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ffective competency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4초

수학 교육의 정의적 목표에 대한 재고 (Reconsideration on the Affective Goals in Mathematics Education)

  • 김선희;김기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2호
    • /
    • pp.149-163
    • /
    • 2011
  • 현재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정의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나 정의적 목표가 피상적인 수준에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적 표현 체계 이론, 자기 체계 과정의 역동적 관점, 사회구성주의 관점, 동기 부여 이론 등을 고찰하여, 정의적 능력, 학습 동기, 수학적 정체성, 사회적 환경, 정의적 경험 등에 대하여 논하고 정의적 영역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로써 정의적 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시하고, 수학 교육에서 정의적 목표의 대안을 말하였다.

  • PDF

서비스전달 특성과 충성도 관계에서 감정적 몰입의 매개역할: 백화점 중심으로 (The Mediating Role of Affective Commitment in Explaining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Service-offer and Loyalty: Focused on Department Stores)

  • 최철재;허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255-269
    • /
    • 2014
  • 본 연구는 백화점 판매원의 서비스전달 특성과 고객만족, 신뢰, 감정적 몰입, 충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감정적 몰입의 매개역할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서비스개별 능력 및 서비스신뢰성은 만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지만, 서비스능력은 영향이 없었다. 또한 서비스신뢰성은 신뢰에 정(+)의 영향을 준 반면, 서비스개별화 능력과 서비스역량은 신뢰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고객만족은 신뢰 및 감정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주었지만 충성도에는 영향이 없었고, 신뢰는 감정적 몰입과 충성도에 정(+)영향이 있었다. 셋째, 고객의 감정적 몰입은 충성도에 정(+)영향이 있었다. 또한 고객신뢰 및 만족과 충성도 관계에서 감정적몰입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판매자-구매자 관계가 역동적임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고객관계에서 몰입의 발전전략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과학 영재의 역량 탐색 및 역량 사전의 개발 (A Study on Science-gifted Students' Competency and Development of Competency Dictionary)

  • 강성주;김은혜;윤지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353-370
    • /
    • 2012
  • 최근 과학 영재 교육 대상자의 선발 제도로 관찰 추천제가 도입되었으며, 이는 잠재적 역량이 높은 과학 영재를 파악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선발 기준의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의 내적 속성에 대한 변별을 도울 수 있는 역량을 탐색하고, 이를 사전화하였다. 검증된 선행 역량 사전/모델로부터 역량을 추출하고, 구조화된 설문과 초점 집단 면접을 통해 과학 영재의 역량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목표 제시', '계획 수립', '정보 수집 및 분석', '문제 해결', '고차원적 사고', '전문 지식 및 자기 개발'의 6개 역량으로 구성된 인지적 역량군과 '자신감', '성취 지향성', '호기심'의 3개 역량으로 구성된 정의적 역량군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역량을 바탕으로 역량명과 역량에 대한 정의, 핵심 요소, 행동지표와 수준으로 구성된 역량 사전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관찰 추천을 통한 잠재적인 과학 영재의 선발 기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How do learners discover the topic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Analysis of Learners' Creative Activity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topic

  • Kim, Hyekyung;Kim, Insu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4권2호
    • /
    • pp.167-187
    • /
    • 2013
  • Team project learning is a type of Project-Based Learning, which i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developing collaborative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as well as for developing cognitive competency such as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analytical skills. This research, conducted to analyze learning activities, focuses on students' creative thinking and activities in TPBL(Team Project-Based Learning). A qualitative approach including a reflective journal based on the 6 stages of TPBL, was adopted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69 reflective journals on the three stages (developing a theme, researching, theme-making) of 2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categorized on the basis of three criteria: divergent thinking factors, convergent thinking factors and affective factors.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nts' journals demonstrated twenty-eight activities from nine cognitive factors and nine activities from three affective factors were derived from reflect journal. This finding indicates that more appropriate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needed for students to enhance their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ctivities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CoProC)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공업계열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성 역량과 과학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cience Classes Applying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y (CoProC) on the Character Competence and Scientific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강시내;박지훈;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6호
    • /
    • pp.468-483
    • /
    • 2021
  • 이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CoProC)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공업계열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성 역량과 과학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공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화학공업과 2학년 2개 학급 43명을 대상으로 인성 역량 및 과학의 정의적 특성 검사지, 각 모둠별 논의 과정 음성 녹음본, 수업 되돌아보기 활동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성 역량 검사 총점에서 실험집단 학생들은 비교집단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9개의 하위 인성 역량 요소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과학의 정의적 특성 검사 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은 총점에서 비교집단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의 일관성을 제외한 7개의 하위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CoProC)을 적용한 과학 수업은 공업계열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성 역량과 과학의 정의적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정보소양개발을 위한 교육목표 설정에 관한 연구 - 학교도서관 정보교육중심으로- (A Study on Planning of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for Information Competency Education)

