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istive technology device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7초

HTML5를 이용한 청각장애인의 u-Learning 기반 IT 직업 교육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Learning based IT Vocational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of the Deaf Using HTML5)

  • 이근민;김동옥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95-201
    • /
    • 2015
  • 본 연구에서 언제어디서든 학습이 가능한 u-Learning 접근방법은 웹과 모바일기기를 상호호환 가능한 동시에, 안드로이드와 Mac OS, PC 등 모든 모바일 기기에서 호환이 용이하도록 HTML5을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의 IT 교육 콘텐츠(JSP, Oracle)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온라인 컴퓨터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모바일기기를 지원하고 있지만, 대부분이 플래시기반으로 제작된 콘텐츠라 각각의 모바일기기에서 호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HTML5를 활용하여 개발된 콘텐츠에서 웹과 모바일기기를 상호호환이 가능하였다. 둘째, 개발된 콘텐츠를 대상으로 FLASH와 HTML5 콘텐츠 제작 도구들의 장단점을 각각 비교해 볼 수 있었으며, HTML5를 활용하여 다양한 이벤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셋째, 청각 장애인의 u-Learning 설계 지침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에 따라 웹과 모바일 기기의 접근할 수 있는 설계 전략들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의 경우 장애유형에 따라 교육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설계지침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 PDF

골반교정 및 자세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균형의자 개발 (Development of the Balance Chair for Improving Postural Control Ability & Pelvic Correction)

  • 오승용;신선혜;강승록;홍철운;권대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71-27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진동모터에 의해서 촉각 피드백이 구현되는 골반교정 및 자세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균형의자(balance chair)를 개발하고 그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C Nylon을 이용하여 몸체을 제작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터치 TFT와 아두이노를 사용한 주 제어모듈, 사용자 자세판별을 위한 9축 가속센서, 촉각피드백을 위한 진동모듈을 내장하고 사용자의 편안한 착석감을 위한 쿠션으로 외부를 둘러싼 균형의자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제품을 이용한 자세균형 훈련시스템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여성 피험자 10명을 대상으로 척추움직임의 주요근육인 좌우 요장늑근에 대한 근활성도(%MVIC)를 측정하였고 자세균형능력 평가장비인 Spine Balance 3D를 이용하여 훈련 전후의 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 균형의자를 통한 운동 및 자세균형 유지 시 진동을 통한 피드백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좌우 요장늑근이 균형적으로 활성화되고 또한 이를 통한 훈련 전후 균형능력이 증진되는 결과를 얻었다. 향후 본 연구는 다양한 자세균형 제품 개발에 기초 연구로 활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심페소생술 시행 시에 휴대용 압박 센서 활용이 흉부압박의 질에 미치는 영향: 마네킹 기반 시뮬레이션 연구 (The effect of portal compression sensor on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s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 mannequin based simulation study)

  • 양현모;백경민;김광석;윤병길;김진우;김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44-750
    • /
    • 2013
  • 본 연구는 평균 이송시간에 따른 흉부압박을 심정지 환자에게 수기로만 이루어진 압박과 깊이 보조 장치를 사용한 압박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영향을 규명하여 심정지 환자의 심폐소생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2011년 9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청주시 소재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1급 및 2급 응급구조사 20명과 BLS provider를 이수한 응급구조과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수기로만 이루어진 흉부압박과 깊이 보조장치를 사용한 흉부압박의 결과 기록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기로만 이루어진 흉부압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압박깊이는 떨어지고 횟수는 증가했으며 깊이 보조 장치를 사용한 흉부압박은 압박깊이를 유지하고 횟수는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나타내었고 두 그룹 모두 깊이 보조 장치를 사용하였을 때 압박 정확도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 심폐소생술 시행 시에 깊이 보조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심정지 환자에게 유용한 영역이라 사료된다.

