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 turbidity

검색결과 1,695건 처리시간 0.029초

유기산이 숙면의 저장성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Organic Acids on Shelf Life and Textural Properties of Cooked Noodle)

  • 차욱진;김공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2호
    • /
    • pp.166-174
    • /
    • 1998
  • 저장성이 좋지 않은 숙면(熟麵)을 식초, 젖산, 구연산, 사과산과 같은 유기산에 침지하여 총균수와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하여 유기산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면가닥을 각각의 유기산 수용액에서 30초간 침유(沈遺)시켜 $pH\;4.7{\pm}0.25$로 맞추어 포장 후 $15^{\circ}C$에서 4일간 저장하는 동안 총균수와 혼탁도를 비교 측정했다. 총균수에서는 식초, 젖산, 구연산, 사과산, 대조구 순으로 총균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혼탁도에서는 대조구, 젖산, 사과산, 구연산, 식초 순으로 높았다. 또한 $35^{\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면서 Rheometer를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한 결과 견고성과 부착성은 대조구보다 유기산처리구가 높게 나타났고, 응집성과 탄성은 다소 감소 추세였으나 큰 변화가 없었다. 껌성은 대조구보다 사과산과 구연산 처리구가 다소 높았다. 관능검사에 의한 종합적인 선호도 순서는 사과산>구연산, 젖산>대조구, 식초순으로 1% 수준의 유의적 차이의 결과를 얻었다.

  • PDF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위하여 Sym-bio공정과 용존 오존 부상공정을 이용한 하수처리의 효율 분석 (A Treatment Efficiency of Wastewater by using Sym-Bio Process and Dissolved Ozone flotation Process for Water Reuse)

  • 박찬규;박재한;이경희;안윤희;고광백;정현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6-90
    • /
    • 2008
  • Water reuse of effluent is limited, due to bacteria and chromaticity or turbidity which may result in low perception of water quality. Consequently, this study showed a method in the reuse of treated wastewater by a diversified treatment method, with separation of centralized reformation of aeration tank into pre-treatment with minimum installation of facilities, and post-treatment, applying advanced oxidation treatment. A pilot plant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Sym-Bio process adopting an NADH Sensor without modification of the exiting aeration tank. The Dissolved Ozone Flotation process, which is an advanced oxidation process, to treat the remaining organics, nutrients, chromaticity, turbidity and bacteria. As a result in the Sym-Bio process, the biological treatment, even on the condition of single stage reaction tank, the treatment efficiencies of BOD, $COD_{Mn}$, $COD_{Cr}$, SS and T-N were 96.6%, 84.6%, 88.25%, 95.1% and 71.0%, respectively, while that for T-P was 25.0%, which required further treatment. In the Dissolved Ozone Flotation process, the advanced oxidation treatment, the treatment efficiencies of BOD, $COD_{Mn}$, $COD_{Cr}$, SS, T-N, T-P, chromaticity, turbidity, bacteria, coliforms were 78.9%, 34.6%, 28.7%, 48.0%, 70.4%, 82.4%, 84.0%, 74.5%, 99.8% and 99.4%, respectively.

Investigation of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around landfill where slaughtered animals were buried

  • Bark, Jun-Jo;Jung, Hae-Sun;Woo, Jong-Tae;Lee, Sung-Sik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59-467
    • /
    • 200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if there were groundwater contamination in 17 landfill where slaughtered animals were buried during the crisis of 2002 foot-and-mouth-disease (FMD) outbreaks in Gyeonggi province. From March to August 2005 groundwater was collected once a month from 17 sites, and examined with potential for hydrogen (pH), colour, turbidity, lead (Pb), arsenic (As), mercury (Hg), cadmium (Cd), copper (Cu), zinc (Zn) , iron (Fe), manganese (Mn) , aluminium (Al), nitrate-nitrogen $(NO_3-N)$, ammonia-nitrogen $(NH_3-N)$, microbial pathogen and Escherichia spp. In the examination of $NH_3-N$ which of the mean concentration was from not-detected (ND) to 0.05 mg/l. The range of $NH_3-N$ level was $0.3-24.1mg/{\ell}$. However, groundwater from four sites was to go beyond 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DWQS), i.e., the mean concentration of those were $15.5mg/{\ell}\;(site\;1),\;20.7mg/{\ell}\;(site\;9),\;24.1mg/{\ell}\;(site\;13)\;and\;10.6mg/{\ell}\;(site\;17)$. In the investigation of pH, colour and turbidity, all of the pH were below of DWQS (pH 5.8-6.6), but one site in color test and four sites in turbidity test were over the standard level. Among 9 metal ions examined, Mn was in excess of DWQS, and its concentration was $2.4mg/{\ell}$. Pb, Cd, Hg and As were not traced. The contents of Cu, Zn, Fe and Al were $ND-0.22mg/{\ell},\;0.01-0.05mg/{\ell},\;ND-0.05mg/{\ell}\;and\;0.03-0.16mg/{\ell}$, respectively. Escherichiae spp were not identified, but bacterial colonies were detected at 3 groundwater including 2 sites over the DWQS at the level of $491CFU/m{\ell}\;(site\;4)\;and\;217CFU/m{\ell}\;(site\;15)$.

