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

검색결과 2,610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대학생의 아동간호학 실습 후 아동간호사와 간호직전망 인식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Awareness of Pediatric Nurses and Nursing Prospects among Nursing Students after Pediatric Clinical Practicum)

  • 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6-34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아동간호학 실습 후 아동간호사와 간호직전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간호학과 3학년 143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서술적 융합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1.0으로 기술통계, 평균비교,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아동간호사에 대한 전문적인식이 5점 만점에 $4.09{\pm}0.61$점으로 전통적인식이나 사회적인식보다 높았고, 간호직전망은 5점 만점에 $3.31{\pm}0.65$점이었다. 성별, 연령, 간호학만족도, 실습병원유형에 따라 아동간호사 인식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간호학만족도가 보통인 대상자의 간호직전망인식이 높았다(p<.002). 아동간호사에 대한 인식의 하위영역과 간호직전망 인식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287~.510, p<.01),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아동간호사에 대한 전통적인식, 사회적인식이 간호직전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변수들의 설명력은 29.2%이었다(p<.001). 결론적으로 아동간호사에 대한 전통적 및 사회적 인식을 높임으로써 간호직전망에 대한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내적역량과 외적역량이 성인의 식품 쓰레기 처분에 대한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ternal and External Capacity on Adults' Food Waste Disposal Capacity)

  • 김지은;최경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55-466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capacity on the practical capacity for food waste disposal in adul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410 adults who answer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conducted in January 2021.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rive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Win 24.0. Results: First, in the analysis of internal capacity, attitude (3.95 out of 5 points) scored higher than knowledge (3.59 points). Attitud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P < 0.001), age (P < 0.001), and income (P < 0.001). Knowled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P < 0.01) and age (P < 0.05). Second, in the analysis of capacity, market constraints (3.73 points) scored the highest, followed by institutional conditions (3.48 points) and reference group (3.36 points). Market constraints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P < 0.001),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differed according to income (P < 0.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ference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P < 0.05) and income (P < 0.05). Third, the practical capacity scores appeared in the order of separating discharge behavior, using behavior, purchasing behavior, and leadership behavior. Separating discharge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P < 0.001), education level (P < 0.05), and income (P < 0.01). Using behavior showed a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P < 0.01), and purchasing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income (P < 0.05). Leadership behavior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Fourth, internal capacity and external capac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actical capacity. Factors affecting purchasing behavior were knowledge, attitude, institutional conditions, and reference group,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53%. Factors influencing using behavior were knowledge, attitude, institutional conditions, and reference group, and had an explanatory power of 37%. Leadership behavior was influenced by institutional conditions and the reference group,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31%. Conclusions: Internal capacity, external capacity, and practical capacity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Factors influencing the practical capacity of adults were knowledge, attitude, institutional conditions, and reference group.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에 대한 지식과 두려움이 간호대학생의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Factors the Knowledge and Fear of COVID-19 on Job-Seeking Anxiety of Nursing Students)

  • 이소영;윤소원;박지수;이지영;김나희;문세연;김남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07-416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취업불안에 코로나19에 대한 지식과 두려움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1학년에서 4학년까지 157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21년 12월 9일부터 2022년 2월 21일까지 연구에 동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취업불안 정도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간호대학생의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구대상자들의 취업불안은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r=.386,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호대학생의 취업불안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한 요인은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과 대학 생활 만족도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코로나19에 의한 간호대학생의 취업불안을 줄이기 위해서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두려움을 줄이고 긍정적 정서를 향상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Research on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of Chinese Domestic Students

  • Chung, Kyung-Y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173-179
    • /
    • 2022
  • 본 연구는 중국인 국내 유학생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에 대해 알아보고, 구강보건지식과 스켈링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중국인 국내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2022년 3월부터 5월까지 G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94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강보건지식의 전체 평균은 24점 만점 중 13.83점이었으며, 치주질환과 스켈링 관련 지식 3.75점, 구강위생용품 사용 지식 1.38점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을 분석한 결과, 최근 1년간 스켈링 경험이 있는 경우, 일회 칫솔질 시간이 3분 이상인 경우,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한 경우,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구강보건지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구강보건지식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보건교육 경험(β=0.183)이었으며, 스켈링 경험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보건지식(OR=1.132, p=0.028)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인 국내 유학생의 구강보건지식과 행태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유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제작된 중국어 구강교육자료 제작과 구강건강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 확대가 요구되었고,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의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공감능력과 우울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Leadership, Empathic Ability, and Depression on the Interpersonal Skills of Nursing Students)