발달장애 아동의 놀이 활동을 위한 N-스크린 기반의 웹앱 개발 (Development of Web Application Based on N-screen for Play Activ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 강정배;김진희;김창걸;송병섭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8
    • /
    • 2013
  • 현대 사회는 ICT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교육방법이 등장하였고, 이러한 교육방법은 장애아동 교육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충분히 입증되었지만, 장애아동의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콘텐츠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매체에서 같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IT 기술인 N-스크린 기술을 적용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놀이 활동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콘텐츠는 아동의 개별적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디지털 기기를 통해 진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또한, 개발된 콘텐츠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아동이 접하게 되는 다양한 환경(가정, 학교 등)에서 PC, 스마트폰, 휴대용 기기를 활용하여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교육 프로그램을 가정, 학교 등에서 연계하여 진행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제작된 콘텐츠를 지적장애 및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3명에게 적용하여본 결과 본 콘텐츠는 놀이교육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매개체로 사용할 수 있었다. 또한 콘텐츠를 사용하여본 특수교육 전문가와의 인터뷰 결과 아동에 따라 구성물과 강화물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은 기존 콘텐츠 보다 아동의 중재에 있어서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TcpO_2$를 이용한 신경병성 당뇨환자 조기진단 (An early diagnostic method for diabetic neuropathy using $TcpO_2$)

  • 김진태;김성우;남기창;박중훈;김덕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32-234
    • /
    • 2006
  • Diabetic neuropathy is one of the most common diabetic complications. In clinical practices, nerve conduction velocity (NCV) has been used as a standard method for diagnosing diabetic neuropathy. However, it applies maximum of 100mA electric stimulus to nerves causing stress and pain to patients. In this study. as a non-invasive method, $TcpO_2$ was utiliz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TcpO_2$ and $SpO_2$ of normal and diabetic neuropathy subjects. In addition, a new method of diagnosing diabetic neuropathy using $TcpO_2$ is suggested. 50 normal subjects and 50 diabetic patients with neuropathy diagnosed by NCV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ameters used in this study were $TcpO_2,\;TcpCo_2$, and $SpO_2$. As a result of the $TcpO_2$ measurements,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found from $TcpO_2$ of hands and feet from normal and patients group (p<0.01). $SpO_2$ measured from index finger of normal and patient group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On the other hand, $SpO_2$ measured from great toes of normal and patient group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pO_2$ of finger and $TcpO_2$ of hand was 0.400 (p<0.01) and $SpO_2$ of toe and $TcpO_2$ of foot was 0.471 (p<0.01). Both correlation valu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nsitivities and specificities of the $TcpO_2$ method were found to be 66 % and 92 %, respectively. If suggested $TcpO_2$ method is used periodically. prevention and early diagnosis of diabetic neuropathy is possible.

  • PDF

노약자를 위한 변기 리프팅 시트 연구 (A study on the toilet lifting seat for the elderly)

  • 김민서;손혜민;조진호;김상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459-464
    • /
    • 2024
  • 본 연구는 화장실 변기 사용 과정 중 일어나는 노인 낙상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변기 리프팅 시트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설계에 앞서 화장실 사용과 관련된 규정과 법률 및 국가표준을 통해 보조 기구 설치 가능 공간을 결정하였으며, 고령자의 신체 치수 및 작동 범위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외부의 도움 없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변기 시트의 최종 위치를 설정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기립 보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구 작동 시 시트 상승과 각도 조절이 동시에 구현되게 복합 4절링크 구조를 적용하였으며 Linkage 프로그램과 UG NX를 이용하여 적절한 링크 형상과 치수를 결정하였다. ANSYS Workbench를 이용한 FEA 해석 및 실제 제작을 통해 기구 작동 과정의 링크 안전성 검증 및 리프팅 시트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였다.

Acoustic Monitoring and Localization for Social Care

  • Goetze, Stefan;Schroder, Jens;Gerlach, Stephan;Hollosi, Danilo;Appell, Jens-E.;Wallhoff, Frank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6권1호
    • /
    • pp.40-50
    • /
    • 2012
  • Increase in the number of older people due to demographic changes poses great challenges to the social healthcare systems both in the Western and as well as in the Eastern countries. Support for older people by formal care givers leads to enormous temporal and personal efforts. Therefore,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is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oday's care. This can be achieved by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ies. These technologies are able to increase the safety of patients or to reduce the time needed for tasks that do not relate to direct interaction between the care giver and the patient. Motivated by this goal, this contribution focuses on applications of acoustic technologies to support users and care givers in ambient assisted living (AAL) scenarios. Acoustic sensors are small, unobtrusive and can be added to already existing care or living environments easily. The information gathered by the acoustic sensors can be analyzed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user by localization and the context by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acoustic events in the captured acoustic signal. By doing this, possibly dangerous situations like falls, screams or an increased amount of coughs can be detected and appropriate actions can be initialized by an intelligent autonomous system for the acoustic monitoring of older persons. The proposed system is able to reduce the false alarm rate compared to other existing and commercially available approaches that basically rely only on the acoustic level.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it explicitly distinguishes between the various acoustic event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type of emergency that has taken place. Furthermore, the position of the acoustic event can be determined as contextual information by the system that uses only the acoustic signal. By this, the position of the user is known even if she or he does not wear a localization device such as a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3D 프린트를 통해 제작된 손목 보조기의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Wrist Orthosis with 3D Printing)

