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logged wood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2초

Chemical Properties of Artificially Buried Wood in an Intertidal Zone during the Deterioration Period

  • SEO, Sujin;KIM, Taekjoon;LEE, Jae-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96-906
    • /
    • 2020
  • Wood deterior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6 months in an intertidal zone of South Korea to monitor the changes in the chemical properties of two types of species, Korean red pine and sawtooth oak. The results of FT-IR spectra and XRD patterns have shown that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wood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the 6-month burial period. However, the brightness of the surface decreased after burial; the value of the sawtooth oak sample was lower than that of the Korean red pine sample owing to an accumulation of inorganic compounds in cell lumen as observed by ICP analysis. Among the inorganic compounds, sodium and sulfur concentrations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burial period compared with the control. Further, the maximum moisture content decreased from 199% to 136% in the Korean red pine and 62% to 60% for the sawtooth oak. Nevertheless, the major chemical composition of both the wood specie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the 6-month burial period, whereas, the crystallinity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burial period owing to an accumulation of inorganic compounds in the lumen.

완도(莞島) 보길도(甫吉島)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 유적(遺蹟) 수침고목재(水浸古木材)의 수종식별(樹種識別) (Species Identification of Waterlogged Woods from Gosan Yoon Sun-Do Site, Bogildo, Wando-gun)

  • 박영만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7권
    • /
    • pp.69-7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재)전남문화재연구원이 발굴 조사한 완도 보길도 윤선도 유적에서 출토된 수침고목재 유물 6점의 수종을 조사한 것이다. 그 조사결과 소나무속 경송류가 4점, 비파나무 1점, 노린재나무속 1점으로 식별되었다. 식별된 수종은 모두 난대성 수목이며 완도 보길도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수종이었다.

수침고목재(水浸古木材)의 보존(保存)을 위한 PEG, Sucrose, Lactitol 처리(處理) 및 습도조건(濕度條件)에 따른 상태변화(狀態變化) 실험(實驗) (Experiment on Conservation Treatment Method(PEG, Sucrose and Lactitol) and Degree of State-change with RH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

  • 이용희;김수철;박영만;김경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권
    • /
    • pp.19-25
    • /
    • 2000
  • 광주 신창동 저습지 유적에서 출토된 수침목재유물에 적합한 보존처리 방법을 설정하고자 동일유적에서 출토된 2종의 자연목재를 PEG(Poly-Ethylene Glycol), Sucrose, Lactitol로 처리하고 약제별 치수안정성 및 처리목재의 습윤↔건조 특성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상수리나무류는 저분자의 PEG#200(MW:200)과 고분자량의 PEG#4000(MW:3,350)을 이용한 2단계 PEG처리(PEG-2Step)에서, 단풍나무류는 PEG#4000만을 단독으로 적용한 처리에서 가장 높은 치수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처리 후 습윤↔건조 실험에서는 2단계 PEG처리한 시험재의 치수변화가 가장 작게 나타났다. 반면 Sucrose와 Lactitol의 경우 약제 확산속도가 빠르지만 Sucrose처리재는 84%의 높은 습도조건에서 흡습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약제가 다량 용출되었고, Lactitol은 습윤↔건조 후 미세한 할렬과 함께 처리재가 팽창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또한 습윤↔건조 실험에서 2단계 PEG처리를 제외한 모든 시험재에서 갈라짐이 발생하였다. 이번 실험결과 신창동 저습지 출토수침목재는 2단계 PEG처리법을 적용한 경우에 치수안정성이 가장 높고 습도변화에 대한 적응성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대 세다당교의 보존처리 - 대형출토목재의 보존과 전시 - (Studies on the Restoration of Ancient Bridge Setakarahashi -Conservation and Display for Large Size Waterlogged Wood-)

