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cience-gifted Students' Competency and Development of Competency Dictionary

과학 영재의 역량 탐색 및 역량 사전의 개발

  • Received : 2012.05.17
  • Accepted : 2012.06.20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system was recently introduced for selecting gifted-students in science, and it has required to arrange the reliable and valid selection criteria that could identify the high potential competency of them.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competencies that could help to discriminate gifted-students' inner properties, and also developed the dictionary based on them. The competencies were extracted from the proven previous competency dictionaries/models and examined by the structured survey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in order to ascertain the competencies of the science-gifted stude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two competency clusters such a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The cognitive cluster consisted of 6 competencies as follows: goal suggestion, plann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problem solving, higher-order thinking, and expertise and self-development competency. The affective cluster consisted of 3 competencies: confidence, achievement orientation, and curiosity competency. The dictionary categorized by the names, definitions, key elements, and behavioral indicators and their levels of the derived competencies was developed. Findings were expecte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potential science-gifted students through the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system.

최근 과학 영재 교육 대상자의 선발 제도로 관찰 추천제가 도입되었으며, 이는 잠재적 역량이 높은 과학 영재를 파악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선발 기준의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의 내적 속성에 대한 변별을 도울 수 있는 역량을 탐색하고, 이를 사전화하였다. 검증된 선행 역량 사전/모델로부터 역량을 추출하고, 구조화된 설문과 초점 집단 면접을 통해 과학 영재의 역량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목표 제시', '계획 수립', '정보 수집 및 분석', '문제 해결', '고차원적 사고', '전문 지식 및 자기 개발'의 6개 역량으로 구성된 인지적 역량군과 '자신감', '성취 지향성', '호기심'의 3개 역량으로 구성된 정의적 역량군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역량을 바탕으로 역량명과 역량에 대한 정의, 핵심 요소, 행동지표와 수준으로 구성된 역량 사전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관찰 추천을 통한 잠재적인 과학 영재의 선발 기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주 (2004). 중등학교 담임교사 역량 탐구 -일반계 고등학교 담임교사역량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42(4), 237-264.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교육과학기술부 영재교육 현황자료.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김명숙, 정대련, 이종희 (2003). 과학영재와 일반아의 창의적 사고, 인성, 환경과 과학영역의 창의적 수행에서의 성차. 아동학회지, 24(3), 1-13.
  4. 김영아 (2010). Dabrowski의 발달적 잠재성에 근거한 영재 선발 방안에 관한 연구. 2010년 한국영재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논문.
  5. 김종인, 박양규, 김정우 (2009).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지식관리시스템 성과요인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6(3), 31-46.
  6. 김진모, 주대진, 이진화, 길대환, 주현미, 이정은 (2007). 일반 모델 덧씌우기 방식을 적용한 농촌지도공무원 역량모델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2), 115-138.
  7. 나은영 (2004). 미디어 연구방법. 서울: 한나래.
  8. 류지영, 정현철 (2010). 영재학급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 영재판별모형 개발 연구. 영재교육연구, 20(1), 257-287.
  9. 박민정, 전동렬 (2008).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 방법으로서 교사 추천제 분석: 학생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해결력,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11-119.
  10.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11. 신희영, 고은성, 이경화 (2007). 수학영재교육에서의 관찰.평가와 창의력 평가. 대한수학교육학회지, 9(2), 241-257.
  12. 심재영, 김언주 (2003). 과학영재 집단의 영재성 요인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7(1), 241-255.
  13. 유미현, 강윤희, 예홍진 (2011). 과학영재교육원 관찰.추천 방식의 영재선발 분석. 과학영재교육, 3(2), 27-38.
  14. 윤초희 (2010). 관찰.추천 영재선발에서의 측정학적 문제. 2010년 한국영재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논문.
  15. 이기영, 동효관, 홍준의, 김형경, 조봉제 (2008). 과학 영재 선발 도구로서 지필검사의 적합성 탐색을 위한 질적 및 양적 문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1), 32-46.
  16. 이종규 (2007). 질적연구방법론. 파주: 법문사.
  17. 임우섭, 김용주 (2007). 대학교수의 핵심 강의역량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5(4), 413-434.
  18. 주인중, 김덕기, 김영생 (2009). 기업체 근로자 역량진단 운영실태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정책 연구.
  19. 최호성 (2010). 영재성 판별도구의 개발과 적용. 부산광역시영재교육진흥원.
  20. 한기순, 배미란, 박인호 (2003). 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21-34.
  21. Balchin, T. (2008). Teacher nominations of giftedness: Investigating the beliefs of British G&T co-ordinator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32(1), 34-35.
  22. Davis, G. A., & Rimm, S. B. (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New York, NY: Allyn & Bacon Press.
  23. Dubois, D. D. (1993).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Amherst, MA: HRD Press.
  24. Helms, J. E. (1992). Why is there no study of cultural equivalence in standardized cognitive ability testing? American Psychologist, 47(9), 1083-1101. https://doi.org/10.1037/0003-066X.47.9.1083
  25. Johnson, S. K. (2003). Identifying gifted students: A practical guide. Waco, TX: Prufrock Press.
  26. Lucia, A. D., & Lepsinger, R. (1999).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rganizations. New York, NY: Pfeiffer.
  27. Newman, F. M. (1991). Classroom thoughtfulness and students' higher order thinking: Common indicators and diverse social studies courses.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19, 410-433. https://doi.org/10.1080/00933104.1991.10505649
  28. Rabiee, F. (2004). Focus-group interview and data analysis. Proceedings of the Nutrition Society, 63, 655-660. https://doi.org/10.1079/PNS2004399
  29. Renzulli, J. S., & Delcourt, M. A. B. (1986). The Legacy and logic of research o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persons. Gifted Child Quarterly, 30(1), 20-23. https://doi.org/10.1177/001698628603000104
  30. Schroth, S. T., & Helfer, J. A. (2008). Identifying gifted students: Educator beliefs regarding various policies, processes, and procedure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32(2), 155-179.
  31. Spencer, L. M., & Spencer, S. M. (2003).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 [민병모, 박동건, 박종구, 정재창 역]. 서울: PSI 컨설팅 출판부. (원본출간년도: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