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dding Ceremony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2초

외나로도지역의 의생활 (Dressing Practices of Residents at the Woinarodo Region)

  • 권영숙;이주영
    • 복식
    • /
    • 제52권6호
    • /
    • pp.25-3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dressing practices at the Woinarodo region in terms of ordinary and ritual clothes. Men wore Bqji(trousers) and Jeokori(jackets) as their plain clothes and sometimes Jangsam mid Durumaki(topcoat).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y, men wore Western-style clothes. For women it was basic to wear Chima(skirts) and Jeokori. And they preferred Momppe rather when in Japanese rule. In arrangements for their head, men put on gut, and had their hair cut during Japanese nile. Women laid a bundle of their braided hairs on the head or braided their hair, while married women did their hair up in a chignon during the ruling period People of the region put on straw and leather shoes, and then rubber ones since the late 1930s. Hand weaving was a major means of living for women at the region. Ramie, hemp and cotton were mainly weaved by hand. Starching was applied mainly to ramie and cotton. Glues for starching were made of raw rices, cooked rices, wheat flour or gloiopeltis tenax. For ritual clothes, especially in wedding, bridegrooms arranged themselves with Samokwandae and then Put on Baji, Jeokori, Durumaki and Danryung. But they Put on Western-style dresses as the liners of Danryung, and wear Nambawi Rather than the Samo after korean independence from Japanese rule. Bridges wore Chima, Jeokori and Wonsam and Chokdoori and covered their face with Hansam Wonsam did not be worn any longer after Korean independence from the rule. Shrouds for funeral ceremony were manufactured with silks, cotton and hemp, when the chief mourner wore hempen hoods and funeral robes, while women, Chima, made of hemp. and any type of Jeokori.

A Study on VMD for Development of Traditional Markets: Focused on Korean Clothes Shops

  • Lee, Lang-Ju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11-22
    • /
    • 2012
  • The traditional market in the nation was forced to decrease greatly users as well as sales because of opening of all of the markets, Internet shopping mall, home shopping and other new types of marketing businesses to lose market functions remarkably. Therefore, the Agency for Traditional Market Administration of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made efforts to develop traditional market, for instance, modernization of the facilities to improve physical environment, and improvement of each shop by using VMD, and so 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efficiency of VMD shops for development of traditional market by the Agency for Traditional Market Administration and effects of VMD upon sales of each shop, and to help establish VMD strategies for customer satisfactions as well as visual environment of traditional market. The author visited five shops at Busan Jin Market, special market of articles for wedding ceremony that joined VMD shop guide of traditional market, and taught VMD on-the-spot and investigated it. Questionnaire of Agency for Traditional Market Administration was used to interview shop owners, shopkeepers and consumers, etc and to examine factors of changes of sales and customers' satisfactions before and after VM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and satisfactions of increase of the sales of VMD shop guide that the government promoted to develop traditional market so far. Therefore, the author investigated VMD presentation, increase of the sales before and after VMD presentation, increase of number of customers, and satisfactions, etc of Korean clothes shops that joined improvement of VMD shop guide of traditional market of the government in 2010. The author investigated effects of the sales, increase of customers and satisfactions, etc by case study and empirical analysis, and she presented user-oriented VMD presentation techniques of traditional market and suggested improvement. After applying VMD, the shops could increase sales more than 20 percent in average, and satisfaction of VMD presentation was more than 88 points or more to be very much high. This study suggested VMD strategies and presentation of traditional market to give consumers affirmative visual images and to develop traditional market.

  • PDF

체면 관점에서 본 동서양 소비자들의 소비행동에 관한 고찰: 비교문화 접근방법 (An Investigation of Chemyon on Consumption Behavior of Asian and Western Consumers: Cross-Cultural Comparative Approach)

