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th Generation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 2030세대의 청년정책에 대한 태도와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s Youth Policy among Korean 20s and 30s)

  • 김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86-39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년 세대의 청년정책에 대한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한국 청년들의 72.1%가 청년의 자립지원에 대한 책임이 정부에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상당수 청년들이 청년지원정책(49.5%)과 일자리지원정책(59.7%)에 대한 지출이 현재수준보다 확대되어야 한다는 태도를 보였으며, 청년수당 제공에 대해서는 24.1%만이 찬성했다. 청년자립지원에 대한 정부책임, 일자리지 원정책에 대한 지출확대에 대해서는 청년 내 집단별 인식 차이가 크지 않은 데 반해, 청년지원정책에 대한 지출확대와 특히 청년수당 지원에 대한 태도에서는 집단별 차이가 상당했다. 청년들은 연령대, 교육수준, 고용상태, 주거형태 등에 따라 상이한 정책 욕구와 인식을 보였다. 한국청년들은 대체로 우리사회가 불평등하다고 인식했는데, 불평등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청년지원에 대한 욕구와 선호가 높았다. 따라서 향후 청년 정책 수립 시, 청년들이 처한 구체적 삶의 현실과 청년 내부의 이질적 욕구 및 인식수준을 반영한 촘촘한 정책설계가 필요하다.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for The Generational Integration Programs

  • Mi-Hwa JANG;Woo-Sik LEE
    • 웰빙융합연구
    • /
    • 제7권2호
    • /
    • pp.13-21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is to expand the role of local senior welfare centers as a place for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by analyzing the intergenerational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progra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empirical study conducted a survey on 205 participants (114 seniors, 91 teenagers) of the generation integration program being implemented at a senior welfare center located in Seoul. Results: Regarding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generation integration program, both the elderly and youth showed that the more contact they had between generation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the case of the elderly,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older the respondent, and the lower the educational level, the higher the satisfaction, and the more frequently they met youth,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e longer the youth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weaker their negative emotions toward the elderly,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visits to grandparents,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Conclusions: The biggest determinant of satisfaction with the generational integration program at senior welfare centers is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contact between the elderly and youth generations.

청년세대의 일-삶 균형 수준과 행복 요인: OECD '더 나은 삶의 지수(Better Life Index)'와 '세계가치관조사(World Value Survey)'를 활용한 다국가 비교 (Factors of the Happiness of Youth Generations by Work-Life Balance: A Cross-National Comparison Utilizing the Better Life Index and World Value Survey)

  • 박미석;김미영;김경아;전지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3권2호
    • /
    • pp.79-97
    • /
    • 2019
  • This study aimed for in-depth observation of the status quo of the youth generation's happiness utilizing the Better Life Index and the World Value Survey. To serve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11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member countries (Australia, Estonia, Germany, Japan, Korea, Mexico, New Zealand, Poland, Sweden, Turkey, United States) that overlapped with the subject countries of the World Value Survey.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first revealed that among the work-life balance levels of youth generations from across the 11 studied countries, the level for Korean youth was in a very poor state. Second, the happiness level of Korean youth also sat among the bottom ranks, with the aspects of politics, friendship, and career casting a heavy influence on importance to life; specifically, the youth generations of Turkey and Germany showed high levels of life purpose, while Korean youth displayed outstanding results in the challenge aspect. The third finding of this study reported that family, religion, power, benevolence, and challenge were commonly related to the happiness level of youth generations in countries with a higher work-life bal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uch needed attention and support for improving the happiness level of the Korean youth generation, who will eventually play the leading role in our future society.

