. For these objectives, the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HE teachers of secondary schools in the areas of Seoul, In-Cho, and Keungi. The 300 data collected by mailed survey were analyzed into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and contingency coefficient using SAS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HE teacher respeondents preferred the Practical Reasoning HECD about the following curriculum elements: Purpose of HE education, knowledge, subject matter, teaching method, society and culture, learner, learning atmosphere, and HE teacher's role. 2) No significant difference emerged when Chi-square was applied to determin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middle and high school HE teachers) on three HECD according to each curriculum element. 3) The contingency coefficient between preferences of HE education purpose for three curriculum designs and age was 21, years of teaching was 23, between preferences of learning atmosphere of three curriculum designs and location of school was. 17. These mean that the younger and more beginning teachers perferred HE purpose of the Practical Reasoning HECD, and HE teachers working in urban area more preferred learning atmosphere of Practical Reasoning HEC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