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chor node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9초

Modeling of RC shear walls strengthened by FRP composites

  • Sakr, Mohammed A.;El-khoriby, Saher R.;Khalifa, Tarek M.;Nagib, Mohammed T.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1권3호
    • /
    • pp.407-417
    • /
    • 2017
  • RC shear walls are considered one of the main lateral resisting members in buildings. In recent years, FRP has been widely utilized in order to strengthen and retrofit concrete structures. A number of experimental studies used CFRP sheets as an external bracing system for retrofitting of RC shear walls. It has been found that the common mode of failure is the debonding of the CFRP-concrete adhesive material. In this study, behavior of RC shear wall was investigated with three different micro models. The analysis included 2D model using plane stress element, 3D model using shell element and 3D model using solid element. To allow for the debonding mode of failure, the adhesive layer was modeled using cohesive surface-to-surface interaction model at 3D analysis model and node-to-node interaction method using Cartesian elastic-plastic connector element at 2D analysis model. The FE model results are validated compa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in the literature.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FE model can predict the modes of failure due to debonding of CFRP and behavior of CFRP strengthened RC shear wall reasonably well. Additionally, using 2D plane stress model, many parameters on the behavior of the cohesive surfaces are investigated such as fracture energy, interfacial shear stress, partial bonding, proposed CFRP anchor location and using different bracing of CFRP strips. Using two anchors near end of each diagonal CFRP strips delay the end debonding and increase the ductility for RC shear wall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칼만 필터를 이용한 잔여 힘-벡터 기반 Range-free 위치인식 알고리즘 (Range-free Localization Based on Residual Force-vector with Kalman Filter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이상우;이채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4B호
    • /
    • pp.647-658
    • /
    • 2010
  • 기존에 연구된 위치인식 기법은 자신의 위치를 알고 있는 앵커노드만을 참조하여 일반노드의 위치를 계산한다. 그 외 노드들 간 관계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참조하는 앵커노드의 수가 부족하거나 앵커노드로부터의 거리정보가 부정확한 경우에는 실제위치와 예측위치 간 위치오차 뿐만 아니라 노드 간 상대적인 위치오차가 크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노드가 노드 간 거리정보 없이 앵커노드와 한 홉 거리의 이웃노드의 정보만을 참조하여 모든 이웃 노드와의 거리가 균등하도록 위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노드가 모든 이웃노드와 균등한 거리에 위치함으로써 노드 간 상대적 위치오차와 네트워크 전체의 평균적인 위치오차를 감소시킨다. 다양한 환경에서의 모의실험을 통해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HMIPv6에서의 고속 매크로 핸드오프 지원 방안 (A Fast Handoff between MAPs in Hierarchical Mobile IPv6)

  • 신태일;문영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2호
    • /
    • pp.16-21
    • /
    • 2006
  •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IETF)는 효율적인 이동성 지원을 위해 Hierarchical Mobile IPv6(HMIPv6)를 제안하였다. HMIPv6는 Mobility Anchor Point(MAP) 도메인 내에서 기존 Mobile IP(MIP)에서 모바일 노드의 이동시 마다 필수적이었던 시그널링 오버헤드와 Binding Update(BU)로 인한 지연을 줄 일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지만 MAP과 MAP사이를 이동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아무런 대비책을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실시간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에 있어서 이 경우 상당한 지연이 발생한다. 본 논문은 MAP과 MAP사이를 이동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통신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핸드오프 지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고속 핸드오프를 제안하고 수학적 모델을 통하며 기존의 HMIPv6와 비교하였다.

Proxy Mobile IPv6 네트워크에서 경로 최적화 핸드오버 기법들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Route Optimization Handover Methods in Proxy Mobile IPv6 Network)

  • 장지원;전세일;김영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7권7호
    • /
    • pp.59-6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PMIPv6 도메인 내의 모바일 단말간의 최적화된 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해 요구되는 경로 최적화 통신을 위해 IETF에 제안된 경로 최적화 기법들의 핸드오버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성능 비교를 위해 두개의 MAG와 하나의 LMA로 구성된 환경에서 경로 최적화 핸드오버 시에 발생되는 시그널링 비용, 핸드오버 지연 시간과 패킷 손실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적화된 경로 생성을 위해 관여하는 컴포넌트의 유무와 최적화 메시지의 수, 고려하는 성능적 목표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Partial Bicasting with Buffering for Proxy Mobile IPv6 Handover in Wireless Networks