청년은 정보 활용격차에서 자유로운가? - 한국 2030 청년세대의 모바일 정보 활용에 관한 연구 - (Is the Youth Generation Free from the Digital Divide?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Mobile Information of the 2030 Youth Generation in Korea-)

  • 김설인;구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9-54
    • /
    • 2021
  • 본 연구는 2030 청년세대의 모바일 정보 활용수준에 따라 집단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소비자역량과 생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세대 내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총 1779부의 유효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30 청년세대의 정보 활용요인은 '개인의 정보활동', '공유활동', '생활서비스', '사회참여', '정보 및 네트워킹', '경제활동'으로 도출되었다. 정보 활용수준에 따라 소비자는 준거집단(46.5%), 고활용집단(27.2), 저활용집단(26.3%) 3가지로 유형화되었으며, 유형별 인구통계학적 특성, 소비자역량, 생활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준거집단과 비교하여, 고활용집단과 저활용집단의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30 청년세대 내 정보 활용수준이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러한 차이가 정보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을 피력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청년세대 역시 정보격차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향후 정책이나 교육에서도 청년세대 정보격차에 대한 발전된 차원의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청년세대 삶의 인식 수준과 행복도의 영향요인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Life and Happiness Perceived by Youth Generation)

  • 김지경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3호
    • /
    • pp.209-24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청년들이 자신의 삶의 수준과 삶에 대한 전반적인 행복의 정도를 어떠한 수준에서 인식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와 서열로짓모델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들은 자신의 삶에 대한 인식수준 보다는 전반적인 행복의 정도에 대한 인식 수준이 더 높았다. 청년세대의 삶의 인식수준과 행복의 정도를 평가하는데 작동되는 기제와 요인은 상이하며, 집단에 따라 서로 다른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 삶의 인식수준과 행복도에 사회 인구학적 특성의 객관적인 요인보다 심리 정서 특성의 주관적인 요인이 더 큰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단, 취업 청년집단의 경우 일자리 만족도가 삶의 인식과 행복을 좌우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임이 발견되었다. 미래에 대한 절망으로 현재의 행복정도에 대해 역설적으로 긍정응답을 하는 경향성은 청년세대 전반에서 나타나기 보다는 일부 하위집단(중위소득미만+취업집단)에서 만 나타날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청년 안에서부터 바깥으로' : 미메시스 이론을 근간으로 1990년대와 2010년대 청년세대의 저항 및 욕망과 대중음악의 연관성에 대한 비교 연구 ('Youth from Inside to Outside' :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flected Relations between the Korean Young Generation and the Popular Music in 1990s and 2010s on the Basis of the Mimesis Theory)

  • 우지혜;백선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553-568
    • /
    • 2018
  • 대중음악은 생산과 소비 과정에서 청년들의 내재된 욕망과 가치관이 잘 드러나는 공간이다. 그동안 한국의 청년세대 및 청년문화에 대한 논의는 주로 기성세대에 대한 저항이라는 정치적 논리 안에서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이는 청년문화가 갖고 있는 고유한 미시적 특성들을 간과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미메시스 이론을 통해 대중음악 안에서 청년세대가 주체적으로 만들고 공유하는 기호 및 담론은 무엇이며, 그것이 사회적 맥락과 어떻게 연관되는 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90년대 음악 <교실 이데아>와 에서는 기성세대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는 이야기 구조 및 이항 대립이 두드러졌으며, 억압성 및 집합성을 나타내는 단어 표현들이 자주 등장한 반면, 2010년대 음악 에서는 파편화된 기호들이 다수 등장하며 그것들을 개별적인 문맥 안에서 재구성하는 담론 구조가 발견되었다. 이는 당시의 사회적 맥락 안에서 청년들이 경험하는 감성과 욕구를 가시화함으로써 그들로부터 많은 공감과 인기를 얻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청년음악에 대한 고정된 시각적 접근에서 벗어나 시대적 맥락 안에서 음악에 담긴 청년들의 감성 및 욕망 등을 주목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교실로 들어온 전자오락게임: 게임에 관한 열일곱 가지 질문 (Electronic Games Appropriated for the Classrooms: A Proposal of the Questionnaire Containing 17 Questions)

