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History Research on the Vocational Identity of Mechanical Education Teachers in Technical High School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과 교사의 직업정체성에 관한 생애사 연구

  • Received : 2017.02.10
  • Accepted : 2017.03.22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ocational identity through the reflection of the major experience as the teacher through the life history of the technical high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technical high school mechanical and career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six steps. Six major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were identified as results of the research: (1) the experience of trying to train the specialist of precision machining in the beginning of teacher's life, (2) experience as a skill competition team teacher, (3) experience of innovating public education by introducing new industry field, (4) experience of constant learning new field and sharing with colleagues, (5) experience in the rapid change of the status of technical high school, (6) experience in the prevention of students' safety accidents and maintenance of the practice field. Through these educational experiences, each research participant was forming one's vocational identity as a mechanical teacher. The vocational identit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identified as follows: (1) identity drifting phase, (2) identity stability stage, (3) transition stage of the teacher role, (4) suspended stage to preserve identity, (5) identification sublimation stage, (6) identification of the true meaning of the teacher, and integration of the identity. Through these six steps, their identities were formed, strengthened and changed at each stage.

1970년대 산업화에 의한 숙련기술인력 수요의 급속한 팽창 및 이와 더불어 추진된 숙련기술인력 양성정책에 힘입은 공업교육은 산업변화와 더불어 변화하고, 필요한 인력을 육성하는 가운데 오랜 정체 상태를 벗어나게 되었다. 이후 공업교육은 국가 경제 정책에 종속됨과 이로부터 벗어남을 반복하며, 부침을 거듭해 왔다. 산업화, 정보화, 지식경제화의 영향에 의한 변화의 격랑 가운데 공업고교 교사로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지속된 변화의 와중에서 그들은 무엇을 지키고자 하였으며, 어떤 교사가 되고자 하였을까? 이를 탐구하려는 것이 이 연구의 배경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과 교사의 생애사 연구를 통해 다음 두 가지 문제를 탐구하는 것이다: 기계과 교사로서 겪은 주요한 경험은 무엇인가? 사회와 학교교육 변화의 맥락 속에서 그들의 직업정체성은 어떻게 변화, 형성되었는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과 교사로서 1970년대에 교직에 입문하여 40년 가까이 그 자리를 지킨 2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이를 녹취하여 분석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 외에 연구참여자의 인사기록카드, 각종 수상기록, 언론기사 등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업계 고교 기계과 교사가 겪은 주요한 교육적 경험은 (1)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 (2)기능반 지도교사 경험 (3)공고 교육의 혁신 경험 (4)새로운 분야에 대한 학습 (5)공업고등학교의 급격한 위상변화에 대한 경험 (6)실습장을 유지관리, 안전사고 예방 경험 등이었다. 공업계 기계과 교사의 교직 경험에 따른 직업정체성은 (1)정체성 표류 (2)정체성 안정 (3)정체성 전환 (4)정체성 유보 (5)정체성 승화 (6)정체성 통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되고 발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석, 김영만(2006). 교사발달단계와 교사의 직무능력 및 직무만족간의 관계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4, 119-142.
  2. 김대욱(2014). 생애과정관점에서 본 한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직생애와 정체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3. 김태훈, 이규녀, 박기문(2008).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직무만족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8(2), 127-142.
  4. 김현수, 이용순, 김민규(2013). 북한이탈주민 경력경로 분석을 통한 취업역량 강화 방안 연구. 서울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박성희(2004).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생애사 연구를 중심으로. 서울: 원미사
  6. 박창언 외(2010). 교사 및 학교별 특성이 특성화 공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29(3), 41-60.
  7. 박태준 외(2003). 직업교육 기피현상의 사회문화적 접근, 서울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안광식(2006). 공업계 고등학교 공업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수행능력의 중요도 및 수준. 직업교육연구, 25(3), 21-38.
  9. 유홍준 외(2014). 직업정체성 척도개발과 직업정체성의 선행 및 결과변인들 간 관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4), 617-642.
  10. 유태호(2000). 체육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1. 이점우(2006). 한 60 대 초등학교 여교사의 삶과 가르침: 생애사적 사례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2. 전승환, 나승일(2006).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발달특성과 전문성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181-201.
  13. 조동근(2017).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과 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한 생애사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간행
  14. 최규남(2003). 한국 직업교육정책 연구. 서울 : 문음사.
  15. Burden, P. R. (1982). Implications of Teacher Career Development: New Roles for Teachers, Administrators and Professors. Action in Teacher Education, 4(4), 21-25. https://doi.org/10.1080/01626620.1982.10519117
  16. Burke, P. J.(1984). Teacher Career Stages: Implications for Staff Development. Fastback 214. Phi Delta Kappa, Eighth and Union, Box 789, Bloomington.
  17. Day, C., Elliot, B., & Kington, A.(2005). Reform, standards and teacher identity: Challenges of sustaining commitmen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5), 563-577. https://doi.org/10.1016/j.tate.2005.03.001
  18. Fuller, F. F.(1969). Concerns of teachers: A developmental conceptualiz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6(2), 207-226. https://doi.org/10.3102/00028312006002207
  19. Gregorc, A. F.(1973). Developing plans for professional growth. NASSP Bulletin, 57, 1-8.
  20. Huberman, M.(1989). The professional life cycle of teachers. Teachers college record, 91(1), 31-57.
  21. Katz, L. G.(1972).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https://doi.org/10.1086/460731
  22. Kelchtermans, G.(1993). Getting the story, understanding the lives: From career stories to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9(5), 443-456. https://doi.org/10.1016/0742-051X(93)90029-G
  23. Lasky, S.(2005). A sociocultural approach to understanding teacher identity, agency and professional vulnerability in a context of secondary school reform.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8), 899–916. https://doi.org/10.1016/j.tate.2005.06.003
  24. McAdams, D. P.(1997). The life story interview, Evanston, IL: Northwestern University.
  25. Palmer, P. J.(1997). The heart of a teacher identity and integrity in teaching. Change: The Magazine of Higher Learning, 29(6), 14-21.
  26. Rosenthal, G.(1993). Reconstruction of life stories : principles of selection in generating stories for narrative biographical interviews. The narrative study of lives 1(1), pp. 59-91.
  27. Sachs, J.(2005). Teacher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Learning to be a teacher. London; New York: Routledge.
  28.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