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Adhesive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9초

녹차-목재섬유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에 미치는 녹차배합비율의 영향 및 휨 진동법에 의한 정적 휨 강도성능 예측 (Effect of Green Tea Content on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of Hybrid Boards Composed of Green Tea and Wood Fibers, and Prediction of Static Bending Strength Performances by Flexural Vibration Test)

  • 박한민;이수경;석지훈;최남경;권창배;허황선;변희섭;양재경;김종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6호
    • /
    • pp.538-547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녹차와 목재섬유를 복합한 친환경 복합보드를 건축내장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목재섬유에 대한 녹차의 배합비율을 달리한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를 제작하였고, 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에 미치는 녹차의 배합비율 및 바인더로 사용한 접착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차-목재섬유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은 녹차를 넣지 않은 대조보드(control boards)의 그것보다 적었고, 녹차배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보드제조에 사용된 바인더의 종류에 따라 동적탄성률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E_1$급의 요소수지가 $E_0$급의 요소수지보다 1.06~1.54배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녹차의 배합비율이 커질수록 양자의 차이는 커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녹차-목재섬유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과 휨 강도성능과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확인되어 일부 편차가 큰 조건을 제외하고 동적탄성률로부터 정적 휨 강도성능의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산 삼나무를 이용한 구조용 집성재 이용기술 (Development of Structural Glued Laminated Timber with Domestic Cedar)

  • 김광모;심상로;심국보;박주생;김운섭;김병남;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184-191
    • /
    • 2009
  • 삼나무 원목은 제주도를 중심으로 점차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옹이 등의 결함으로 인하여 목재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낮게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나무에 대한 고부가가치의 새로운 용도 창출을 목적으로 구조용 집성재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삼나무 제재목의 기계응력등급을 조사한 결과 국내의 다른 주요 침엽수종에 비해서는 다소 불량하지만 KS에 적합한 집성재 적층 구성에는 무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집성재 제조에 필수적인 접착성 및 접착내구성에 있어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집성재의 구조 성능을 평가한 결과, 휨 탄성계수가 KS의 기준에 다소 미달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집성재의 강성 보강을 위한 추가적인 검토가 요구되었다.

합판 정재단 부산물을 중층 Core로 이용한 복합보드의 물리·기계적 성질에 관한 고찰 (The Study o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osite Board, Using Byproduct of Plywood for Core Layer)

  • 최송규;피덕원;강석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6호
    • /
    • pp.490-496
    • /
    • 2013
  • 폐목재의 재활용으로 인한 보드의 물리 기계적 특성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그 원인으로는 가공되어 있던 재료를 재활용함에 있어 그 형상이 불균질하고 기존의 접착제 성분과 이물질로 인한 보드 품질의 불균일과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접착제에 포함되어 있는 포름알데히드로 인해 높은 방산량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제품의 질적 하락이 수입되는 파티클보드와의 가격 및 품질 경쟁력 약화로 이어져 국내 보드 산업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파티클보드의 원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합판 정재단 부산물을 이용한 보드를 제조하고 각각의 제조 조건별 물리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평가결과로 베니어 적층 복합보드를 EMDI 수지를 이용하여 4~16 mesh의 일반적인 chip 크기로 중층을 제작했을 때 휨강도가 57.7 $N/mm^2$로 OSB 측정결과 26.8 $N/mm^2$에 비해 215% 높은 휨강도를 나타냈으며 7.1~17.3%의 두께팽창률은 내수성을 지닌 보드로서 적합함을 보였다. 또한 0.7 ppm의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은 E1등급의 평균값 1.5 ppm과 E0 등급 최대값 0.7 ppm의 조건에 충족하며 이러한 결과는 바닥 깔개용 OSB를 대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합판용(合板用) 고온경화형(高温硬化型) 수용성(水溶性) 요소(尿素)·페놀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의 성질(性質)과 그 접착강도(接着強度) (Properties and Glue Shear Strength of the Water Soluble Urea-Phenol Copolymer Adhesive as a High Temperature Curing Binder for Plywood)

