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ng Households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27초

은퇴준비를 위한 재무계획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 가족생활주기적 관점의 재정복지실현을 중심으로 - (A Preliminary Study on Financial Program Development for Retirement Preparation - Focused on Famiy Life Cycle Stage -)

  • 문숙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1.1-15
    • /
    • 199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household's financial status by life cycle stage and no analyze contributing factors to financial planning for retirement preparation among Korean marred couples. For these purpose, 2074 married couples those being under 55 and having either single earner or dual earners were selected, and total sample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young-aged(<35), middle-aged(35-44) & old-aged(45-54). Statistics were frequencies, means, percentile, and logistic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ld-aged had higher level of total income, total expenditure and total assets than either young-aged or middle-aged. In addition, households those holding private pensions were likely to have higher total income, total expenditure and total assets than those owning no private pension. while middle-aged had a highest total debts. Second, gini coefficients of total income and total expenditure between three aged groups were similar, but old-aged had the highest gini coefficient of total assets and total debts. In particular, gini coefficients of total assets and total debts of households those having no private pension were greater than those holding private pensions. third, contributing factors to private pension ownership of young-aged were family & household-related factor and financial factor, middle-aged's factors were household head's characteristics and financial factor. Also, old-aged's factors were household head's characteristics, family & household-related factor and financial factor.

  • PDF

주택용 전력에 대한 지불의사액 분석 (Households' willingness to pay for the residential electricity use)

  • 임슬예;김호영;유승훈
    • 에너지공학
    • /
    • 제22권2호
    • /
    • pp.141-147
    • /
    • 2013
  • 전력은 인간생존에 있어 기본적인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택용 전력에 대한 가구의 지불의사액(WTP)을 분석하고자 한다. 주택용 전력에 대한 WTP는 전력의 실제 가격과 추가적인 WTP의 합으로 정의된다. 전자는 시장에서 쉽게 관측되지만, 후자는 시장에서 관측이 불가능하므로 직접적인 가구조사를 통해 추정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2010년 11월 전국 1,0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용 전력 한 단위에 대한 추가적인 평균 WTP는 11.24원/kWh로 나타났다. 조사시점인 2010년 주택용 전력 평균가격은 98.07원/kWh이므로 주택용 전력에 대한 경제적 편익은 이 둘의 합계인 109.31원/kWh으로 추정된다. 이 값은 주택용 전력 1kWh 공급비용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IPTV에서의 VOD 시청패턴 결정 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VOD Viewing Pattern of Users in IPTV Platform)

  • 조신;김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53-167
    • /
    • 2015
  • 본 논문은 VOD 이용자의 특징 및 실질 시청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현 IPTV 가입가구의 인구 사회학적 자료와 실제 장르별 시청시간 및 지불액 자료를 결합하여 실증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성, 미취업자, 고소득자, 조기 수용자가 상대적으로 능동적인 VOD 시청패턴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호도 측면에서는 시간이동형 콘텐츠를 주로 시청하는 소비자는 여성이 많은 가구였고, 비시간이동형 콘텐츠를 주로 시청하는 소비자는 남성이 많은 가구와 미취학아동이 속한 가구였다. 또한, 시간이동형 콘텐츠 구매경험이 많은 소비자는 주로 여성이 많은 가구와 고소득 가구인 반면, 비시간이동형 콘텐츠 구매경험이 많은 가구는 가구원 수가 많은 가구, 가구주가 무직인 가구, 가구주 연령이 낮은 가구였다. 본 논문은 정확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므로, 실용적 차원에서 VOD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서비스 전략과 마케팅 활동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빈곤화 및 빈곤 지속에 미치는 영향: 복지패널 2007-2012년 자료 분석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the Transition to and Persistence of Poverty in South Korea: Analysi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2007-2012)

  • 송은철;신영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42-253
    • /
    • 2014
  • Background: The low benefit coverage rate of South Korea's health security system causes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can be the cause of the transition to and persistence of pover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the transition to and persistence of poverty, using 6 year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the 22,528 households that participated in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2007-2012.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defined as equal to or exceeds thresholds (10%, 20%, 30%, and 40%) of household's capacity to pay.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the transition to and persistence of poverty was ascertained vi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Four-point-seven percent to 20.6% of the households are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Rates of the transition to (relative risk [RR], 18.6 to 30.2) and persistence of (RR, 74.8 to 76.0) poverty of households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higher than households not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Even after adjus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and the household hea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found to affect transition to (odds ratio [OR], 2.11 to 3.04) and persistence of (OR, 1.53 to 1.70) poverty. Conclusion: To preven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transition to and persistence of poverty resulting from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e reinforcement of South Korea's health security system including the benefit coverage enhancement is required.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소셜로봇의 역할에 관한 고찰 -1인 가구 생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ole of Social Robot in Aspect of User Experiences -Focus on Single-person Households-)

