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Regarding Miss Korea's Dress Fashion Style -Focus on dress from 1970 to 2011-

미스코리아의 드레스 패션스타일에 관한 연구 -1970~2011년 드레스 중심으로-

  • 이복희 (서경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 Received : 2012.05.07
  • Accepted : 2012.10.12
  • Published : 2012.05.28

Abstract

Miss Korea, who was Korea's first in the Miss Korea Contest in 1957, will be carried on social, cultural, beauty cosmetology as the most representative official beauty in the same age for immense effect on national interest. However, it has been said that the scholarly interest is dull of lack of objective means and irregular choice of terms in leading research. For this reason, this study will be examined the features of design components in Miss Korea dress and improved as basic research material of beauty cosmetology with comparison and analysis on fashion trend of the age. This study will be come up with views of result on the basis of the dress of Miss Korea award ceremony from 1970 to 2011, collecting photo material and decoding or analysis of preparatory research and main research with graduates and lectures through setting analysis instrument. As a result, the notable features of designing structural elements, which are shown in Miss Korea's dress fashion style are produced lovely, intellectual. sexy and luxurious feminine beauty. It has been remarkably seen that the wedding dress fashionable trends of the times are reflected in Miss Korea's dress on this study.

1957년부터 시작된 미스코리아 대회에서 선발된 미스코리아들은 당 시대를 대표하는 공식적인 미인으로서 전 국민적 관심을 받아왔으며, 사회, 문화, 미용 예술학적 분야 등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반면에 학문적 관심은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어, 일부 선행연구들 조차도 연구도구의 객관성과 용어의 통일성 등이 결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스코리아의 드레스 패션 스타일에 나타난 디자인 구성요소의 특징을 살펴보고, 시대별 유행경향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미의식 기초자료로서의 활용가치를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는 1970년부터 2011년까지 미스코리아 시상식 드레스를 기준으로 해당 사진자료들을 수집하고, 관련 전공 교수들과 대학원생들의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거쳐 판독 분석하여 나온 의견을 토대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미스코리아 드레스 패션 스타일에 나타난 디자인 구성요소의 특징들은 미스코리아의 사랑스럽고 지적이며 때로는 섹시하고 고급스러운 여성미를 돋보이고자 연출되었으며 시대별 유행경향과의 관계는 당시대의 웨딩드레스의 유행경향이 미스코리아 드레스에 많이 반영되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라사라교육개발원, 服飾大事典, 1995.
  2. 박숙현, 패션 디자인론, 예학사, 2007.
  3. 이인자, 현대 사회와 패션,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9.
  4. 이호정, 패션디자인, 교학연구사, 2005.
  5. 정흥숙, 서양복식 문화사, 교문사, 2003.
  6. 장은숙, 토털 패션, 뷰티 코디네이션, 경춘사, 2008.
  7. 김정연, 현대패션에 나타난 하이웨이스트 드레스에 관한 연구 - 2005-2007년 오뜨 꾸뛰르 컬렉션을 중심으로 -, 홍익대학교 대학원 의상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8. 문윤경, 우리나라 웨딩드레스의 근대사적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석사학위논문, 1995.
  9. 박정은, 현대 웨딩드레스의 유행 변화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석사학위논문, 2000.
  10. 서희영, 우리나라 현대 여성 복식의 변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8, 1990.
  11. 이은정, 웨딩드레스 디자인 분석과 감성이미지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12. 전원희, 200년대 웨딩드레스 스타일에 나타난 패션이미지 표현특성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의상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
  13. 정진숙, 여성복을 중심으로 본 한국 현대 패션의 흐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지 제9권, 제2호, pp.17-24, 2011.
  14. 오재희, op. cit, p.36
  15. http://www.hmisskorea.hankooki.com
  16. planningcouture.co.kr
  17. www.ifp.co.kr, 05,06 S/S 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