  • 이화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51-57
    • /
    • 1983
  • 고온경화형(高温硬化型) 수용성(水溶性) 요소(尿素) 페놀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의 제조(製造)몰비(比)를 각각 달리 제조(製造)하고 페놀수지(樹脂)의 경우 촉매(觸媒)를 달리 제조(製造)하여 이들 접착제(接着劑)의 성질(性質)과 그 접착강도(接着強度)를 Kapur 합판제조(合板製造)를 통(通)하여 구명(究明)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를 얻었다. 1) 각(各) 접착제(接着劑)로써 열압(熱壓)하여 제조(製造)된 합판(合板)의 비중(比重)은 단판(單板)의 비중(比重)에 따른 영향(影響)을 받아 0.67부터 0.82까지를 보였으며 합판(合板)의 기건함수율(氣乾含水率)은 모두 KS규격(規格)을 만족시켰다. 2)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 및 준내수접착력(準耐水接着力)의 경우, 페놀수지(樹脂)를 제외하고 60%고형분수지(固形分樹脂)가 50%고형분수지(固形分樹脂)보다 높은 값을 보였고 요소(尿素)와 페놀의 공축합비(共縮合比)에 따른 결과(結果)는 20%페놀함량(含量)의 요소(尿素) 폐놀공축합수비(共縮合樹脂)가 제일 높았고 70% 페놀함량(含量)의 수지(樹脂)가 제일 낮았다. 목분증량(木粉增量)은 50%페놀함량(含量) 이상(以上)의 공축합수비(共縮合樹脂)에서 접착력(接着力) 상승에 유효(有效)하였고 특히 50%고형분(固形分)의 경우, 알카리촉매 페놀수지(樹脂)를 포함하여 현저하였다. 페놀수지제법(樹脂製法) 중 양자겸용법이 최고(最高)의 접착력(接着力)을 과시하였고 알카리촉매법이 제일 낮았다. 준내수접착력(準耐水接着力)의 경우 요소수지(요소수지)는 제일 하위집단(下位集團)에 속하였다. 3)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의 경우, 페놀수지제법(樹脂製法) 중 알카리 산(酸) 양자겸용법(兩者謙用法)을 택하는 것이 가장 좋고 알카리촉매법(觸媒法)은 반드시 목분증량(木粉增量)을 하는 것이 필요(必要)하다. 10%페놀함량(含量) 요소(尿素) 폐놀 공축합수비(共縮合樹脂)도 유효(有效)한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을 과시하였다.

  • PDF

닭털로 제조한 접착제의 반응기작 및 경화 특성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중밀도섬유판의 접착 특성 (Reaction Mechanism and Curing Characteristics of Chicken Feather-Based Adhesives and Adhesive Properties of Medium-Density Fiberboard Bonded with the Adhesive Resins)

  • 양인;박대학;최원실;오세창;안동욱;한규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3호
    • /
    • pp.385-394
    • /
    • 2017
  • 도계부산물인 닭털(CF)의 알칼리 및 산 가수분해물과 폼알데히드계 가교제를 혼합하여 조제한 접착제의 반응기작 및 경화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를 적용시켜 제조한 중밀도섬유판(MDF)의 물성 및 폼알데히드 방산량 측정 결과를 토대로 CF 접착제의 목질계 판상재 제조를 위한 분사형 접착제로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형분 함량이 40% 이상인 CF 접착제는 상온에서 점도가 높았으나, $50^{\circ}C$에서 측정한 점도는 $300{\sim}660m{\cdot}Pa{\cdot}s$로 측정되어 낮은 점도를 요구하는 분사형 접착제로 적용이 가능하였다. 적외선 분광기 분석을 통하여 폼알데히드계 가교제의 사용에 따른 methylol기의 부가 및 축합반응을 확인하였다. 시차주사 열량계 분석을 통하여 CF 접착제가 현재 목질계 판상재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요소수지(C-UF)와 비교하여 높은 열압온도 또는 긴 경화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5% NaOH 농도의 수용액에서 가수분해된 CF 가수분해물(이하 CF-AK-5%)과 formaldehyde/phenol 몰비가 2.5인 phenol-formaldehyde prepolymer (PF-2.5)로 조제한 접착제를 사용하고 8분간 열압하여 제조한 MDF에서 높은 휨강도(MOR)와 박리강도(IB)를 보였다. 또한 이 접착제로 제조한 MDF의 MOR과 IB는 대부분의 접착제 조제 및 열압 조건에서 C-UF로 제조한 MDF보다 높았다. 이 측정치를 KS 규격과 비교하였을 때, IB는 모든 조건에서 기준을 상회하였으나, MOR은 CF-AK-5%와 PF-2.5로 조제한 접착제를 사용하고 8분간 열압하여 제조한 MDF를 제외하고 그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24-TS도 모든 조건에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MDF 제조시 보드의 목표밀도를 높이거나 내수성 부여를 위하여 접착제에 첨가하는 wax emulsion의 양을 증가시킬 경우 MOR과 24-TS는 충분히 향상될 것으로 생각한다. 한편, MDF 제조에 있어 CF 접착제의 사용은 폼알데히드 방산량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따라서 적절한 조건에서 조제된 CF 접착제는 목질계 판상재 제조를 위한 분사형 접착제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요소수지접착합판(尿素樹脂接着合板)의 유리(遊離)포름알데히드 방산(放散)제거 및 조절방법에 대한 비교연구(比較硏究)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rol and Removal of Formaldehyde for the Urea-formaldehyde Resin Bonded Plywood -Adhesive control-)