  • 중천정인
    • 보존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1-56
    • /
    • 1996
  • This paper deals with the restoration of ancient wooden bridge foundation which excavated in Seta river Shiga Prefecture, Japan. Shiga Archeological Research started a marine arche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bridge foundation in 1987. The bridge foundation stricture excavated and have since then recovered about a lots of woods and another materials. The bridge foundation structure constructed log, timbers and stones. The species of those waterlogged wood were identified as two types, hardwood and softwood. Hardwood(log : Cyclobalanopsis) was used for below foundation and softwood (timber' Chamaecyparis obtusa Endl. Cupreessaceae) was used for base structure. One of those timber sample dated by dendrochronology, we asked Dr. Misutani*. The softwood gave a felling date of 567 A.D. In result, the ancient Seta bridge foundation structure had constructed between Asuka and Nara period. We healed the news that ancient bridge foundation excavated at Woljyongyo site in Kyongju, Korea 1987. The bridge foundation Setakarahashi is similar in plane and structure to Woljyongyo structures. The Woljyongyo site report had be of value for reference. We had planning to restore those woods. Hardwood log was got serious damage. The water content varies from 400 to $600\%$. The other timbers water content varies about $200\%$. In the Shiga Center for Archaeological Operations and the Azuchi Castle Archaeological Museum, we set up the PEG impregnation tank. Those wooden objects treated by PEG method. PEG with a molecular weight of 4000. The treatment results may be considered satisfactory. The ancient wooden Seta bridge was reconstructed in Biwako Museum which established in Oct. 1996. We must take care of indoor exhibition environments. (*Nara National Cultu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 PDF

충남 연기군 동면 합강리 유적 출토 직물류 및 목제 빗의 과학적 분석 (A Scientific Analysis of Archaeological Textiles and Wooden comb Excavated from Hapgang-ri, Dong-myun, Yungi-gun, Chungcheongnam-do)

  • 조남철;김우현;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29-334
    • /
    • 2014
  • 고대 섬유의 과학적 분석은 그 시대에 사용된 재료의 특성 및 각 지역의 직물문화, 제직기술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수침 고목재의 수종분석은 보존처리 방법의 설정뿐만 아니라 당시의 수목환경, 목제품의 종류에 따라 선호되던 수종, 외래수종을 통한 당시의 교역 교류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과학적인 분석방법이다. 충남 연기군 동면 합강리 유적에서 청동합 내 부장상태로 출토된 직물류와 목제 빗에 대하여 섬유 및 수종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직물1과 직물3은 쐐기풀과(Urticaceae)의 저마(Boehmeria nivea ; Ramie), 직물2는 아욱과(Malvaceae)의 면(Gossypium herbaceum), 목제 빗은 자작나무과(Betulaceae) 자작나무속(Betula spp.)으로 식별되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향후 고대 섬유 및 수종을 확인하여 비교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흥도선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imbers from the Yeongheungdo Shipwreck)

  • 차미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5-42
    • /
    • 2017
  • 영흥도선은 인천 옹진군 섬업벌 해역에서 인양된 통인신라시대의 고선박이다. 이 고선박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최대함수율과 온수추출, 알카리추출, 유기용매추출, 리그닌, 홀로셀룰로오스, 회분 분석을 통한 화학조성 분석과 FT-IR 및 solid state $^{13}C$ NMR, XRD을 통해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영흥도선 선체편 외층의 최대함수율은 평균 623%로 수침고목재의 전형적인 특징인 셀룰로오스 감소에 따른 리그닌의 상대적인 증가 및 회분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즉 영흥도선 선체편 외층의 셀룰로오스 흡수피크는 소멸되거나 현저하게 감소되어 나타났다. 또한 리그닌을 나타내는 흡수피크는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영흥도선 선체편 내층의 경우 헤미셀룰로오스와 일부 결정 및 비결정 영역의 셀룰로오스 흡수피크가 감소하여 나타났다. 따라서 영흥도선 선체편의 외층과 내층의 분해 정도의 차이가 큼을 보여주었다.