  • 김영두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5호
    • /
    • pp.37-47
    • /
    • 2019
  • Purpose - It is well known that chemyon, referred to by Westerners as face, naturally penetrates the daily life of Asians and influences their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Studies related to chemyon have been conducted i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fields (e.g., luxury products or brands, service failure and recovery, brand preferences, consumer decision making, wedding ceremony, gift giving). A bulk of studies demonstrate that chemyon influences consumption behavior in Asian consumers. Although chemyon significantly influences consumption behavior of Asian consumers, it is also a cultural phenomenon that is not completely explained within the Western viewpoint. Whereas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approached cross-cultural studies of Asian and Western consumers, a limited number of studies have examined it from the perspective of chemy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henomenon that chemyon (face) not only affects the consumption behavior of Asia and the West universally (pan-culturally), but also distinctively (culture-specifically). Tha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at chemyon (face) is not only a culture-specific phenomenon but also a universal phenomenon in the consumption behavior of Asian and Western consumers, even though the extent that chemyon (face) impacts consumption behavior is differentiate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sian and Western consumption behavior in terms of chemyon (face), and to suggest how to enhance marketing effectiveness in a global market based on understanding the consumption behavior of Asia and the Wes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Us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s consumption behavior of Asian and Western consumers from the perspective of chemyon (fac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used to compare face (chemyon) consumption of Western consumers with that of Asian consumers. To verify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a-analysis was also accomplished. Results - First, the influence of face (chemyon) on consumption behavior is observed in Western consumers as well as Asian consumers. Second, Asian consumers are more influenced by face (chemyon) than Western consumers. Conclusions - Overall, chemyon (face) can affect the consumption behavior of Asians as well as the consumption behavior of Westerners.

중국 결혼이민 여성의 전통복식 문화적응태도 및 착용실태 (Culture Adaptive Attitudes and Donning Practices of Traditional Dress among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 김순영;추호정;손진아;남윤자
    • 복식
    • /
    • 제64권5호
    • /
    • pp.154-167
    • /
    • 2014
  • This study explored culture adaptive attitudes and donning practices of traditional dress among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Korea-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nts were 291 married wom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Hanbok acceptance attitudes and Qipao transmission attitudes. The level of Qipao transmission attitudes was higher than Hanbok acceptance attitudes especially in the part of knowledge. Han Chinese showed stronger Qipao transmission attitudes than Korean Chinese. Immigrants without Korean nationality had stronger Qipao transmission attitudes. Higher education group and higher income group showed higher level both on Hanbok acceptance attitudes and Qipao transmission attitudes. Second, more than 50% of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wore Hanbok once or twice per a year. On the other hand, only 24% of them wore Qipao. This result shows that there exists a gap in the Qipao transmission attitudes and donning practices. 44% of women wore both Hanbok and Qipao in their own wedding ceremony, 32% wore only Hanbok, and 19% wore only Qipao. 64% of women had an experience of wearing Hanbok on special days such as traditional holidays or family affairs, whereas only 29% had worn Qipao.

미스코리아의 드레스 패션스타일에 관한 연구 -1970~2011년 드레스 중심으로- (Study Regarding Miss Korea's Dress Fashion Style -Focus on dress from 1970 to 2011-)

  • 이복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34-143
    • /
    • 2012
  • 1957년부터 시작된 미스코리아 대회에서 선발된 미스코리아들은 당 시대를 대표하는 공식적인 미인으로서 전 국민적 관심을 받아왔으며, 사회, 문화, 미용 예술학적 분야 등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반면에 학문적 관심은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어, 일부 선행연구들 조차도 연구도구의 객관성과 용어의 통일성 등이 결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스코리아의 드레스 패션 스타일에 나타난 디자인 구성요소의 특징을 살펴보고, 시대별 유행경향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미의식 기초자료로서의 활용가치를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는 1970년부터 2011년까지 미스코리아 시상식 드레스를 기준으로 해당 사진자료들을 수집하고, 관련 전공 교수들과 대학원생들의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거쳐 판독 분석하여 나온 의견을 토대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미스코리아 드레스 패션 스타일에 나타난 디자인 구성요소의 특징들은 미스코리아의 사랑스럽고 지적이며 때로는 섹시하고 고급스러운 여성미를 돋보이고자 연출되었으며 시대별 유행경향과의 관계는 당시대의 웨딩드레스의 유행경향이 미스코리아 드레스에 많이 반영되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노년여성의 한복 및 양장 착용과 관찰자의 연령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and Western Attire of Eldery Women and Perceiver's Age on Impression Formation)

  • 이명희
    • 복식
    • /
    • 제43권
    • /
    • pp.187-202
    • /
    • 199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 of dress(Korean traditional dress and suit) of elderly Women and situation on impression formation. The experimental design was $10\times{2}\times{2(dress}\times{perceiver's age}\times{situation)}$ factorial design by 3 independent variables. The stimuli of color photographs of female in her 60's model and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ere used. Six variables of impression formation were used: preference: elegance: potency: activity: feminine: and modernity. Samples were 400 women 200 were in their twenties and 200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The data were analyzed by $\alpha$-reliability t-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Korean traditional dress with the comb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color(light blue upper dress with dark red purple collar and string.dark blue skit) had the most positive effect on impression of elegance. Pink traditional dress and light blue traditional d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impression of potency activity and modernity. Red purple suit had a positive effect on potency and modernity. The interaction between dress perceiver's age and stituation was significant for the impression of activity. Women in their 40's and 50's perceived the activity of red purple suit positively in the situation of alumnae meeting more than in the wedding ceremony. The perceived age of the stimulus pers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dresses. Traditional dresses was perceived older than suits were. Women in their 40's and 50's evaluated preferences of the dresses positively more than 20's did. This means that 40's and 50's feel similarity with the stimulus person more than 20's as the age of model was in their 60's The result supports the theory that similarity is basic factor in interpersonal attraction.

