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lization frequency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149초

청각장애학생의 영어 발성 주파수별 특징 분석 (Feature analysis of deaf students' English language by frequency)

  • 이근민;박혜정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4호
    • /
    • pp.819-82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학생들의 영어 발성의 특징을 분석하여 그 특징들을 반영할 수 있는 맞춤형 영어 학습 보조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학생들의 영어 발성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서 서울과 대구에 있는 청각특수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하여 녹음하였으며, 음성파일을 분석하기 위해 음성분석 전문 프로그램인 플라트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청각장애학생들의 영어 발성의 특징은 플라트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학에서 사용하는 음성의 특징 값들을 추출하여, 그 특징 값들을 이용하여 비장애학생의 영어 발성의 특징과 비교분석하였다.

이유시기가 한우 송아지의 발성빈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eaning Period on Vocalization Frequency in Hanwoo Calf)

  • 이규호;유정원;김상욱;정왕용;이원현;이상락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73-176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eaning period on the vocalization frequency of Hanwoo calf. Twelve Hanwoo calves were allocated into 4 groups, control (forced weaning on 90days) and treatment (weaning on 70, 90 and 120days with 5 adaptation days). After weaning, behavior and vocalization of Hanwoo calves were recorded on 3 consecutive days with closed circuit television (DTC-R5254, Digite Co., Ltd., Korea) and digital audio tape recorder (SR-900, Idamtech Co., Ltd., Korea). Vocalization frequency of Hanwoo calf were not significance difference with control and treatment group. Thus, additional studies of fee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were needed to determine the weaning period of Hanwoo calves.

남성 성악가의 Passaggio시 음성변화연구 (Analysis of Voice Parameters Variation during Passaggio of the Trained Male Singers)

  • 남도현;안철민;최성희;홍진희;이성은;최홍식
    • 음성과학
    • /
    • 제9권4호
    • /
    • pp.15-25
    • /
    • 2002
  • It's not easy to produce very high tones during singing for not only untrained ordinary people but also even trained singers. To get high singing tones from the low tones, some trained singers used to use a distinguished singing technique, Passaggio (vocal register tran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everal voice parameters variation between when to sing with using the passaggio technique and to sing without using it. We selected 18 male singers (tenor 8, baritone 10), who had more than 7 years of experience and were well trained in passaggio technique. Simultaneous measurements of fundamental frequency (F0), mean flow rate (MFR), intensity (I), and subglottal pressure (Psub) were performed using the phonatory function analyzer (Nagashima). For the tenor, target tones /a/ were presented: 1) easy phonation: $B_{2}$, 2) high tone without passaggio: F$#_{3}$ 3) high tone with passaggio: F$#_{3}$. For the baritone, target tones /a/ were presented: 1) easy phonation: G$#_{3}$, 2) high tone without passaggio: D$#_{3}$, 3) high tone with passaggio: D$#_{3}$. F0 of the target tones between non-passaggio group and passaggio group was almost the same in both tenor and baritone groups. Intensity of the non-passaggio and passaggio vocalization was much louder than that of easy phonation and pasaggio was louder than non-passaggio vocalization (especi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aritone singers). MFR of the passaggio vocalization was greater than non-passaggio vocalization in both tenor and baritone group,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baritone. Psub of the passaggio vocalization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non-passaggio vocalization in both tenor and baritone group, but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n tenor.

  • PDF

출산 후 새끼와의 분리에 따른 유우의 발성음 특성 (Characteristics of Dairy Cow's Vocalization in Postpartum Related with Calf Isolation)

  • 김민진;손승훈;임신재;장문백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1호
    • /
    • pp.51-56
    • /
    • 2010
  • 본 연구는 출산 직후 송아지와의 분리에 따른 어미소의 발성음특징을 파악하고자 출산 후 이틀 이내의 홀스타인 암소 16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어미소와 송아지 사이의 후각적, 청각적 접촉이 가능한 경우(실험군 1)와 전혀 접촉을 하지 못하게 격리한 경우(실험군 2)로 나누어 오전 1시부터 4시까지와 오후 1시부터 4시하루 6시간 동안 3일에 걸쳐 디지털 녹음기와 지향성 마이크를 이용하여 발성음을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어미소의 발성음은 특징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발성음의 빈도 및 스펙트로그램과 스펙트럼은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발성음의 주파수, 강도 및 길이 역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날짜의 경과에 따라 어미소의 발성음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어미소와 송아지의 분리 여부에 따라 어미소의 발성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성음은 어미소와 송아지 사이 유대관계의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모돈의 인공수정 후 시기별 발성음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Estrus-related Vocalizations of Sows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 임신재;김민진;이주영;김나라;강정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3호
    • /
    • pp.401-406
    • /
    • 2008
  • 본 연구는 모돈의 인공수정 후 시기별 발성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요크셔(Yorkshire)와 랜드레이스(Landrace)의 교잡종을 대상으로 2006년 9월부터 2007년 3월까지의 기간 동안 실시되었다. 모돈의 인공수정 상태에 따라 수정 당일, 수정 후 3일, 수정 후 50일로 구분하였고, 하루 3회 각각 1시간씩 디지털녹음기(MD Recorder, Marantz PMD650)와 마이크(RF Condesner MIC, MKH 416P48)를 이용하여 발성음을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발성음의 스펙트로그램을 비교한 결과 수정 후 시기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정 후 시기별 발성음의 스펙트럼을 비교한 결과 역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모돈 발성음의 주파수, 강도는 시기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발성음의 길이는 큰 차이가 없었다. 모돈은 인공 수정 후 시기별로 발성음의 차이를 보였으며, 앞으로 더욱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서 돼지의 신체적, 심리적 상태를 비롯한 동물복지의 지표로 이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성문전도를 이용한 발성훈련 시스템 (Vocal Exercise System Using Electroglottography)