  • 이화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16-23
    • /
    • 1981
  • 요소수지(尿素樹脂)를 접착제(接着劑)로 사용(使用)한 수질품종중(水質製品中) 합판(合板)은 건축내장(建築內裝) 및 가구(家具), 후래쉬도아, 마루판등(等) 광범하고 다양한 용도로 주거환경(住居環境)에 사용(使用)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합판중(合板中) 요소수지접착층(尿素樹脂接着層)으로부터 유리(遊離) 또는 분해(分解)되어 방출(方出)되는 포름알데히드는 유독(有毒)한 화학약제로서 극소량의 농축으로도 불쾌감, 두통(頭痛) 및 인체(人體)에 위험을 실제로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리포름알데히드를 제거 또는 조절하여 소위 "포름알데히드 문제"를 해결(解決)하는 처리방법(處理方法)에 목표를 두고 탈(脫)포름알데히드효과(效果) 및 합판(合板)의 재질(材質)에 미치는 효과(效果)를 상호 비교(比較)하고 그 개선점(改善點)을 밝히고자 하였다. 개량(改良)크로모토로픽산(酸) 방법(方法)으로 유리포름알데히드를 정량(定量)하였으며 주로 접착제제조(接着劑製造) 및 혼합(混合)에 중점을 두고 제거제(除去劑)를 첨가할 때의 효과(效果)를 비교(比較)하였으며 도포방법(塗布方法)은 요소처리(尿素處理)에 한(限)하였다.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다. 1. 요소용액(尿素溶液)침지처리와 경화제처리(硬化劑處理)가 가장 좋은 유리포름알데히드방산제거효과(放散除去效果)를 가져 왔으며, 리조시놀 4%, 알부민처리(處理)도 좋은 결과(結果)를 가져왔고 수피분증량처리도 그 가능성이 있음을 볼 수 있다. 2. 합판접착강도(合板接着强度)는 상태접착강도(常態接着强度)에서 모든 처리(處理)가 전부 규격에 합격(合格)하여 특히 리조시놀 2%와 요소용액침적처리(尿素溶液沈積處理)가 월등히 높았고, 2류합판(類合板)온수시험에 의(依)한 접착강도(接着强度)는 경화제처리(硬化劑處理)로만 불합격(不合格)이고 리조시놀 2%가 대비합판(對比合板)에 비(比)하여 좋은 강도(强度)를 보였고 수피(樹皮), 요소처리(尿素處理)가 대비(對比) 합판(合板)보다 강도(强度)가 높았다. 3. 처리합판(處理合板)의 기건함수율(氣乾含水率)은 11~13% 사이로 모두 규격(規格)을 만족시켰다. 4. 리조시놀, 알부민과 요소용액침적처리(尿素溶液沈積處理)의 혼합효과(混合效果)는 계속 연구(硏究)하면 더 좋은 결과(結果)를 획득하리라 사료된다.

