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st Coast Area

검색결과 425건 처리시간 0.028초

서해 만경.동진 조간대의 환경과 저서동물 분포 (Environments and distribution of Benthic Animals on the Mangyung-Dongjin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 안순모;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8-90
    • /
    • 1992
  • 서해 중부연안에 발달된 만경.동진 조간대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의 분포 양 상을 살펴보고 분포와 환경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8개의 조사선, 총 69개 정점 을 선정하여 저서동물 표품 채취 및 환경요인을 측정하였다. 조사 정점들은 평균해수 면 아래 250 cm에서 평균해수면 위 230 m 사이에 위치했으며, 정점들이 간조시 노출되 는 정도는 연속노출시간의 차이에 따라 4개의 서로 구분되는 노출 범위로 나타냈으며, 상부조간대에서 하부조간대로 갈수록 조립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망경.동진 펄 조간 대에서 출현한 저서동물은 총 64종이었으며, 평균서식밀도는 $1,225{\;}개체{\cdot}1\textrm{km}^2$ 였다. 이매패류인 Laternula cf. limicola (71%) 북족류인 서해비단고동(22%), 완족류 인 Lingula anatina (2.6%) 등이 우점하고, 이들은 총 출현개체수의 95.6%를 차지하였 다. 만경.동진 펄 조간대의 각 지역은 환경조건에 따라 그 환경을 반영하는 저서동물 의 분포양상을 보여 주었는데, 특히 연속노출시간에 따라 구분된 각 노출범위에는 각 기 구분되는 동물의 분포가 나타났다. 연속노출시간이 가장 긴 상부조간대에서는 Perinereis 군집이 나타났고 연속노출시간이 감소하면서 차례로 Macrophthalmus, Bullacta-Mactra-Umbonium 군집이 형성되었다.

  • PDF

한국의 초가을 강수분포의 종관기후학적 특성 (Synoptic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Korea in Early Autumn)

  • 양진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1-162
    • /
    • 1999
  • 본 연구는 한국에 있어서 초가을의 강수 변동성과 표준화된 편차에 의하여 선정된 소우년과 다우년의 지상 및 500hPa 등압면을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한국의 초가을의 강수량은 감소하지만 강수변동율은 급격히 증가하여 해에 따른 가을장마전선의 성쇠와 태풍성 강수의 유무를 반영하고 있다. 강수변동율의 지역적 분포는 초가을의 강수량이 많은 동해안과 남동해안 지방은 낮은 반면 남서안이 높아서 서고동저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지상 및 500hPa면의 편차분포에서 소우년은 시베리아 북부 및 하계 북태평양고기압의 중심역이 심한 음편차, 다우년은 소우년과 반대로 이 양 지역이 심한 양편차를 이루어 대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500hPa면 고도장에서 소우년의 한반도는 깊은 trough의 서쪽에 위치하여 한반도 주변은 동서지수가 낮고 다우년은 약한 trough에 속하여 동서지수가 높아 동서류가 강하며, 소우년은 $40^{\circ}N$ 이북에서는 500hPa면 고도가 낮고 다우년은 높다. 따라서 소우년과 다우년의 출현현상은 북태평양 고기압과 시베리아 고기압 성쇠의 계절적 변동을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서해산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토사 배출 조건 (Sand Elimination in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Harvested from Western Coast of Korea)

  • 송기철;목종수;강창수;장동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9-183
    • /
    • 2001
  • 서해안에서 생산되는 주요 패류인 바지락의 토사 배출률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토사 배출에 관여하는 환경인자의 영향과 토사 배출에 따른 해수의 pH 및 용존 산소의 변화, 그리고 바지락에 대한 세균학적 조사, 폐사율 및 토사 잔존유무를 검토하였다. 바지락의 토사 배출에 있어서 해수 온도의 영향을 보면 수온 $23^{\circ}C$에서 가장 양호하여 48시간 후에 $97.9\%$가 배출되었으며, 염분농도는 $32.9\~40\%_{\circ}$에서 가장 양호하여 48시간 후에 $94.7\~97.1\%$가 배출되었다. 또한 pH의 영향을 보면 pH 9.0에서 가장 많은 양이 배출되어 48시간 후에 $98.0\%$가 배출되었으며, 자연해수인 pH 7.9와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바지락은 해수를 유수시키지 않고 12시간마다 해수만 교환한 시험구에서는 48시간 경과후 $2\~24\%$의 폐사체가 발생하였으나, 유수 시킨 시험구에서는 48시간까지 폐사체가 발생하지는 않았다. 모든 시험구에서 36시간 이상 경과시 대부분의 토사가 배출되었다. 바지락의 토사 배출을 위한 최적 해수 공급 조건은 바지락에 대한 해수 비율이 3,000과 4,000 L/shellfish $m^3$일 때에는 해수를 150L/min./shellfish $m^3$ 이상, 6,000과 8,000 L/shellfish $m^3$일 경우에는 해수를 100L/min./shellfish $m^3$ 이상 공급하는 것이었다.