  • 박성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56-172
    • /
    • 2008
  • 이 연구의 출발점은 현재 전자오락게임이 유, 청소년들에게 행사하는 매력이다. 이 점을 전제로 이 연구는 유, 청소년들에게 효과적으로 다가갈 만한, 그러면서도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물음들을 내포한 질문지의 구성을 목표로 한다. 물음들에 대한 유, 청소년들의 대답만큼이나 물음을 묻는 과정 자체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연구자는 전자오락게임과 더불어 성장한 세대에 배우려는 자세로 조심스럽게 다가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단적으로 말해 이 논문은 설문에 대한 통계적 분석이거나 유, 청소년들의 전자오락게임 수용실태 연구가 아니다. 연구의 무게중심이 전자오락게임에 대해 학생들에게 말을 건네는 방식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대화가 용이한 대학생들을 출발점으로 초, 중, 고등학교로 그 연구범위를 넓혀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초, 중,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에게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교육방법의 아이디어를 제공하면서, 교육 콘텐츠로서 문화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환기시킨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질문지는 앞으로 게임적 상상력을 포함한 본격적인 게임미학을 향한 첫 걸음이기도 하다.

스트리트 패션을 근원으로 한 영 패션의 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Youth's Fashion based on Street Fashion)

  • 신혜영
    • 복식
    • /
    • 제27권
    • /
    • pp.5-16
    • /
    • 1996
  • In today's fashion Street is a birthplace of new generation fashion and Street Fashion have frequently influenced on high fashion. From this view point this study is a meaningful approach to forecast future fashion trend by examining the street style of youth who are regarded as Street Fashion lea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Youth Fashion style in early 1990s and to pro-vide a reference to fashion designer and mer-chandiser in trend forecasting and product plan-ning. This study is focused on 1990s Youth Fashion style through the historical Street Fashion : 1950s Teddy boys & Mods 1960s Hippies & Skinhead and 1970s Punk. There were mainly two popular Street Fashion phenomena in early 1990s. There were mainly two popular Street Fashion phenomena in early 1990s. One is grunge fashion created by new gener-ation in opposition to existing generation society and impacting on hish fashion leaders. The other is Remix style that is mixed : sub culture fashion originated by young group in 1950-1970s with 1990s sensitivity. Both fashion styles origionated and led by youth of street have influenced on famous high fashion designeres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Street Fashion will continu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future fashion and more study and interest on Street Fashion should be taken by fashion forecaster and related.

  • PDF

현대 패션 디자인에 표현된 유스컬처에 관한 연구 -러시아 디자이너 고샤 루브친스키와 티그란 아베티샨을 중심으로- (A Study on Youth Culture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Focused on Russian Designers Gosha Rubchinskiy and Tigran Avetisyan-)

  • 정아름;전재훈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3-266
    • /
    • 2019
  • Street fashion style expressing youth culture has become mainstream in the fashion field. Russian fashion designers who experienced the post-Soviet era in their youth have gained attention for the freshness of a youth inspiration. This study selected two representative young Russian fashion designers, Gosha Rubchinskiy and Tigran Avetisyan and analyzed their fashion works concerning characteristics of youth culture. Literature studies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as research methods. The subject of the case studies were Gosha Rubchinskiy's fashion works from 2015 S/ S to 2018 F/W and Tigran Avetisyan's fashion works from the 2012 CSM Fashion Show to 2018 F/W.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ir fashion works express 'resistance' against the older generation and society. Second, we can also see the 'conformity' of the use to make a strong cohesion. Third, the fashion works symbolized an 'expression of individuality' of the youth. Fourth, the fashion works express an 'importance of practicality' related to the values of the young who prefer to high cost-effectiveness goods. Last, there is a 'remixed culture' in the Russian designer's works where a previously mixed culture mixes with others in creating a completely new on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 contemporary youth culture that influenced the world fashion market and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that the young generation is active in all aspects of society.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청년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탐색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Youth using Random Forests)

  • 이성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7호
    • /
    • pp.9-17
    • /
    • 2023
  • 이 연구는 청년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청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21 청년 사회·경제 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2021년 기준 만 18세~34세 청년 2,04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청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탐색하기 위해 랜덤 포레스트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변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심리·정서를 포함하는 요인으로 총 21개이다. 랜덤 포레스트를 적용한 청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에 투입된 요인 21개의 예측변수는 모두 청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 삶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가치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적효능감', '기성세대인식'과 같이 청년들의 사회에 대한 인식도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설명하고 논의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