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rot fungus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5초

목질 재료의 자기가수분해 및 효소당화에 관한 연구 (IV) - Laccase 및 Cellulase의 동시 이용 가능성 - (Autohydrolysis and Enzymatic Saccharification of Lignocellulosic Materials (IV) - Simultaneous Utilization of Laccase and Cellulase -)

  • 조남석;임창숙;이재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52-60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possibility of simultaneous utilization of laccase from white-rot fungus with cellulase on enzymatic hydrolysis of cellulosic substrate from autohydrolyzed oak wood. Laccases from 3 white-rot fungi, Pleurotus ostreatus. Ganoderma lucidum, and Phanerochaete chrysosporium, were isolated, purified and measured their activities. The highest activity was shown in Pleurotus ostreatus and the lowest in Phanerochaete chrysosporium. Laccase from Pleurotus ostreatus has optimum pH of 5.94, Km value of 3.209 mM and appeared to be stable at relatively wide pH range, 4.7-8.72. Temperature stability showed that 60% activity was preserved after 40 minutes at $50^{\circ}C$. Laccase from Ganoderma lucidum reached to the maximum activity during 15-20 day incubation. This enzyme has optimum pH of 6.45, Km value of 6.71 mM and pH range of 5.0-9.0 for stabilization. 95% activity was preserved at $30^{\circ}C$ and 58% activity at $50^{\circ}C$. Concerned to the enzymatic hydrolysis of cellulosic substrate with both enzymes, cellulase and laccase, simultaneously, mixed culture filtrates and mycellium extracts were shown higher hydrolysis rates than those of Trichoderma virid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hydrolysis among various mixed culture filtrates and mycellium extracts.

  • PDF

Trametes versicolor에 의한 상수리나무의 분해형태 (Morphological aspects of white-rot degraded oak wood by Trametes versicolor)

  • 유태방;윤민호;최우영;이종신
    • 농업과학연구
    • /
    • 제28권2호
    • /
    • pp.125-131
    • /
    • 2001
  • 백색부후균 Trametes versicolor(CV5) 균주에 의한 wood lignin의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CV5는 활엽수와 침엽수에 속하는 여러 수종의 프로토 리그닌 분해 시 활엽수에 한해서 분해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특히 상수리나무에서 33.5%의 가장 높은 리그닌이 분해되었다. 리그닌 분해에 관련된 phenoloxidase 분비능을 Bavendamm 시험을 통해 검토한 결과 CV5는 지금까지 연구된 우수 백색 부후균과 같은 유사 반응 형태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수리 목재 chip표면에 CV5의 균사가 생육하면서 목재조직이 부후된 상태를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목섬유 및 도관에서 균사의 침투와 목재조직의 분해를 확인하고 리그닌에 대한 높은 선택적 분해력을 갖고 있음을 구명하였다.

  • PDF

Demethoxylation of Milled Wood Lignin and Lignin Related Compounds by Laccase from White-rot Fungus, Cerrena unicolor

  • Leonowicz, A.;Rogalski, J.;Malarczyk, E.;Grzywnowicz, K.;Ginalska, G.;Lobarzewski, J.;Ohga, S.;Pashenova, N.;Lee, S.S.;Cho, Nam-Seo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4호
    • /
    • pp.29-40
    • /
    • 2000
  • Highly purified Cerrena unicolor laccase (benzenediol:oxygen oxidoreductase, EC 1.10.3.2) caused the demethoxylation of milled wood lignin and several lignin related substances. The constitutive form of the enzyme produced extracellularly by C. unicolor fermenter culture was isolated and purified by ion-exchange chromatography on the DEAE-Toyopearl column and by affinity chromatography on a ConA-Sepharose and Syringyl-AH-Sepharose 4B columns. The enzyme was further immobilized on functionalized porous glass (CPG) and keratin coated CPG. The demethylating activity was monitored both by estimation of released methanol and by detection of the level of methoxyl groups (also in some water miscible solvents) after incubation of lignin materials with laccase preparations (free and immobilized). The effects of the incubation time and temperature on the demethoxylating activity of immobilized laccase preparations were also studied.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hermostable Laccase from Trametes trogii and Its Ability in Modification of Kraft Lignin