  • 김미영;최윤숙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5-126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empathic ability, and depression on their interpersonal skills. Methods : This study applied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design involv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were 315 nursing students in B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7 to May 6, 202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IBM SPSS/WIN 23.0 program. Results : The participants' self-leadership score was 3.63±.65, their empathic ability score was 3.35±.40, their depression score was .84±.50, and their interpersonal skills score was 3.64±.80. Among the sub-categories, others' temperament scored the highest at 3.70±.86, followed by communication at 3.67±.86 and promoting relationships at 3.53±.86. Interpersonal skil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self-leadership (r=.48, p<.001) and empathic ability (r=.33, p<.001). Self-leader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pathic ability (r=.17, p<.05),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r=.27, p<.001).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ctors with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promoting relationships were, in descending order, self-leadership (β=.49, p<.001), empathic ability (β=.19, p<.001), and gender (β=.10, p=.033); the factors affecting others' temperament were, in descending order, self-leadership (β=.37, p<.001), empathic ability (β=.30, p<.001), severe depression (β=.14, p=.008), gender (β=.13, p=.010), and grade (β=-.13, p=.037); while the factors affecting communication were, in descending order, self-leadership (β=.41, p<.001), empathic ability (β=.23, p<.001), and gender (β=.11, p=.035). Moreover, the explanatory power of promoting relationships scored the highest at 31 %, followed by others' temperament at 27 % and communication at 26 %.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terpersonal skills of nursing students. To increase the interpersonal skills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regular curricula and programs designed to strengthen their self-leadership and empathic ability and to reduce their depression through reflecting differences between genders and grades.

서울, 경기, 경남 일부 지역의 중${\cdot}$고등학생의 식습관과 자가 섭취 상태 조사법을 통한 영양 섭취 평가 (Food Habits and Nutrient Intakes by Self-reported Food Consump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Gyeongnam Area)

  • 이나영;이경은;곽동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73-48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od habits and food attitudes, and to assess student's nutrient consumptio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review of literatu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sections (food habits, food attitudes, and food consumption).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050 students enrolled in 34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Gyeongnam provinces. A final response rate was 88.2% (3,570) excluding responses that had significant missing data. Data of the food habits and food attitudes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analysis, $x^2$-test, and t-test using SPSS WIN(ver.11.0). The student's self-reported food consumption data was converted into nutrient consumption using conversion factor. Man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kipped breakfast and/or dinner. Approximately 29% of the students did not eat vegetables and fruits. Scor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19.1) towards foo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18.7)(p<.001). Student's nutrient intakes were estimated according to the student's self-reported food consumption data. The nutrient intakes were compared with DRIs(Dietary Reference Intakes: DRIs) for their age groups. The result of EAR(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cut-point method demonstrated 57.7% of middle school boys, 64.4% of middle school girls, 70.2% of high school boys, and 71.0% of high school girls did not meet EAR for Calcium. Additionally, it showed that 39.0% of middle school boys, 23.7% of middle school girls, 58.4% of high school boys, and 24.4% of high school girls did not consume EAR for Vitamin $B_1$. 25.7% of middle school boys did not meet EAR for Vitamin $B_2$, while 44.4% high school boys did not satisfy EAR for Vitamin $B_2$.

인문계 3학년 여자 고등학생의 입시스트레스와 구강관리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Enterance Exam Stress and Oral Care Self-Efficacy in 3rd year Girl High School Students)

