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Fi6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8초

WiFi와 mobile WiMax간 핸드오버 방안 (Handover Scheme between WiFi and Mobile WiMax)

  • 박승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4-41
    • /
    • 2011
  • 현재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는 3G 이동 통신 네트워크, mobile WiMAX, WiFi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가 혼재해 있는 환경에서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동종 또는 이기종 네트워크간 이동성 지원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서비스 지역이 가장 넓은 3G 네트워크를 주축으로 3G-mobile WiMAX(IEEE 802.16e)와 3G-WiFi(IEEE 802.11)에 대한 연동 방안들이 많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넷북, 전자책, 스마트폰 등의 등장과 함께 무선 인터넷 사용이 늘면서 mobile WiMAX와 WiFi 서비스 지역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인터넷 전화 서비스와 같은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가능해 짐에 따라 전통적인 음성 서비스를 하는 3G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비중은 점차 줄고 무선 인터넷 접속네트워크인 mobile WiMAX나 WiFi는 그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obile WiMAX와 WiFi간 이동성 지원과 핸드오버 지연을 최소화 하는 PMIPv6(Proxy Mobile IPv6) 기반의 핸드오버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안에서 이동 노드(MN)는 WiFi와 mobile WiMAX 두 개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중 스택 구조이며 WiFi가 이동성 지원을 하지 않으므로 기존 동종 네트워크간 핸드오버시 게이트웨이간 핸드오버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기능을 이동 노드에 두도록 제안하고 있다. 동종 네트워크간 핸드오버와 비교해 제안된 핸드오버 방안은 해석적 평가를 통해 핸드오버 지연 및 전송 지연과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감소함을 보여준다.

Wi-Fi Direct 통신 기술 및 응용

  • 홍종우;변성호;박승일;박천우;최성현
    • 정보와 통신
    • /
    • 제30권6호
    • /
    • pp.26-32
    • /
    • 2013
  • Wi-Fi Direct는 Wi-Fi Alliance에서 인증한 Wi-Fi 기반기술로 AP (Access Point)나 라우터 같은 인프라장비 없이 단말 간에 직접 통신을 하는 프로토콜 방식을 의미한다. Wi-Fi Direct는 현재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TV, 노트북, 프린터, 카메라와 같은 다양한 기기 등에 탑재되어 단말 간 직접 통신을 통하여 콘텐츠 및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본고에서 Wi-Fi Direct 기술을 동작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새롭게 정의된 전력 절감 기술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또한 Wi-Fi Direct 기반 응용 서비스를 알아본다.

DTV에 대한 WiFi의 간섭영향 분석 (Analysis on Interference Impact of WiFi on DTV)

  • 정연명;조인경;이일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1B호
    • /
    • pp.1357-1362
    • /
    • 2011
  • 아날로그 텔레비전에서 디지털 텔레비전으로 전환할 때 TVWSs (TV White Spaces)가 발생된다. TVWSs에는 일부 무선 통신 시스템이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면허가 필요하지 않는 WiFi (Wireless Fidelity)가 있다. 또한, TVWSs는 VHF와 UHF의 사이에 주파수로써, 현재 WiFi가 사용하고 있는 2.4 GHz 및 5 GHz주파수와 비교할 때 TVWSs는 WiFi보다 더 큰 적용범위를 제공하고 건물에 대한 더 높은 침투력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WiFi가 TVWSs 주파수 구간에서 사용 가능하다고 가정한 후, DTV에 대한 WiFi의 간섭영향을 분석하였다. SEAMCAT (Spectrum Engineering Advanced Monte-Carlo Analysis Tool)을 이용하여 DTV 수신기가 받는 간섭 확률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개의 WiFi 사용자가 동시에 최대 전송전력으로 작동하였고 22 MHz 가드 밴드가 요구되었으며, WiFi 사용자와 DTV 수신기간의 보호거리가 6km이상일 때 DTV 수신기의 5%이하 간섭확률 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Fi 6 환경에서의 IoT 보안 분석 (Analysis of IoT Security in Wi-Fi 6)

  • 김현호;송종근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8-44
    • /
    • 2021
  • Wi-Fi provides some low-power connection solutions that other Bluetooth cannot provide, and at the same time brings many benefits. First, there is a potentially higher data rate: it can reach 230mbps. Wi-Fi coverage is also wider than competitors, and its operating frequency is also 5GHz, which is much less congested than 2.4GHz. Finally, it also supports IP networks, which is important if you want to send data to the cloud without complexity. The 802.11ac standard of the previous generation still accounts for most shipments (80.9%) and revenue (76.2%). However, there is a limit to accepting IoT devices that will continue to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future. To solve this problem, the new Wi-Fi 6 standard is expected to be the solution (IEEE 802.11ax) which is quickly becoming the main driving force of th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market. According to IDC market research analysts, in the first quarter of 2020, independent access points (APs) supported by Wi-Fi 6 accounted for 11.8% of shipments, but 21.8% of revenue. In this paper, we have compared and analyzed the IoT connectivity, QoS, and security requirements of devices using Wi-Fi 6 network.