  • PDF

서해산 동죽 (Mactra veneriformis)의 토사 배출 및 미생물 정화 조건 (Sand Elimination and Microbial Depuration in Surf clam, Mactra veneriformis, Harvested from Western Coast of Korea)

  • 송기철;목종수;강창수;장동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4-189
    • /
    • 2001
  • 본 연구는 서해산 동죽의 토사 배출 및 미생물 정화의 최전 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토사 배출에 대한 수질의 영향, 그리긴 동죽에 대한 폐사율, 토사 잔존유무 및 세균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죽의 토사 배출을 위한 적절한 수질조건은 수온 $23^{\circ}C$, 염분농도 $32.9\~35.0\%_{\circ}$, $pH\;7.9\~9.0$이었다. $23^{\circ}C$로 조절한 자연해수 (염분농도 $32.9\%_{\circ}$, pH 7.9)를 사용하여 토사배출 시험을 실시한 결과, 동죽은 마리당 평균 약 210mg의 토사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24시간 후에 $94\%$를 배출하였다. 동죽은 공급 해수의 유수량과 동죽에 대한 해수 비율이 높을수록 양호한 생리상태 및 토사배출 성상을 보였으며, 최적 토사배출조건은 동죽에 대한 수조내 해수 비율을 4,000 L/$m^3$ 이상으로 하여 최저 150 L/minute/$m^3$의 유수량으로 36시간 이상 공급해 주는 것이었다. 동죽의 미생물 정화는 토사 배출과 마찬가지로 유수량이 많을수록 동죽에 대한 해수 비율이 높을수록 효과적이었으며, 위생지표세균인 대장균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인 미생물 정화 조건은 동죽에 대한 해수 비율이 4,000 L/$m^3$ 이상일 때 최저 150 L/minute/$m^3$의 유수량으로 24시간 이상 공급해주는 것이었다.

  • PDF

Estimation of morphological change using waterline method in the Ganghwado tidal flats

  • Lee, Yoon-Kyung;Ryu, Joo-Hyung;Eom, Jin-Ah;Jo, Min-Jeo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22-24
    • /
    • 2007
  • Waterline extraction is the one of widely used methods for studying changes in tidal flat environment and coastlines using multi-temporal optical images such as Landsat TM and Landsat ETM+. High dynamics of tidal currents and land reclamation which accelerate sedimentation and/or erosion cause waterline change in tidal flats. The amount of sediment deposited or eroded can be evaluated by precisely estimating waterline changes in tidal fla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ct the change of waterlines during 17 years and analyze the trends of erosion and sedimentation in the study areas. The Ganghwado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selected. The study area is famous for high dynamics of tidal currents and vast tidal flats. Land reclamation which has been carried out on a large scale is also considered as one of elements that have accelerated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is tidal flat. In this study, we acquired 26 waterlines from Landsat TM and Landsat ETM+ images. We extracted the waterline from each satellite image to generate a digital elevation map (DEM) which was used for reference and to compare with the other waterline which was extracted from DEM having a same tide. The result of comparison well depicted the areas of dominant sedimentation and erosion, and general trends of sedimentation and erosion according to sub-regions are also revealed during the investigation time. Results showed that erosion during a decade was dominant at the west of the Southern Ganghwado tidal flat, while sedimentation was dominant at the wide channel between the Southern Ganghwado tidal flat and the Yeongjongdo tidal flat. This area has been commonly affected by high currents and sedimentation energy. Although we were not able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waterline changes, this result clearly showed the waterline change and therefore, the waterline extraction method used in this study has proven as an effective tool for long term tidal change estimation.

  • PDF

Landsat 위성을 이용한 조위에 따른 영종도 갯벌의 면적 탐지에 관한 선행 연구 (Preliminary Study for Tidal Flat Detection in Yeongjong-do according to Tide Level using Landsat Images)

  • 이슬기;김규연;이창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39-645
    • /
    • 2016
  • 국내에서 7번째로 큰 섬인 영종도는 인천으로부터 남서쪽으로 약 4.8 km 떨어져 있다. 영종도 주변에는 조수 차에 따라 드러나는 갯벌이 존재하며, 이곳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겨울철새의 중요한 도래지라는 점에서 환경적 가치가 높은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최근 인천국제공항의 건설과 간척사업과 같은 인위적인 자연개발로 인해 갯벌 보존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지질조사소 (USGS)가 제공하고 있는 Landsat 7 ETM+영상을 기반으로 영종도 갯벌 지역을 분석하였다. 갯벌의 경계선을 뚜렷이 나타내기 위하여 물과 육지의 경계가 분명하게 구분하는 RGB 7, 5, 3 밴드조합으로 위성영상 가합성 (False color composite)을 수행하고 지표피복분류를 통해 갯벌을 탐지하여 면적을 계산하였으며, 갯벌 면적을 수치화하는 작업을 반복 수행하였다. 또한 조위관측소가 자료를 제공하는 기간인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총 16년간 자료를 기반으로, 조위의 변화에 따라 영종도 동북부 갯벌 지역의 면적을 수치화하여, 각 조위구간에 따라 나타나는 면적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차후 영종도 갯벌의 보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에 앞서 동일한 조위 조건에서 면적의 범위에 대한 지표가 될 것이며, 인위적인 환경변화에 의한 영종도 지역의 갯벌 변화를 관측하는데 중요한 과학적 근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새만금 지역 간척지 및 인근 농경지에서의 비산 및 부유먼지의 지역별, 시기별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Fugitive and Suspended Dust Dispersion at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and Neighboring Farm areas)