유기 및 무기응집제를 이용한 산성광산배수 침전 연구 (Precipitaion of Acid Mine Drainage Using Coagulants and Flocculants)

  • 오택근;황원정;이종운;차종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5권3호
    • /
    • pp.3-10
    • /
    • 2016
  • 산성광산배수(Acid mine drainage; AMD)를 처리하기 위한 자연정화시설의 반응조는 긴 체류시간을 위해 넓은 면적이 요구되며, 집중호우로 인해 유량이 급격히 늘어나는 여름에는 체류시간 부족으로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못하고 많은 오염물질이 유출수로 빠져나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부지 및 환경 특성으로 인해 넓은 면적이 요구되는 자연정화시설을 설치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폐광산의 AMD에 응집제를 사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오염물질을 침전시키고 탁도를 개선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W광산에서 배출되는 AMD에 무기응집제 PAC (Poly Aluminium Chloride)와 유기응집제인 PAM (Polyacrylamide) 성분이 포함된 고분자응집제를 사용하여 AMD의 상등수 및 여액의 중금속 농도와 침전된 슬러지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입도분석, ICP-OES, SEM-EDS 분석을 실시하였다.

응집 현상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 및 입자 형태 특성: Alum을 사용한 경우 (Pollutant Removal and Characteristic of Floc by Alum Coagulation)

  • 문병현;김승현;이향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263-1271
    • /
    • 2000
  • Alum을 이용한 응집 과정에서 탁도 및 유기물 제거와 응집 floc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실험에서 구한 탁도 제거영역을 Amitharajah의 연구결과와 비교했을 때 sweep floc 및 charge neutralization의 제거영역이 낮은 pH 영역으로 이동하였는데 그 원인은 원수에 포함된 유기물 농도가 다른데서 찾을 수 있다. 대체적으로 탁도 및 유기물($UV_{254}$와 TOC)의 제거영역은 비슷하였으나 탁도 제거에 비해 낮은 pH에서 유기물 제거의 효과가 높았다. Floc의 특성은 AIA, SALLS 방법을 이용하여 volume diameter과 fractal dimension을 측정하였다. AIA 방법에 비해 SALLS 방법의 측정이 용이하고 신뢰성도 높았다. SALLS 방법을 이용하여 floc을 측정한 결과 sweep floc 영역의 floc이 charge neutralization 영역의 floc 보다 fractal dimension과 평균 직경이 크게 측정되었으며, 오염물질의 제거율이 높을수록 floc의 fractal dimension과 평균 직경도 크게 나타났다.

  • PDF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응집 및 정밀여과 처리공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agulation and MF Membrane Process for the Reuse of Sewage Effluent)

  • Paik, Ke-Jin
    • 환경위생공학
    • /
    • 제20권3호
    • /
    • pp.36-43
    • /
    • 2005
  •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재이용을 위해 2004년 1월$\~$12월까지 수질상태를 조사하였다. BOD, SS, 탁도, 총인과 색도의 월별로 조사한 연평균은 각각 4.1mg/L, 2.9mg/L, 0.8NTU, 1.3mg/L, 27unit이었다. 쟈테스트는 급속혼화 5분, 완속교반 15분, 침전 1시간의 조건하에서 오염물질의 제거율을 조사하였다. 사용된 응집제는 Alum과 폴리염화알루미늄이고, 방류수 중의 색도, 탁도, 총인, 총유기탄소 등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특히 폴리염화알루미늄을 사용시 탁도와 용존성인의 제거 효과가 좋았다. 응집공정과 연속한 정밀여과 공정에 의한 유기물의 제거효과를 조사한 결과, 분자량 1,000 Dalton 이상의 범위에 있는 물질의 제거가 잘 이루어진 반면, 소독부산물의 생성에 영향을 주는 분자량 500 Dalton 이하 물질의 제거율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복합공정에서 이 범위 분자량의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흡착공정 등의 추가공정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인라인 혼화 및 응집 시스템의 성능특성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inline mixing and coagulation system)