  • PDF

타닌접착제를 위한 침엽수 수피의 알칼리성 추출물의 양적 변이 (Quantitative Variation of Alkali-soluble Extracts from Coniferous Barks for Tannin-based Adhesives)

  • 조남석;김영신;한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23-27
    • /
    • 1997
  • Alkali-soluble extracts were prepared from barks of Japanese larch(Larix leptolepis). Siberian larch(Larix gmelineii) and Radiata pine(Pinus radiata) The effect of various factors, such as particle size, liquor ratio, extraction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on the extracts yield was investigated. Particle sizes affected the alkali-soluble extracts; the finer the particle size, the higher extracts and extract efficiency. High temperature and high liquor ratio were more effective. In the range of 0.25% to 1% NaOH concentration, alkali extracts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alkali concentration. However, extract yields were leveled off above 0.5% alkali concentration. Extractions with NaHCO3 were almost equivalent to those of NaOH extraction. 1% NaOH and 1% NaHCO3 resulted in the highest yields of alkaline extracts. Extracts from Japanese larch were lower than those from Siberian larch and Radiata pine barks. Siberian larch bark was the best raw material for tannin adhesives, because its extractive yield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barks. Concerning pH of alkaline media during extraction, small increases of the extract yields were resulted at range of pH 7 to pH 9, while a large increases from pH 9.0 to pH 12. This phenomenon is attributed to higher alkalinity.

  • PDF

증량된 요소수지 접착제와 소나무 간벌재로 제조된 파티클보드의 성질 (Properties of Particleboard Made from Pinus densiflora Thinning Log with Extended Urea-Formaldehyde Resin Adhesive)

  • 오용성;곽준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22-26
    • /
    • 2003
  • 증량제로서 카제인과 콩을 첨가한 요소수지 접착제와 소나무 간벌재 파티클로 실험실 파티클보드를 제조하였다. 소나무 간벌재 파티클로 제조된 파티클보드를 성능 평가한 결과 소나무 간벌재는 파티클보드의 원료로서 적합하다. 증량된 요소수지로 접착된 파티클보드는 증량제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계적인 성능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요소수지 접착제의 고형분량에 대해 카제인은 15%까지 콩은 20%까지 첨가하여 파티클보드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아교 접착제를 이용한 돌침대용 목재 샌드위치 복합재의 계면, 열적 및 방수특성 증가 (Improvement on Interfacial, Thermal, and Water Resistance Properties of Wood Sandwich Composites for Stone Bed using CNT-Animal Glue Adhesive)

  • 김종현;권동준;신평수;백영민;박하승;문선옥;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235-240
    • /
    • 2017
  • 아교는 수용성을 띄는 접착제로, 이 특징에 의해 물에 약하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고가구에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를 도입에 따른 아교의 계면특성 및 열적특성 그리고 방수특성 개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탄소나노튜브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아교를 이용하여 접착한 돌침대용 목재 샌드위치 판 상부의 실시간 온도측정을 진행하였다. 나무와 아교접착제 간의 계면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랩 전단 실험을 실시하였고, 습도가 높아짐에 따라 물성이 약해지는 아교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탄소나노튜브를 도입에 따른 아교의 방수특성이 개선되는지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랩 전단시편을 물에 담근 후 랩 전단 실험을 진행하여 기존의 결과와 비교하여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비교하였다.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물과의 정적 접촉각을 이용해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른 아교접착제의 소수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아교 접착제에 탄소나노튜브를 도입으로 계면특성, 열적특성 및 방수특성이 개선되었다.

피에조 세라믹과 매칭레이어와의 최적 공진주파수 관계에 대한 연구 (Study on Relation of Optimum Resonant Frequencies between Piezo Ceramic and Matching Layer)

  • 김권세;최두석;김영춘;조재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191-3196
    • /
    • 2013
  • 초음파 센서는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초음파 센서의 피에조 세라믹과 매칭레이어 접착기술이 가장 핵심이 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를 공기 중으로 발진해 주는 매칭레이어에 대한 관계의 연구와 함께 피에조 세라믹과 매칭레이어를 접착한 경우 변화될 수 있는 결과를 추출하여 제 2의 사용가능 주파수를 발견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실제 압전소자인 피에조 세라믹과 케미컬우드인 매칭레이어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피에조 세라믹의 OD는 ${\Phi}50{\times}3T$로 설계 되었으며 매칭레이어 OD는 ${\lambda}=1/4$${\Phi}62{\times}12t$로 설계하였다. 가장 최적의 공진 주파수는 53 Khz에서 음향 임피던스 값을 나타냈다. 실험결과, 유연성을 가진 접착제 보다 고체에 가까운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에 많은 사용가능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