  • PDF

한국의례음식과 상차림에 관한 인식과 실행(재미 한인 주부를 중심으로) (The Knowledge of Korean Ceremony Foods and Table Setting of Korea]1 American Housewives in the New York/New Jersey area)

  • 심영자;김정선;전희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6-157
    • /
    • 1999
  • 본 연구는 뉴욕 뉴저지 주에 살고 있는 재미한인 주부들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 나라 의례음식과 상차림에 대한 의식과 실행을 알아보아 미국생활에서의 한국전통음식문화를 얼마만큼 보전 계승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1. 의례음식과 상차림의 중요성은 응답자의 57.9%가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의례음식과 상차림을 알게 된 경위는 49.8% 친정어머니, 24.7%가 시어머니한테 배웠다고 응답하였다. 2. 의례음식과 명절차례상차림에 대한 견해는 응답자의 78%가 간소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의례음식이 계승발전하기 위하여 중점을 두어야 할 교육은 50.6% 가정교육, 27.3% 대중홍보교육으로 가정교육을 가장 강조하였다 3. 재미 한인 주부들이 가장 잘 알고 있는 상차림은 생일상차림(66.8%), 돌상차림 (43.5%), 백일상차림 (42.4%), 설날과 추석의 차례상차림(52.8%)으로 나타났고, 장국상 차림(21.0%), 주안상차림(23.6%), 혼례시 폐백상차림 (21.4%), 제사상차림(29.2%)으로 나타났으며, 반상차림, 죽상차림, 교자상차림, 회갑상차림은 잘 아는 정도가 17% 미만이었다. 4. 자녀의 돌상차림에 관한 견해는 응답자의 60%가 평소보다 음식을 더 준비하여 가족과 함께 축하해 주었고, 38%는 전통적인 돌잡이 상을 차려 축하하였다. 자녀의 생일상차림은 응답자의 40%는 친구를 집으로 초대하여 생일 잔치해 주고, 37%는 간단하게 집에서 미역국 끓여먹고 선물해 준다고 하였다. 5. 어른들의 생신상차림은 49%가 친척 친지를 초대하여 식사를 대접하여 축하해 드리고, 38%는 집에서 가족끼리 축하해 드린다고 응답했으며, 부모님의 회갑상차림은 41.3%가 친척 친지와 연회장에서 축하해 드리고, 26.6%가 전통적인 큰상차림으로 친척 친지와 함께 가정에서 축하해 드린다하였다. 6. 결혼식의 폐백음식은 50.9%가 폐백을 준비해주는 집에 맡긴다고 하였고, 30.3%는 일부는 집에서 만들고 일부는 맡긴다고 했으며, 14%만이 전통적인 폐백음식을 집에서 준비한다고 하였다. 결혼식 때의 손님접대 음식 준비에 관한 견해는 66.4%는 연회장에서 대접한다, 29.9%는 집에서 음식을 준비하고 연회장에서 대접한다고 조사된 것으로 보아 결혼음식 준비방식이 상업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7 제사상차림에 관한 견해는 40.2%가 전통적인 상차림으로 제사를 지내고 32.5%가 교회 식으로 지내며, 설날과 추석의 차례상차림에 관한 견해는 41.7%는 전통적인 상차림을 하고 31.7%는 조상 님들이 평소에 좋아하시던 음식을 간단하게 마련하여 지낸다고 했으며, 24.7%는 교회 식으로 지낸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이들 음식은 집에서 전통적으로 차리는 주부가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재미한인 주부들의 우리 나라 의례음식과 상차림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은 편이나 알고 있으며 행하는 정도는 몇몇 상차림을 제외하고는 많은 상차림에 대하여 낮았음을 볼 수 있었다. 집안의 여러 가지 풍속과 생활습관, 음식솜씨들을 친정어머니와 시어머니를 통하여 물려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다양한 문화와 함께 살고 있는 재미 2세들의 한국 전통음식문화의 계승은 어려움이 많으리라 사료된다. 주부 자신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진정한 이해와 함께 우리음식의 뿌리를 내리고 외국음식과 조화를 이루어 나가도록 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또한 재미한인 사회에서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홍보, 교육 강화와 함께 재미교포들 모두 관심과 실행이 촉구되어져야 하겠다.