  • 최민영;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295-300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1인 가구 내 개인이 직면할 수 있는 심리적 소외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인간과 정서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소셜로봇의 역할 탐색에 목적이 있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소셜로봇의 정의와 특징을 파악 후 소셜로봇의 현황과 미래 전망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소셜로봇의 잠재적 수요자가 될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30세 이하의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하여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소셜로봇에게 필요한 역할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자는 자신에게만 특화되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소셜로봇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나, 로봇과의 애착 형성 필요성에 대해서는 개인마다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개인별 생활 방식 및 성향 등에 따라 소셜로봇에게 요구하는 점이 다르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향후 소셜로봇이 인간의 삶 속에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개별 맞춤형 소셜로봇의 기술 개발과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의 고려가 필요하다는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TV 및 인터넷 음식 관련 프로그램의 특성이 고정시청자의 식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1인 가구를 중심으로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V and Internet Food-related Programs on Dietary Self-efficacy of Regular Viewers - focused on single household)

  • 김선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307-313
    • /
    • 2019
  • 2019년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가구 형태가 된 1인 가구 시대의 도래와, 인터넷, 모바일이 미디어를 주도함에 따라, 국민의 라이프 스타일도 급격히 바뀌고 있다. 1인 가구 세대의 최대 화두는 식생활로, TV 미디어 및 인터넷 먹방, 쿡방 등 이에 관련된 프로그램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본 연구는 TV 및 인터넷 음식 관련 프로그램의 콘텐츠 특성이 고정시청자의 식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더 나아가 청년층, 장년층, 노년층 1인 가구 집단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음식 관련 프로그램의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전 연령대에 거쳐 고정 시청자의 식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청년층은 오락성과 유용성이 식이 자기효능감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50-60대 저소득층 1인 가구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Factors Affecting the Self-Esteem of Single Households from Low-Income Families Aged 50-60 year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 유영설;이도희;김선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67-75
    • /
    • 2021
  • 본 연구는 50-69세의 저소득 1인 가구를 대상으로 그들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분석대상은 보건복지부에서 제공하는 2019년 복지패널자료로부터 50-69세 저소득 1인 가구에 해당하는 233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자존감을 종속변수로 하고, 관계만족도와 생활만족도를 독립변수로 정의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관계만족도는 경로계수 0.24로 자존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관계만족도는 경로계수 0.71로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생활만족도는 경로계수 0.46으로 자존감에 유의미하게 긍정적 직접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생활만족도가 관계만족도와 자존감에 경로계수 0.32로 매개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열악한 1인 가구를 지원하는 전략을 세울 때, 정책입안자들은 관계만족도와 생활만족도를 개선시키는 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COVID-19 전후 소비자의 간편식 구입 빈도 결정 요인 비교 (Analysis of Determinants of Home Meal Replacement Purchase Frequency before and after COVID-19 based on a Consumer Behavior Survey)

  • 오영진;장금일;김선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76-58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influence of the determinants for home meal replacement (HMR) purchase frequency before and after COVID-19.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applied to the 2018~2020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data from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Gender, age, number of households, monthly income, use of eating out, delivery and takeout order service, HMR food safety concern, the frequency of cooking at home, grocery shopping, and eating alone were applied as the explanatory variables to explain HMR purchase frequency. The results are as below.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growth rate of HMR purchase frequency in 2020 was relatively high, indicating that the COVID-19 outbreak acted as a catalyst. Unlike in 2018 and 2019,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HMR purchase frequency between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in 2020, with indicating multi-person households began to emerge as one of the major HMR consumption groups. Unlike 2018, the 2020 HMR purchase frequency showed a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ose of grocery shopping and eating alone.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eating out/food delivery orders and HMR purchases. The more often cooking at home occurred, the less HMR food was purchased.

취학전환기 맞벌이 가정 아동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문제와 집행기능 곤란 및 가정내 사회적 자본의 관계: 가정내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Amo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Problem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nd Domestic Social Capital in Children from Dual-Income Households in the Transition Period: Mediating Effects of Domestic Social Capital)

  • 천희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09-132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attention deficits/hyper activities problems(ADHD problem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nd social capital inside the family, especially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side the family, in children from dual-income household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01 children from dual-income households from the eigh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y belonged into lower and higher ADHD problems groups that showed below 25% or more than 75% of ADHD screening items' total score.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test by PROCESS macro 3.5.3.. Results: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nd social capital inside the famil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lower and higher ADHD problems groups. A mediating effect was found based on the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social capital inside the family including mother's warm childrearing behavior and positive coparenting,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Children's ADHD problem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each of the two social capital variables and each of the two variable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emphasize the meaningful role of social capital inside the family in the development of first graders with ADHD problems from dual-income households.

서울시 무주택 청년가구의 주거지원 정책이용 의사 영향요인 분석: 가구 및 정책특성을 고려하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the Housing Support Policy of 2030 Households in Seoul: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and Policy)

  • 성진욱;송기욱;정기성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3호
    • /
    • pp.57-68
    • /
    • 2022
  • 본 연구는 서울시 무주택 취약계층 2030가구를 대상으로 향후 청년주거지원 정책의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과 그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시사점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가구특성과 정책특성 변수를 포괄적으로 분석 모형에 적용하여 최근의 상황에서 청년계층의 주거불안 상황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이 낮을수록, 경제활동을 하는 청년인 경우, 원룸에 거주하는 경우, 월세로 사는 경우, 코로나 시기 고용부문 상황이 나아진 경우, 청년주거지원정책을 인지하고 있던 경우 주거지원정책에 향후 이용의사가 있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기존의 청년 주거지원 사업에 대해서 더욱 강화하고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청년 주거지원 정책들에 대한 정보전달 체계를 효율화하고 사회초년 청년계층을 위한 정교한 주거지원정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