  • Kim, Ji-In;Koh, Seok-Jo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7권4호
    • /
    • pp.627-634
    • /
    • 2011
  • This paper addresses the Proxy Mobile IPv6 (PMIP) handover using bicasting in mobile/wireless networks. The bicasting scheme can be used to support the PMIP handover, which tends to waste the network resources of wireless links and incurs data losses during handover. We propose an enhanced scheme of PMIP handover, called the partial bicasting with buffering for PMIP (PBB-PMIP). In the PBB-PMIP handover, the bicasting is performed in the "partial" region between the Local Mobility Anchor (LMA) and the Mobile Access Gateway (MAG), when a mobile node is in the handover area. The data packets are buffered at the new MAG during handover to reduce data losses and are then forwarded to mobile nodes after handover. By ns-2 simulations, the proposed PBB-PMIP scheme is compared with the existing schemes of PMIP and PMIP with bicasting. The proposed scheme can benefit from the reduction of handover delay and packet loss, and the effective use of the network resources of wireless links, as compared to the existing handover schemes.

HMIPv6 에서 이동노드의 위치에 따른 MAP 선택기법 (MAP Selection Mechanisms based on location of mobile node in Hierarchical Mobile IPv6)

  • 남현재;한병진;이종혁;정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73-1076
    • /
    • 2007
  • HMIPv6 (Hierarchical Mobile IPv6)는 MAP (Mobility Anchor Point)을 이용하여 이동노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MAP 에 걸리는 부하는 HMIPv6 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진입한 이동노드가 어느 MAP 을 선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MAP 을 선정하는 방법으로 이동노드의 이동속도나 MAP 과 이동노드의 거리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각각 이동속도 측정을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거나 특정 MAP 에 몰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HMIPv6 로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관리지역의 중앙부분을 지나는 이동노드가 바깥부분을 지나는 이동노드보다 해당 네트워크에 오래 머무른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지역정보 기반의 MAP 선정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우선 네트워크 관리지역 내에 분포된 MAP 들을 지역정보에 기반하여 계층적으로 구성한다. 그 다음, 중앙부분을 지나는 이동노드에게 보다 넓은 지역을 담당하는 높은 레벨의 MAP 을 선정하고 바깥부분을 지나는 이동노드에게 보다 좁은 지역을 담당하는 낮은 레벨의 MAP 을 선정한다. 이로써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바인딩 업데이트 비용을 줄이고 MAP 의 로드밸런싱 효과를 얻는다.

  • PDF

PMIPv6 네트워크에서 비용효과적인 도메인 간의 분산 이동성 제어기법 (Cost-Effective Inter-LMA Domain Distributed Mobility Control Scheme in PMIPv6 Networks)

  • 장순호;정종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9C권3호
    • /
    • pp.191-208
    • /
    • 2012
  • PMIPv6(Proxy Mobile IPv6)는 MN(Mobile Node)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망 기반의 이동성관리 기술이다. PMIPv6의 구성 요소는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로서 도메인을 관리하는 LMA(Local Mobility Anchor)와 MN의 이동을 감지하고 MN의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MAG(Mobile Access Gateway) 그리고 MN으로 구성되어 있다. PMIPv6는 LMA와 MAG 사이의 터널을 형성하고 패킷이 LMA를 통하여 전달되도록 설계하여, LMA 병목현상 및 종단 간 지연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로 최적화 수행 가능 감지, 경로 최적화 절차 등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추가적인 시그널링으로 인한 오버헤드가 증가하고 다중 LMA 환경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중 LMA 환경을 고려한 PMIPv6 기반의 향상된 경로 최적화 방안을 제안한다. PMIPv6 도메인의 모든 LMA는 PIG(Proxy Internetworking Gateway)에 연결되어 PMIPv6 도메인 간 분산 이동성 제어를 수행한다. PMIPv6 도메인 내 모든 LMA의 정보를 MAG가 유지하도록 하여 신속하게 경로 최적화를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LMA에 경로 최적화 상태 정보를 PIG로부터 수신 받아 저장하여 추가적인 시그널링없이 경로 최적화를 지원하도록 한다.

