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lectronic Games Appropriated for the Classrooms: A Proposal of the Questionnaire Containing 17 Questions

교실로 들어온 전자오락게임: 게임에 관한 열일곱 가지 질문

  • 박성봉 (경기대 예술대학 다중매체 영상학부)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e point of departure is the Popularity of the electronic games among the youth generation. This study attempts to make up a questionnaire containing the questions which are intended for the youth generation realistically and at the same time in a meaningful way pedagogically. Any researcher who wants to understand the youth culture at the present time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youth generation in a positive attitude of learning, so asking the questions to the youth generation is as important as having the answers. That is to say, this paper is not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nor a empirical research of youth's reception of the electronic games. Now that the emphasis of the paper is located on the very way of approaching the youth generation concerning the electronic games, this study starts with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rst place because they are in a more advantageous milieu for conversation in the classroom on the subject. To be sure,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ver the whole area of primary, junior or senior high-school by way of some modifications. Conclusively, this paper aims at providing with practical ideas of teaching, which immediately can be appropriated into the classroom by the teachers in the actual field, and drawing attention to the potential educational contents of the cultural products. Furthermore, the questionnaire proposed in the paper is meant for the first step towards the aesthetics of the electronic games with a view to the game-imagination.

이 연구의 출발점은 현재 전자오락게임이 유, 청소년들에게 행사하는 매력이다. 이 점을 전제로 이 연구는 유, 청소년들에게 효과적으로 다가갈 만한, 그러면서도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물음들을 내포한 질문지의 구성을 목표로 한다. 물음들에 대한 유, 청소년들의 대답만큼이나 물음을 묻는 과정 자체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연구자는 전자오락게임과 더불어 성장한 세대에 배우려는 자세로 조심스럽게 다가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단적으로 말해 이 논문은 설문에 대한 통계적 분석이거나 유, 청소년들의 전자오락게임 수용실태 연구가 아니다. 연구의 무게중심이 전자오락게임에 대해 학생들에게 말을 건네는 방식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대화가 용이한 대학생들을 출발점으로 초, 중, 고등학교로 그 연구범위를 넓혀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초, 중,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에게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교육방법의 아이디어를 제공하면서, 교육 콘텐츠로서 문화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환기시킨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질문지는 앞으로 게임적 상상력을 포함한 본격적인 게임미학을 향한 첫 걸음이기도 하다.

Keywords

References

  1. W. Wimsatt, "How to compose chess problems, and why," Yale French Studies, No.41, New Haven, 1968.
  2. 이정엽, "컴퓨터 게임 스토리텔링의 원리: 놀이와 서사", 고욱, 이인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p.81, 2003.
  3. 윌리엄 스티븐슨, "놀이로서 신문읽기", 박성봉, 대중예술의 이론들, 동연, 1994.
  4. 박성봉, 대중예술의 미학, 동연, 1995.
  5. G. Skirrow, "Hellivision: an analysis of video games," C. MacCabe, High Theory/Low Culture, Manchester univ. 1986.
  6. D. Myers, "Chris Crawford and Computer Game Aesthetics," Journal of Popular Culture, Fall, 1990. https://doi.org/10.1111/j.0022-3840.1990.2402_17.x
  7. M. Kinder, Playing with Power in Movies, Television, and Video Games, Univ. of California Press, 1991.
  8. 전자오락게임의 문화정책적 접근방안,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6.
  9. R. Raskin, The Functional Analysis of Art, Arkona, 1983.
  10. 라프 코스터, 안소현, 라프 코스터의 재미이론, 디지털미디어리서치, 2005.
  11. 이인화, 한국형 디지털 스토리텔링: 리니지2, 살림, p.7, 2005.
  12. 박성봉, 대중예술과 미학, 일빛, 2006.
  13. 박명진, "청소년과 새로운 문화 - 포스트 모던 문화의 관점", 문화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현실문화연구, p.34, 1994.
  14. 이정엽, "컴퓨터 게임 스토리텔링의 원리: 놀이와 서사", 고욱, 이인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pp.91-92, 2003.
  15. 이인화, 한국형 디지털 스토리텔링: 리니지2, 살림, p.116, 2005.
  16. 에두아르트 한슬릭, 대한음악저작연구회, 음악미론, 삼호출판사, 1989.
  17. H. J. Prakke, "The Socius Function of the Press", H. D. Fischer & S. R. Melnik, Entertainment: a cross-cultural examination, Hastings House, 1979.
  18. W. Haacke, "Mass Media - the Playground for Grown-Ups," H. D. Fischer & S. R. Melnik, Entertainment: a cross-cultural examination, Hastings House, 1979.
  19. 프리드리히 쉴러, 안인희,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편지, 청․하, 1995.
  20. 박상우, 게임이 말을 걸어올 때, 루비박스, 2005.
  21. 이정엽, 상상력의 새로운 영토, 살림, 2005.
  22. 박정규, 넥슨만의 상상력을 훔쳐라, 비전코리아, p.222,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