  • 조혜은;정경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551-561
    • /
    • 2019
  • 본 연구는 인문계 3학년 여자 고등학생의 입시스트레스와 구강관리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8년 6월부터 7월까지 G지역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여학생 19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입시스트레스의 하위영역 중 시험긴장/성적부진이 3.07점으로 가장 높았고, 여가생활부족 2.83점, 미래불확실성 2.57점, 부모압력 2.44점 순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입시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시험긴장/성적부진 스트레스와 관련된 변수는 학업성적(p<.01), 가족소득수준(p<.05), 주관적 구강건강상태(p<.05), 일일칫솔질횟수(p<.01)이었다. 구강관리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별 수준은 칫솔질 자기효능감이 3.13점으로 가장 높았고, 치과방문 2.80점, 치간청결 2.64점 순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구강관리 자기 효능감을 분석한 결과, 칫솔질 자기효능감과 관련 있는 변수는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우식성 간식 섭취(1일 기준), 우식성 음료 섭취(1일 기준)이었다(p<.01). 입시스트레스 하위영역과 구강관리 자기효능감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입시스트레스가 높을 수록 구강관리 자기효능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입시스트레스가 높은 학생의 구강질환 예방과 구강관리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구강보건행동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학교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골관절염 여성노인의 통증, 수면양상, 생활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Pain, Sleep pattern, Life satisfaction on Depression in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 이윤정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211-222
    • /
    • 2011
  • 본 연구는 골관절염 여성노인의 통증, 수면양상, 생활만족도, 우울의 정도를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를 확인하여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시 소재 노인복지관을 방문하는 여성 노인 중 의료기관에서 골관절염으로 진단받은 노인 1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통증은 2.58점, 생활만족도는 65.4점, 수면양상 37.6점, 우울 13.58점으로 나타났고, 연구대상자 중 43.5%가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대상자의 통증, 수면양상, 생활만족도, 우울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우울은 통증과 정상관관계로, 생활만족도와 수면양상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통증이 심할수록 우울정도는 높고, 생활만족도와 수면 양상이 양호할수록 우울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의 영향요인으로 생활만족도, 통증, 수면양상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은 우울을 설명하는데 48%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우울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생활만족도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골관절염 여성노인의 노년기 정신건강증진을 위해서 우울 영향요인을 고려한 우울예방 프로그램이나 보다 실질적인 중재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실무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손자녀 양육 조부모와 자녀와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부모의 특성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Conflict betwee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nd Adult Children: Focusing on Grandparents' Characteristics)

  • 김미혜;성기옥;팽경희;최희진;최소영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905-923
    • /
    • 2011
  • 본 연구는 손자녀 양육 조부모와 그들의 자녀 사이에서 손자녀 양육으로부터 비롯되는 갈등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3차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분석 데이터로 사용하여 손자녀 양육 조부모와 그들의 성인 자녀와의 갈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경제적 요인, 돌봄 관련 요인, 건강 요인, 가족관계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부모가 남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종교가 없을수록, 비취업자인 경우에 자녀와의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부모의 근로소득과 금융소득이 없는 경우, 사적이전소득이 있을 경우, 즉 경제적으로 어려운 경우에 자녀와의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손자녀의 연령이 낮을수록, 손자녀 양육 대가가 없는 경우, 손자녀 양육으로 인해 근로나 소득활동을 중단 또는 단축한 경우에 자녀와의 갈등이 높았으며, 조부모의 신체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정신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자녀와의 갈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조부모의 가족관계 만족도와 배우자관계 만족도가 낮을수록,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녀와의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식을 위해 대가 없이 희생하는 전통노인과는 다른 양상으로서 손자녀 양육 대가 부재와 갈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직업가치,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ccupational Value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 정경순;이경임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83-93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occupational value and social support on their career decision status. Methods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etween May 6 and May 30 in 2023 with 228 college students from city B in South Korea as the study participants.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hile t-test, ANOVA test,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WIN 22.0 program. Results :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search subjects had an average occupational value of 3.58±.44, social support of 4.18±.56, and a career decision status of 2.82±.59. Notab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reer decision status of the students was observed with regard to their fields of major (F=2.36, p=.019), However, no other variable demon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nfidence level pertaining to career decision-making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ursuit of status and self-direction (r=.25, p<.001), pursuit of creativity (r=.16, p=.017), pursuit of relationship (r=.35, p<.001), pursuit of diversity and change (r=.16, p=17), pursuit of interest (r=.19, p=.003), pursuit of compensation (r=.29, p<.001), pursuit of professionalism (r=.46, p<.001), material support (r=.25, p<.001), appraisal support (r=.35, p<.001), informational support (r=.32, p<.001), and emotional support (r=.29, p<.001). Moreover, the indecision level related to career decision-making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ursuit of excellence (r=.17, p=.010).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confidenc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included appraisal support (β=.29, p<.001) and pursuit of compensation (β=.19, p=.003), whose collective explanatory power was 15 %. It was further observed that appraisal support (β=-.27, p<.001), pursuit of professionalism (β=-.16 p=.017), pursuit of excellence (β=.17, p=.005), and the field of major (β=-.16, p=.012) largely influenced the indecision level related to career decision-making, together bearing an explanatory power of 17 %.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enhancing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Moreover, further research investigating the diverse variables that affect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is necessary, along with effective endeavors to improve education and develop programs that positively affect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