  • 최현우;강인영;노건우;서안나;이종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947-953
    • /
    • 2019
  • 임상에서 사용하는 진단 검사 장치인 전산화 단층촬영기와 자동화된 설계 소프트웨어(MediACE 3D Prog ram), 3D 프린터로 손목 보조기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전산화단층촬영기로 상지의 Dicom 파일을 획득한 후 MediACE 3D Program을 통해 손목 보조기를 디자인하여 "STL(stereolithography)"파일을 만들었고, 디자인된 손목 보조기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쇄하였다. 3D 프린팅 기술로 제작된 손목보조기의 효용성 검증을 위해 뼈와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 및 보조기의 스트레스 분포를 유한요소해석으로 나타내었다. 손목 보조기를 제작할 때 유한요소해석의 결과를 가지고 뼈와 피부가 압력에 의한 손상과 보조기의 파손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를 보강하여 손목 보조기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뇌졸중 환자에서 기능평가와 보행 및 균형과의 관련성 (The Relation Between the Fugl-Meyer Motor Assessment and Walking and Balance Ability in Stroke Patient)

  • 배원식;이건철;남형천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9-69
    • /
    • 2011
  • Purpos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correlations among Fugl-Meyer Assessment Scale, walking velocity, walking asymmetry and balance ability. Methods :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50 stroke patient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in the Sanggye Paik, Ilsan Paik, Seoul Paik, and Dobong Hospital. All subjects were ambulatory with or without an assistive device.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on Fugl-Meyer Assessment scale and walking velocity, walking asymmetr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The results revealed that upper extremity coordination, balance and pain items of Fugl-Meyer Assessment scal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alking velocity and upper extremity and upper extremity motor and balance items of Fugl-Meyer Assessment scal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alking asymmetry. Fugl-Meyer Assessment scal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atic Balance Index, Dynamic Balance Index and Weight Distribution Asymmetry Index. Their power of explanation regarding comfortable walking velocity and comfortable walking asymmetry were 60.3%, 42.5%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ed that Fugl-Meyer Assessment scale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alking velocity, asymmetry and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alance ability. Therefore Fugl-Meyer Assessment scale is an appropriate assessment tool to predict walking ability of patients with stroke. Futher study about walking velocity and asymmetry by change of Fugl-Meyer Assessment scale is needed using a longitudinal study design.

고령층 근로자들을 위한 팔꿈치 착용형 로봇의 개발 (Development of Elbow Wearable Robot for Elderly Workers)

  • 이석훈;이시행;김정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6호
    • /
    • pp.617-624
    • /
    • 2015
  • 본 논문은 고령화되는 현대 사회에서 고령층 근로자들의 팔꿈치 근력 보조를 위한 웨어러블 로봇의 개발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기존에 연구 개발된 다양한 웨어러블 로봇들은 착용자가 사용하기에 가격, 휴대성 측면 뿐만 아니라 느린 착용자 의도 파악에 단점들이 있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강조하였다. 첫째, 양팔 작업 시 가장 많은 모멘트를 받는 팔꿈치 관절에만 구동기를 부착하여 무게와 부피 및 가격을 줄이고 실용성을 높였다. 둘째, 웨어러블 로봇의 작동을 추종 모드와 근력 증강 모드로 나누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상박 근력 측정 장치로부터 착용자의 의지를 실시간 파악하여 모드가 자동적으로 전환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부터 빠른 착용자 의도 파악과 동작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로봇을 이용하여 무 부하 시 착용자의 모션 추종 성능을 측정하고, 부하 시 EMG (Electromyography) 센서로부터 상박의 근력을 측정함으로써 착용자의 근력 보조 성능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초당 120 도의 모션 추종 성능과 60% 이상의 근력 보조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