  • 황현섭;이인복;신명호;이광야;홍세운;서일환;유재인;;권경석;김용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5호
    • /
    • pp.9-17
    • /
    • 2009
  • A study on fugitive dusts was conducted at Saemangeum reclaimed land and the neighboring farm located at the west coast of Korea. After the area was completely reclaimed in 2006, halophyte plants and several windbreak systems were installed. The distributions of suspended dust particle was regularly measured through field experiment. The size of dust source area was also analyzed periodically and then it was determined to be in the following order: Buan > Gimje > Gunsan. The suspended dust which were dispersed to the neighboring area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ize of the soil particles, wind velocity and wind direction. The results of Big Spring Number Eight (BSNE) experiments also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fugitive dust generated from the reclaimed land was reduced remarkably by the presence of halophyte plants. Recently, in 2008, the measured dust concentration rate was decreased by an average of 30.6%. The average dust concentration is expected to decrease further as more areas are being covered by halophyte plants.

한반도 서해안 변산-태안지역 연안 퇴적물과 육상지질과의 지화학적 상관관계 (Geochemical Relationship Between Shore Sediments and Near Terrestrial geology in Byunsan-Taean Area, West Coast of Korea)

  • 서경원;지정만;장윤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31권1호
    • /
    • pp.69-84
    • /
    • 1998
  • A geochem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define how marine shore sediments are related to their terrestrial source rocks in the region of Taean and Byunsan Peninsula, western Korea. The lithology of the coastal part of the study area is composed of Pre-Cambrian granite gneiss, schist, Jurassic terrestrial sedimentary rocks, and Cretaceous plutonic intrusives. Shore sediments are transported from three drainage tributaries. The sediments consist of quatrz with clay minerals, such as illite, kaolinite, smectite, chlorite. Heavy minerals include hematite, ilmenite, rare amount of zircon and apatite. Compared to those in coastal rocks, amount of heavy minerals in the sediments is considerably low. The low content of heavy minerals is thought to be attributed to the heavy mineral detainment in the river beds and influences of tidal currents which cause heavy minerals to accumulate in specific spots. Chemical composition of the major and trace elements, trace elements, and REE chondrite normalized pattern suggest that shore sediments transported from the corresponding drainage tributary show close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relationships with the source rocks distributed in the Taean and Byunsan Peninsula.

  • PDF

강화 남부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 우한준;제종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31-343
    • /
    • 2002
  •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with an area of approximately $90km^2$ is one of the biggest flats on the west coast of Korea. Surface sediments for sedimentary analyses were sampled at 83 stations in August 1997, September 1999 and August 2000. The very poorly-sorted mud sediments were predominant in the eastern part of the tidal flat, whereas the poorly-sorted sand-mud mixed sediments were dominant in the western part. The area of muddy sediment distribution diminished, but that of sandy mud sediment extended to southeastward tidal flat for three years. In the western part of tidal flat, deposition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spring to summer, whereas erosion occurred in winter. Sediment accumulation rates during three years indicated that the sediments deposited continuously in the eastern part of tidal flat, whereas eroded in the western part of tidal flat. Recently, construction of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new airport, island-connecting bridges and dikes near the tidal flat might change tidal current and river flow pattern. In order to reduce the ecological damage and to preserve tidal-flat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long-term impacts on sedimentary environment and ecology.

어패럴 마트의 유통체계 및 상권분석 -캘리포니아 주를 중심으로- (The Channels of Distribution and Place Strategy of the Apparel Mart: The Los Angeles Area Apparel Industry in California)

  • 원명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1-4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ways of improving Korean apparel firms' competitiveness by examining the Korea's number one trading partner U.S. apparel industry. Especially, the Los Angeles area apparel industry which is the second largest and the primary market center on the west coast was analysed. The following strategies are suggested to Korean apparel firms to function more effectively in incleasingly competitive U.S. markets: l)Basics can be produced in lower wage countries meanwhile quick turnaround and high quality works can be produced either in Korea or U.S. 2)Manufacturers might try to have direct relationship with powerful retailers who have their own private labels of store-brand lines. 3)Apparel companies can open market showrooms in the California Market Center. For small firms they can contact with independent representatives who receive commissions for showing lines for manufacturers or rent space for showing the lines during market weeks. 4)Apparel firms can contact buying offices to introduce their products to retail buyers. 5)Korean firms can contact Korean-American apparel firms to gain easy access to U.S.Marke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