  • 김병주;정종기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9년도 제6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1-184
    • /
    • 1999
  • This study has described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have been chosen for teaching students the methods for developing the information competency, closely connected with other subjects in school curriculums beyond the traditional school library users education. According to the Bloom's educational objective texonomy, the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have been classified into two domains,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and investigated. Desirable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have been developed and chosen.

  • PDF

A proposed cultural competenc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based on their transcultural self-efficacy

  • Jin, Ju-hyun;Cleofas, Jerome V.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86-99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graphic profiles of 260 staff nurses in the SPC Health Care Ministry Hospitals and their Transcultural Self-Efficacy (TSE) level on the Cognitive, Practical and Affective dimensions. To obtain the result, among the nine (9) demographic profile items, three (3) common positive predictors were considered, namely, 1) Educational attainment level; 2) Age; and 3) Willingness to work abroad in all three dimensions. While in the Practical and Affective dimensions, the number of years employed were a common negative predictor and in the Affective dimension, Gender of participants was added as the positive predictor. Therefore, there are some significa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influence to the transcultural self-efficacy. Furt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diagnostic study, the researcher designed the One (1) year Cultural Competence Training Program for staff nurses. For future research, the researcher recommended to conduct a further study that will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by approaching a longitudinal study form administering the test and retest of TSET.

일대다 튜토링 수학 협동학습이 고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e-to-Many Tutoring Mathematics Cooperative Learning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of High School Students)

  • 유기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161-177
    • /
    • 2020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고, 일대다(一對多) 튜토링 협동학습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점수 차이와 집단별 사전·사후 점수 차이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비모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으며,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을 살펴보기 위하여 개방형 설문조사 2회와 개별 면담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세 집단의 사전·사후 수학 점수 차이 검증 결과는 실험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학생교사는 일반학생을 가르치는 동안 자신을 성찰하고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으며, 일반학생은 학생교사에게 도움을 받음으로써 수업에 대한 재미와 관심을 더 두게 되고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수학 교과 역량 측면은 의사소통, 문제해결, 추론, 태도 및 실천 역량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친환경 건설 전문 인력의 핵심 역량 요인 분석 (Key Competency Factors of Professional Engineer in Environment - friendly Construction Industry)

  • 박소연;김수련;안용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73-82
    • /
    • 2018
  • 전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가 대두되면서 에너지 사용량 절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에너지 사용량 비중이 큰 건축부문의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위한 친환경 건설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친환경 건설 시장은 빠른 속도의 성장을 보이고 있다. 친환경 건설시장이 성장하면서 친환경 전문기업들이 생겨나고 있지만 관련 지식과 노하우를 갖춘 전문가들의 수는 부족하다.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친환경 건설 시장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전문인력 양성의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친환경 건설 산업의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인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핵심 역량 요인을 도출하고 각각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4개의 역량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그 중 2개의 요인인 '친환경 및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해'와 '인적 관리 역량'이 핵심적인 역량 요인이라는 것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인력 양성에 필요한 역량 기준 및 평가에 대한 준비를 위한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장애 아동·청소년 독서역량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구성요인 연구 (Research on Components for Developing a Reading Competency Diagnostic Tool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 김수경;최승숙;황정현;윤성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29-16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아동·청소년의 독서역량 강화를 위해 독서역량과 독서역량 개념에 따른 구성요인을 파악하고 진단 문항을 개발하여 장애 아동·청소년의 독서역량 진단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 브레인스토밍, 델파이조사 및 예비조사를 실시한다. 연구 결과 독서역량 진단도구 구성요인은 크게 2개 영역(정의적 영역, 환경적 영역), 4개 범주(독서동기, 독서태도, 인적 환경, 물적 환경), 4개 범주별 총 13개 구성요인(독서 흥미, 독서가치, 독서인정, 독서기대, 독서습관, 독서효능감, 독서몰입, 독서불안(회피), 가정/가족, 학교/교사, 또래, 독서환경, 매체환경)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장애 아동·청소년 독서역량 진단도구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