수침목재의 PEG, 락티톨, 슈크로오스 처리에 의한 치수안정화 효과 (Dimensional Stability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 in PEG, Lactitol and Sucrose Treatment)

  • 이효선;강애경;박상진
    • 보존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8-32
    • /
    • 1999
  • 비교적 치수안정화 처리가 어려운 참나무과 고목재를 선택하여 락티톨, PEG (Mw, 4000), 슈크로오스를 이용하여 치수안정화효과에 대한 비교실험을 하였다. 시료 제작은 접선단면 판재 형태의 유물에서 굽음, 뒤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특히 크므로 접선단면이 넓게 나오도록 제작하였다. 보존처리약제의 처리농도는 10, 30, 50, $70\%$로 상승시켰고 각 농도단계별로 3일간, 7일간씩 처리하여 중량증가율을 측정하였다. 처리가 종료된 후의 시험편의 치수안정화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써 횡단면수축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슈크로오스를 함침처리한 시험편은 중량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횡단면수축율도 3일, 7일 처리에서 각각 $7\%,\;4\%$로 가장 높은 치수안정화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출토고목재의 수종과 조직구조에 관한 연구( II ) -출토고목재의 부후형태- (Species identification and microscopic structure of ancient wood excavated from the remains( II ) -Degradation of ancient woods-)

  • 강애경;박상진
    • 보존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24
    • /
    • 1993
  • To understand the morphological change of ancient woods, samples classified by cell type, burial environment and species were collected and observed using microscopy. Decay of wood by cell type could classified into two types. First, degraded secondary wall was formed granular residues in $S_2$ layer and was remained $S_3$ layer and compound middle lamella. Second, the cell wall was slightly degraded and cracked in secondary wall. A gradual thinning of cell wall was occured. The compound middle lamella was separated from secondary wall. The resistance of degradation is increased at vessels, parenchyma, and tracheid and wood fiber in the order named. The type of degradation by specie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verall degradation type; the degradation of cell wall is usually heavy and the extent of degradation Varies by part of the same sample. Partial degradation type ; this type shows severely different decay type by part of the sample. Nondegraded cells were mixed with degraded cells on the same sample. Erose degradation type ; thinning of the cell wall was occoured and the degradation type was different by part. Slight degradation types ; secondary wall was slightly degraded, cracked and separated from compound middle lamella. Considering different type of burial environment, dry wood was similiar to sound wood and slightly decayed. Waterlogged and peat burial wood was heavilydecayed. Between species of under the same environment, decay type and extent were diferentiated from each other.

  • PDF

부여 궁남지 출토 짚신의 보존처리 (Conservation of Straw Sandals Excavated at Goongnamji in Buyeo)

  • 나미선;김익주;김경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17권
    • /
    • pp.65-72
    • /
    • 2005
  • 부여 궁남지 출토 짚신 시료를 동정하였고 짚신의 보존처리를 위하여 수침고목재 보존처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PEG와 Acrylic 수지 중 토층경화제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Primal MC-76, 진공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중량변화율을 알아보았고, 이에 대한 흡습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 초본류 시료는 부들류 (Typha spp)로 동정되었고, 중량변화율에 있어서는 PEG 2-Step 처리 후 진공동결건조를 한 경우가 가장 안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색변화에 있어서도 가장 변화가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방염 처리 고목재의 미생물 분해의 미시형태적 특징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uddhist Temple Woods Treated with Eire-retardant)

  • 위승곤;김익주;박영만;김윤수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1년도 제14회 발표논문집
    • /
    • pp.27-34
    • /
    • 2001
  • 화재를 예방하고자 방염 처리 한 일부 고건축재에서 발견된 미생물에 의한 고목재의 분해를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방염 처리한 고건축 부재는 2차벽 중층에 마이크로배열 방향과 동일한 동공을 가지고 있는 전형적인 연부후를 보였다. 또한 주사형 및 투과형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한 결과 일부 세포벽은 세균에 의해 분해된 것으로 나타났다. 방염 처리한 고건축재에서 나타난 이같은 부후형태는 수분으로 포화된 수침 고목재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부후 형태이다. 부후 형태로부터 본 연구에 사용된 고건축 부재는 방염 처리 후 흡수성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이같은 함수율의 증가는 사용된 방염제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 사찰 및 궁질 등 고건축물에 사용하고 있는 방염제에 대한 보다 더 체계적이고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주었으며 아울러 방염제가 목재의 흡수성과 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함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또한 기상 열화에 의한 일부 목재의 표층부에 나타난 중간층의 분해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