Survey of Algorithms and Techniques Used to Improve the Security of A Public Wi-Fi Network

  • Aloufi, Hanouf;Alsuwat, Hati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6호
    • /
    • pp.194-202
    • /
    • 2022
  • The use of public Wi-Fi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with many people like to spend their time outside in malls or café shops which provide public Wi-Fi for their customers. However, since the public Wi-Fi can be accessed from any device the security of public Wi-Fi plays a big role to prevent the stealing of information by an attacker with methods and techniques such as WPA, WPA2 and WPA3. However, it is well known to the attackers that these methods are not difficult to get hacked by the attacker device to take the client precious information. Some researches were done in increasing the security of public Wi-Fi each with their own different technique or algorithm to provide more secure connection to the public Wi-Fi and prevent any unauthorized user to connect to avoid stealing the data of another legal user. Theses research paper are evaluated to learn which method excel in protecting the public Wi-Fi security by giving an analysis to the methods provided by the research paper with comparing the pros and cons of each algorithm. Moreover, the research displays that there are methods to actually provide security to the public Wi-Fi with each being very different in implementation.

Coexistence between Wireless Fidelity and Wireless Microphone in TV Band

  • Cho, In-Kyoung;Lee, Il-Kyoo;Cho, Ju-Phi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3호
    • /
    • pp.906-918
    • /
    • 2012
  • Wireless Fidelity (WiFi) and Wireless microphone are assumed to operate on adjacent channels in TV White Spaces(TVWS). The Scenario of WiFi potentially interfering with Wireless microphone is analyzed through Minimum Coupling Loss (MCL) and Spectrum Engineering Advanced Monte Carlo Analysis Tool (SEAMCAT) based on the Monte-Carlo simulation method. In the case of single WiFi interfering with Wireless microphone, the protection distance between WiFi and the Wireless microphone should be at least 25.12 m to avoid WiFi impact on Wireless microphone. When the active number of WiFi is 12, the guard band between WiFi and Wireless microphone should not be less than 4.97 MHz to guarantee that WiFi does not interfere with the Wireless microphone.

WPS(WiFi Positioning System & Service) 동향 (The Trend of WPS(WiFi Positioning System & Service))

  • 정승혁;신현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433-43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WiFi 위치 측위기술 및 서비스에 대해 소개해 보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WPS(WiFi Positioning System)의 기본적인 기술요소 및 품질요소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위 이동통신 기반의 위치서비스를 제공할 때 단말의 위치 결정 기술을 통하여 사용자 또는 가입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위치기반서비스 산업활동에 대하여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본다.

딥러닝을 활용한 실내 사람 수 추정을 위한 WiFi CSI 데이터 전처리와 증강 기법 (WiFi CSI Data Preprocessing and Augmentation Techniques in Indoor People Counting using Deep Learning)

  • 김연주;김승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1890-1897
    • /
    • 2021
  • 사람 수 추정은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자동차 등과 같은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중요한 기술이다. 최근 COVID-19의 영향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사람 수 추정 기술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사람 수 추정 시스템은 서비스 요구사항에 따라 카메라, 센서, 무선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WiFi AP를 활용한 사람 수 추정 방식은 다중경로 정보를 반영하는 WiFi CSI를 활용하는 기술로 낮은 비용으로 실내에서 사용하기에 효과적이다. 기존에 제안된 WiFi CSI 기반 사람 수 추정 시스템은 정확도가 낮아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 본 논문은 WiFi CSI 데이터에 기반한 딥러닝 사람 수 추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오토인코더를 활용한 데이터 전처리 방식, WiFi CSI 데이터를 변형하는 데이터 증강 기법, 그리고 딥러닝 모델링을 통해 추정 정확도를 높인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시스템은 최대 6명에 대해 89.29%의 정확도를 보였다.

Wi-Fi Direct 환경에서 Fast Connection을 위한 효과적인 Device Discovery 기법 연구 (Study of Efficient Device Discovery Method for Fast Connection in Wi-Fi Direct)

  • 이재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6호
    • /
    • pp.631-639
    • /
    • 2016
  • 현재 Wi-Fi Alliance에서 발표한 Wi-Fi Peer-to-Peer Technical Specification (v1.4, 2014) 기술은 Wi-Fi Direct 접속을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스마트폰과 TV, 모니터, 셋톱박스, 게임콘솔 등의 장치에서 상용화되고 있다. 하지만, 위 기술 표준에서 정의되는 초기 접속 절차는 5~10 초의 시간이 소모되며, 이는 해당 기술의 성능과 더불어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현재 표준 기술의 Scan 절차와 Find 절차로 구성된 초기 Discovery 절차의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발생되며, 본 고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Wi-Fi Direct 절차를 구성하는 Scan 및 Find 절차를 재구성하여 Discovery 소요 시간을 단축시키고 접속 환경에 대한 효율을 향상시켰으며, 객관적 검증을 위하여 성능분석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통신환경이 WiFi를 이용한 VoIP 서비스 용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on VoIP capacity using WiFi)

  • 최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327-133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WiFi 무선망을 통한 VoIP 서비스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VoIP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VoIP 통화의 수, WiFi 구간의 비음성 트래픽, 백본망내의 패킷 손실율과 단대단 지연등이 있다. WiFi 구간내 비음성 트래픽이 없으며 백본망의 패킷 손실율이 4%이고 단대단 지연이 90msec인 경우 G.729a 코덱으로는 12통화가 가능하며 G.729a VAD 코덱으로는 27통화까지 서비스 가능하였다. 분석결과 WiFi 구간의 데이터 트래픽과 TCP/IP망내 지연 및 패킷 손실율이 통화품질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양질의 통화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대단 지연과 패킷 손실율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것 외에도 AP내에서 일종의 VoIP 호 접속 제어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