  • 김동준;박상규;양희천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3호
    • /
    • pp.269-275
    • /
    • 2014
  • 본 연구는 PI 개념에 근거한 수처리용 인라인 혼화 및 응집 시스템의 성능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3단 인라인 혼화 및 응집 시스템은 처리 원수 저장조, 응집제 주입 정량펌프, 혼화 및 응집관, 침전조 및 제어 판넬로 구성된다. 동일한 응집제와 응집보조제의 주입량 조건에서 응집제의 증가에 따른 탁도 제거율에 비해 응집보조제의 증가에 따른 탁도 제거율이 약 3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동일한 혼화 및 응집 시간 조건에서 인라인 방식이 기계식에 비해서 평균적으로 약 4.6배 정도 탁도 제거율이 높게 나타났다.

유입원수 조류제거를 위한 high rate DAF 최적화 연구 (High Rate Dissolved Air Flotation (DAF) for the Removal of Algae Species)

  • 정우식;안주석;송근원;오현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15-419
    • /
    • 2017
  •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large increases in the hydraulic loading rates used to design dissolved air flotation (DAF) facilities for drinking water applications. High rate DAF processes are now available at loading rates of 20 to $40m^3/m^2{\cdot}h$. This research evaluated dissolved air flotation as a separation method for algae and organic compounds from water treatment plants. During the service period of 2016. 5. to 2017. 6., DAF pilot plants ($500m^3/day$) process has shown a constantly sound performance for the treatment of raw water, yielding a significantly low level of turbidity (DAF treated water, 0.21~1.56 NTU).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lgae cell counts in the influent source, it was expressed at 100-120 cells/mL. In DAF treated water, the removal efficient of alge cell counts was found to be upto 90%. The stable turbidity and algae removal were confirmed by operating the high rate DAF process under the condition of the surface loading rate of $30m^3/m^2{\cdot}hr$.

톱밥에 의한 염색폐수의 흡착처리 (Adsorption of Textile Wastewater on Sawdust)

  • 김탁현;박철환;김상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39-445
    • /
    • 2008
  • 톱밥은 가장 저렴하면서도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얻을 수 있는 흡착제중의 하나이며, 이는 사용 후 재생할 필요없이 소각시켜 버리거나 연료물질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톱밥은 산업폐수중의 색도 혹은 금속 이온성분의 제거를 위한 흡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톱밥의 흡착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염색폐수내의 색도, 유기물질, 부유물질, 탁도 및 금속 이온 성분을 대상으로 그 흡착처리 특성을 확인하여 보았다. 특히, Langmuir, Freundlich, BET 및 Sips 흡착등온식을 활용하여 Fe(III) 이온 물질의 흡착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톱밥 입자크기 및 주입량에 따른 영향도 조사하였다. 연속식의 고정상 흡착 실험을 통하여 SS 50.0%, Fe(III) 25.0%, 탁도 79.4%, 색도 48.6% 그리고 COD 50.9%의 제거효율을 획득하였다. 또한, SEM 분석을 통하여 흡착전후의 톱밥표면을 관찰하였다. 결론적으로, 폐톱밥이 산업폐수의 처리를 위한 양호한 흡착제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l(III), Fe(III)계 응집제의 인 제거 특성 및 플럭의 가시화 (Phosphorous Removal by Al(III) and Fe(III) Coagulants and Visualization of Flocs)

  • 이상화;이규석;강익중;윤현희;함승주;곽종운
    • 공업화학
    • /
    • 제16권1호
    • /
    • pp.74-80
    • /
    • 2005
  • 탁질입자 및 인의 효과적인 제거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물리화학적 인자들(pH, 알칼리도, 응집제의 종류)의 체계적인 고찰을 수행하였다. AI(III)과 Fe(III)계 응집제들은 제타전위 값이 거의 영에 수렴하는 pH 7~9 영역에서 높은 탁도 제거율 및 인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응집제의 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탁도는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인의 경우에는 금속이온과의 당량적 결합에 기인하여 비례적으로 감소하였다. 고속카메라(Motion Scope 2000, Redlake Co.)를 이용하여 플럭의 생성과정을 가시화하였고 광학현미경을 통해서 플럭의 성상과 형태를 고찰하였다. Fe(III)계 응집제에 의해 생성된 플럭들은 Al(III)계 응집제에 의해 생성된 플럭들에 비해 치밀하였으며 침강성도 뛰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