  • PDF

Construction of Cham Identity in Cambodia

  • Maunati, Yekti;Sari, Betti Rosita
    • 수완나부미
    • /
    • 제6권1호
    • /
    • pp.107-135
    • /
    • 2014
  • Cham identities which are socially constructed and multilayered, display their markers in a variety of elements, including homeland attachment to the former Kingdom of Champa, religion, language and cultural traditions, to mention a few. However, unlike other contemporary diasporic experience which binds the homeland and the host country, the Cham diaspora in Cambodia has a unique pattern as it seems to have no voice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spheres in Vietnam, its homel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Cham in Cambodia and Vietnam seem to be limited to cultural heritages such as Cham musical traditions, traditional clothing, and the architectural heritage. Many Cham people have established networks outside Cambodia with areas of the Muslim world, like Malaysia, Indonesia, southern Thailand and the Middle Eastern countries. Pursuing education or training in Islam as well as working in those countries, especially Malaysia has become a way for the Cham to widen their networks and increase their knowledge of particularly, Islam. Returning to Cambodia, these people become religious teachers or ustadz (Islamic teachers in the pondok [Islamic boarding school]). This has developed slowly, side by side with the formation of their identity as Cham Muslims. Among certain Cham, the absence of an ancient cultural heritage as an identity marker has been replaced by the Islamic culture as the important element of identity. However, being Cham is not a single identity, it is fluid and contested. Many scholars argue that the Cham in Cambodia constitute three groups: the Cham Chvea, Cham, and Cham Bani (Cham Jahed). The so-called Cham Jahed has a unique practice of Islam. Unlike other Cham who pray five times a day, Cham Jahed people pray, once a week, on Fridays. They also have a different ritual for the wedding ceremony which they regard as the authentic tradition of the Cham. Indeed, they consider themselves pure descendants of the Cham in Vietnam; retaining Cham traditions and tending to mainta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fellow Cham in Central Vietnam. In terms of language, another marker of identity, the Cham and the Cham Jahed share the same language, but Cham Jahed preserve the written Cham script more often than the Cham. Besides, the Cham Jahed teaches the language to the young generation intensively. This paper, based on fieldwork in Cambodia in 2010 and 2011 will focus o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Cham identity, especially of those called Cham and Cham Jahed.

  • PDF

한문 희곡 <동상기(東廂記)>의 구성과 야담 <동상기찬(東廂記纂)>과의 연계성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of Chinese Drama and the Connection between Yadam )

  • 김준형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325-355
    • /
    • 2019
  • 1791년 6월 12일, 노총각 김희집과 노처녀 신덕빈의 딸의 혼인이 이루어 졌다. 이 혼인식은 국가가 주도해 시행한 일종의 노처녀노총각 혼인 프로젝트라 부를 만한 것이었다. 혼인은 인륜의 시작으로, 때를 놓치면 천지의 조화로운 기운[和氣]이 상한다던 당대 통념을 염두에 둔 정조가 진두지휘한 국가 정책이었다. 정조는 이 사건을 이덕무에게 기록하게 했는데, 그것이 <김신부부전>이다. 민간에서도 이 혼인에 주목했는데, 이옥(李鈺)은 희곡의 틀을 빌어 <동상기>를 창작했다. <동상기>는 가난한 백성에게 덕화를 베푼 임금을 찬양한다는 주지 아래, 오락적 요소를 가미한 텍스트다. 희곡을 모방했지만, 공연은 염두에 두지 않았다. <동상기>를 두고 수준 낮은 작품이란 평가는 이를 고려하지 않고 완정한 극적 구성물로 이해했던 결과다. <동상기>는 극 형식만 차용했을 뿐, 주된 목적은 임금의 덕화를 찬양하되 다양한 오락적 요소를 틈입시킴으로써 축제의 장을 담아내려 했다. <동상기> 4개의 절(折)마다 각각 다른 문체가 사용된 것도 그러하다. 1절과 2절에는 설화와 속담, 3절에는 판소리, 4절에는 연극을 배치시켰다. <동상기>를 통해 공연하겠다는 의도 대신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여러 문체를 적용한 것이다. 이후 1918년 한남서림 주인 백두용은 이옥의 <동상기>에 기존 야담 <동상기찬>을 더한 동상기찬을 출판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동상기>와 <찬>을 별개의 텍스트로 인지했지만, 기실 둘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애초 김신 부부가 임금이 살펴줌으로써 인륜의 도리를 할 수 있었던 것처럼, 백두용은 근대로 전환하는 도정에서 누군가가 자신을 알아봐 줄 것을 고대했다. 나를 알아주는 누군가를 만나는 것. 백두용은 그 단서를 임금이 가난한 백성에게까지 눈길을 미쳤던 <동상기>에서 찾았던 것이다. 그에 따라 백두용은 이옥이 쓴 정일(正目)을 각각 '재현(才賢)', '덕혜(德慧)', '권택(眷澤)', '복연(福緣)', '보유(補遺)'로 분류하고, 기존 야담에서 해당 범주에 맞는 작품을 선취하여 <찬>을 만들었다. 그러니 <동상기>와 <찬>은 '지기(知己)'라는 연결 고리로 이어진다. 실제 백두용은 1절에서 4절까지를 '누군가가 나를 알아줌 → 내가 누군가를 알아줌 → 적선→ 여경(餘慶)'으로 각각 구성함으로써 자신의 욕망을 구체화했다. 우리가<동상기>와 <찬>을 분리시켜 다룰 수 없는 까닭이다.