Global Mobility Agent (GMA) 기반의 신속한 IPv6 전역 이동성 지원 방안 (A Fast Global Mobility Supporting Scheme for IPv6 Using Global Mobility Agent (GMA))

  • 안진수;서원경;최재인;조유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8B호
    • /
    • pp.1105-1114
    • /
    • 2010
  • Proxy Mobile IPv6 (PMIPv6)는 호스트 기반의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인 Mobile IPv6 (MIPv6)와 달리 망에서 Mobile Node (MN)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이다. PMIPv6는 MIPv6보다 핸드오버 지연이 짧고,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PMIPv6는 Local Mobility Anchor (LMA)로 패킷이 집중되는 병목현상과 PMIPv6 도메인 내에서의 지역 이동성만을 지원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IETF NetLMM WG에서는 전역 이동성을 지원을 위한 PMIPv6-MIPv6 연동 방안, LMA간 시그널링을 통한 전역 이동성 지원 방안 등을 제안하고 있으나, MN이 MIPv6 프로토콜 스택을 추가로 보유해야 하는 문제점과 추가적인 시그널링으로 인한 긴 핸드오버 지연 문제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MIPv6에서의 새로운 망구성요소인 Global Mobility Agent (GMA)를 정의하고, 이를 이용한 신속한 망 기반 전역 이동성 관리 기술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확장하여 병목 현상과 삼각 라우팅 문제를 해결하고 종단간 지연을 최소화하는 Route Optimization (RO)-GMA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성능 분석을 통해 제안 방안이 IETF NetLMM의 PMIPv6 방안보다 지역/전역 이동성 지원 측면에서 짧은 핸드오버 지연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IPv6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들의 핸드오버 지연시간에 대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Handover Latencies of IPv6 Mobility Support Protocols)

  • 공기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41-348
    • /
    • 2010
  • MIPv6, HMIPv6, FMIPv6와 같은 호스트 기반의 IPv6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들과 달리, Proxy Mobile IPv6 (PMIPv6)은 이동 노드의 개입없이 네트워크 엔티티들간의 협업 절차만을 사용하여 이동성 관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IPv6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의 실질적인 도입을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IPv6, HMIPv6, FMIPv6와 같은 대표적인 호스트 기반의 IPv6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들과 네트워크 기반의 IPv6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인 PMIPv6간의 핸드오버 지연시간을 분석 및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PMIPv6의 핸드오버 지연시간은 MIPv6 및 HMIPv6에 비하여 월등히 짧으며, 또한 무선링크상에서의 지연시간이 MAG와 LMA간의 지연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PMIPv6에서의 핸드오버 지연시간이 FMIPv6에서의 핸드오버 지연시간보다 짧다는 것을 보여준다.

항만 내 네트워크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PMIPv6망의 NEMO 지원 기법 (NEMO Support Scheme within PMIPv6 for Supporting Network Mobility in Harbor Area)

  • 민상원;한경일;정민아;이성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8호
    • /
    • pp.674-680
    • /
    • 2014
  • 본 논문은 해양과 IT 기술 융합의 하나로써 PMIPv6(proxy mobile IPv6) 네트워크가 구성된 항만에서 NEMO(network mobility) 지원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항만 네트워크에 접속해있는 승객, 물류 등의 이동성 지원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해당 네트워크로 handover하는 MN(mobile node)에 대한 연결 방안을 제안한다. PMIPv6 망의 항만에서 NEMO를 지원할때 LMA(local mobile anchor)와 HA(home agent)의 터널과 BCE(binding cache entry)가 중복되어 생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위한 방안인 프로세싱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PMIPv6망의 NEMO 지원을 위한 메시지 형식 보완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MN 및 MR의 네트워크 초기접속간 PBU(proxy binding update) 메시지에 옵션필드를 추가하여 초기접속 혹은 handover임을 LMA/HA에 통보하고 바인딩 절차를 줄인다. 이에 따라 PMIPv6 기반의 항만 네트워크에서 NEMO를 지원할 때 발생하는 지연 시간 감소와 자원 절약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