  • Ai, Ming-Qiang;Wang, Fang-Fang;Huang, Fe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8호
    • /
    • pp.1361-1370
    • /
    • 2015
  • A blue laccase was purified from a white rot fungus of Trametes trogii, which was a monomeric protein of 64 kDa as determined by SDS-PAGE. The enzyme acted optimally at a pH of 2.2 to 4.5 and a temperature of 70℃ and showed high thermal stability, with a half-life of 1.6 h at 60℃. A broad range of substrates, including the non-phenolic azo dye methyl red, was oxidized by the laccase, and the laccase exhibited high affinity towards ABTS and syringaldazine. Moreover, the laccase was fairly metal-tolerant. A high-molecular-weight kraft lignin was effectively polymerized by the laccase, with a maximum of 6.4-fold increase in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as demonstrat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Notable structural changes in the polymerized lignin were detect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1H NMR spectroscopy. This revealed an increase in condensed structures as well as carbonyl and aliphatic hydroxyl groups. Simultaneously, phenolic hydroxyl and methoxy groups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ed the potential use of the laccase in lignin modification.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동부 흰비단병 (Sclerotium Rot of Cowpea (Vigna sinensis King)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강동완;한인영;최용조;이상대;손대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1-63
    • /
    • 2016
  • 2015년 9월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시험연구 포장에서 재배 중인 동부에 흰비단병 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동부의 줄기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되어 서서히 시들면서 포기 전체가 말라 죽었다. 줄기의 병반부와 토양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며 갈색의 둥글고 작은 균핵이 많이 형성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으로 잘 자라며 배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갈색의 둥글고 작은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sim}9{\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담자균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동부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동부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꽃향유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Stem Rot of Elsholtzia splendens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4권2호
    • /
    • pp.131-133
    • /
    • 2008
  • 2006과 2007년 2년간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약초 전시포장에 재배중인 꽃향유에서 S.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줄기와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면서 암갈색으로 시들어 말라 죽는다. 병반부와 지제부위의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생기고 감자한천 배지에서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으며 크기는 $1{\sim}3mm$였다. 균사의 폭은 $4{\sim}9{\mu}$이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으며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꽃향유에서 발생한 병징과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꽃향유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수박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Fruit Rot of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5권1호
    • /
    • pp.51-53
    • /
    • 2009
  • 2007년 5월 상순 진주시 초전동 비닐하우스 수박 재배 포장에서 수박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정은 과실 아랫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되면서 병반부와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모양으로 생기고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sim}3\;mm$이며 균사의 폭은 $4{\sim}8{\mu}m$로서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수박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수박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바나나 무름병 발생 (Occurrence of Rhizopus Soft Rot on Musa sapientum Caused by Rhizopus stolonifer in Korea)

  • 권진혁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4-57
    • /
    • 2007
  • 2005년부터 2006년까지 2년 동안 경남 진주시 농산물 도매시장에 유통 판매중인 바나나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상처난 부위의 과실이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검은색으로 빠르게 부패되었다. 균총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갈색으로 되며 검은색의 포자낭을 많이 형성하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다. 포자낭경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회색을 나타내며 폭은 $12{\sim}26\;{\mu}m$이었다. 포자낭은 처음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되며 모양은 구형 또는 반구형이며 크기는 $83{\sim}195\;{\mu}m$이었다. 주축은 반구형이며 크기는 $72{\sim}125\;{\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으로 단포이며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불규칙한 것이 많으며 크기는 $9{\sim}20{\times}7{\sim}8\;{\mu}m$이었다. 이상과 같이 바나나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본 병해를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바나나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멜론무름병 발생 (Occurrence of Rhizopus Soft Rot on Melon (Cucumis melo L.) Caused by Rhizopus stolonifer in Korea)

  • 권진혁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9-202
    • /
    • 2008
  • 시장에서 판매중인 멜론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과실의 상처난 부위에 수침상으로 무르면서 빠르게 부패되었다. 균총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갈색으로 되고 검은색의 포자낭을 많이 형성하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다. 포자낭은 처음 흰색에서 성숙하면 검은색으로 되고 구형 또는 반구형이며 크기는 $80{\sim}195\;{\mu}m$이었다. 포자낭경은 폭은 $12{\sim}24\;{\mu}m$이었다. 주축은 반구형이며 크기는 $70{\sim}90\;{\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 단포이며 구형 또는 타원형이며 크기는 $9{\sim}20\;{\times}\;6{\sim}8\;{\mu}m$이었다. 균학적 특성을 기초로 병원균은 Rhizopus stolonifer로 동정되었고 병원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병해를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멜론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