전통조경에서 분(盆)을 이용한 식물의 활용과 애호 행태 (Plant Species Utilization and Care Patterns Using Potted Plants in the Traditional Gardening)

  • 김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1-74
    • /
    • 2013
  • 본 연구는 선조들이 궁궐이나 사가(私家)의 정원에 분을 이용하여 식물을 완상한 실증적인 사례들에 대하여 고문헌과 고전시문을 고찰하고 해석하여, 분에 식재된 식물소재와 분식물의 수형 및 식재기법 그리고 분식물의 배치와 애호행태 등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분식물을 주제로 한 시문과 회화를 고찰하고 해석하는 기술(description)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에 식재되어 애용된 식물로 목본류는 매화나무와 소나무를 비롯하여 만년송, 대나무, 동백나무, 석류나무, 치자나무 등 19종이고, 초본류는 국화와 연(蓮)을 비롯하여 12종이다. 둘째, 수형을 인위적으로 각별하게 가꾼 수종은 매화나무와 소나무로 두 식물은 왕피나 규반, 반간 등 줄기의 굴곡이 심한 생김새의 수형을 만들었으며, 기이한 등걸에 접붙인 매화나무와 괴석 위에 뿌리를 뻗게 석부하여 수형을 가꾼 소나무 분재도 있다. 분재의 수형미를 위해 노송에 솔방울을 달거나 줄기에 담쟁이덩굴을 식재하기도하고, '종분취경'이라 하여 분토에 이끼가 생기게 하는 부가적인 방법도 활용하였다. 식재기법으로 수경재배, 석부작, 숯부작, 모아심기 등도 시문에 표현되어 있다. 셋째, 분식물이 배치된 외부공간으로는 궁궐의 연조공간이나 연침공간, 사가의 건물 주변과 마당, 섬돌 위 등에 놓여 점경물 역할을 하였다. 분식물은 서재나 사랑방의 탁자나 책상, 문갑 위, 베갯머리 등에 놓여 실내공간의 소품 역할을 하며, 선비들은 이들 분식물의 고유의 특성과 상징성에서 의미를 취하여 즐겼다. 넷째, 분매(盆梅)의 개화시기에는 시회를 열어 매화를 감상하고 술을 마시며 시작활동을 하였으며, 국화 개화시는 술잔에 띄우거나 그림자놀이 등 풍류를 즐겼다. 다섯째, 분식물은 궁궐이나 사대부들의 아취 있는 모임이나 결혼식과 제사 등의 행사에서 점경물의 역할을 하였다. 여섯째, 분식물은 국가 간의 공물로 사용되기도 하고, 왕에게 드리는 진상품이나 왕의 하사품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선비들 사이에도 분식물을 주고받은 사례가 많으며, 목은 이색의 목은시고 에 분매를 선물한 최초의 기록이 있다. 일곱째, 분매와 분국, 분치, 분연 및 분에 심은 수선화 등의 개화시에 이들 식물의 고유의 향기를 즐기며, 시문으로 표현하였다. 여덟째, 동백나무, 서향화, 치자나무, 귤나무, 대나무, 석류나무, 해당화, 파초 등 남부수종이나 외래수종 및 내한성이 약한 종은 엄동설한에 중부이북지방의 실내에서 푸르름을 즐기기 위하여 분에 심어 활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