  • 이제현;김지혜;강구태;정동근
    • 센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6-161
    • /
    • 2013
  • This study was aimed to implement the electroglottography (EGG) system for analyzing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phonation. EGG was recorded from the conductance between ring electrodes attached to the neck skin area near thyroid cartilage with high frequency carrier electric signals during vocalization, and voice signal was recorded with microphone simultaneously. EGG and voice signals were transmitted to the audio port in PC and recorded with stereo sound recording program. From the digitized data, several parameters such as pitch, jitter, shimmer, CQ and SQ were analyzed from the vowel sounds. For the voice training, sound fundamental frequency was displayed during the vocalization and singing a song using pitches analyzed from the EGG. The system implement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vocal exercise.

케이지 내 사육 공간의 차이에 따른 산란계의 음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Vocalizations of Laying Hen Related with Space in Battery Cage)

  • 손승훈;신지혜;김민진;강정훈;임신재;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5호
    • /
    • pp.421-426
    • /
    • 2009
  • 본 연구는 산란계의 사육공간의 크기별 발성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하이라인브라운(Hy-Line Brown) 80주령의 산란계를 대상으로 2008년 10월부터 2009년 2월까지의 기간 동안 발성음을 수집 및 녹음하였다. 산란계의 사육 케이지는 무항생제 축산물 사육밀도조건을 만족하는 0.0231 $m^3$ (0.3m ${\times}$ 0.14m ${\times}$ 0.55m)을 개체당 사육공간의 기준(control)으로 하고, 좁은 공간(small, 0.21m ${\times}$ 0.14m ${\times}$ 0.55m)과 넓은 공간(large, 0.3m ${\times}$ 0.3m ${\times}$ 0.55m) 등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하루 3회, 각각 1시간씩 디지털 녹음기(PMD-650, Marantz)와 마이크(MKH 416P48, RF Condenser Mic.)를 이용하여 발성음을 녹음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발성음의 스펙트로그램을 비교한 결과 케이지의 크기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펙트럼을 비교한 결과 역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발성음의 주파수, 강도 및 길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산란계의 사육공간과 발성음 사이에는 깊은 관련이 있었으며, 사육공간에 의한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발성음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최대 빈도모델 탐색을 이용한 동물소리 인식용 소리모델생성 (Sound Model Generation using Most Frequent Model Search for Recognizing Animal Vocalization)

  • 고유정;김윤중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85-9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동물소리 인식시스템을 위하여 최대 빈도모델 탐색 알고리즘을 고안하고 이를 이용한 소리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소리모델 생성 방법은 동물종의 소리 데이터로부터 학습과정, 비터비 탐색과정 및 최대 빈도모델 탐색과정을 반복하면서 HMM(Hidden Makcov Model)모델의 구조(상태의 수와 GMM의 수)를 탐색하여 최적의 인식률을 갖는 모델집합이 생성하는 방법이다. 최대 빈도모델 탐색 알고리즘은 입력 소리 데이터를 비터비(Viterbi) 알고리즘으로 탐색하여 모델리스트를 생성하고 이 리스트 중에서 최대 빈도수의 모델을 탐색하여 최종 인식결과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알고리즘에서 소리특징으로 MFCC(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모델형식으로 HMM을 이용하고 C# 프로그래밍언어로 구현 하였다.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27종의 동물소리를 선정하고 실험을 하였으며 27개의 HMM 모델집합이 97.29 퍼센트의 인식률로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연속적 분석법을 통한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 연구 (A Sequential Analysis of Mother-Infant Interaction)

  • 최진경
    • 아동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16
    • /
    • 198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application of sequential analysis to mother-infant interaction data,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goodness of f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7- to 16-month-old infants(12 girls and 10 boys) and their mothers. Each mother-infant dyad was videotaped in a 5-min free-play session in the playroom. The videotaped data was transcribed on the behavioral checklist every 3 seconds. The recorded raw data were lagged by one time interval (3 sec.). Transitional probabilities from behavior at time t-1 to behavior at time t were gathered. The statistical analysis of frequency data and transitional probabilities consisted of Z test, t test, and sign test. It was found that regarding 1) direction of effect: the transitional probability of infant vocalization following maternal vocaliz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everse; the transitional probability of a 'Coacting State' following a 'Mother Active Stat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everse; the probability of a 'Mother Active State' following 'Quiescent Stat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 'Coacting State' following an 'Infant Active State'; 2) sex differences: male infants' transitional probability from an 'Infant Active State' to a 'Quiescent Stat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infants; 3) age differences: more than younger infants older infants had higher transitional probabilities from a 'Mother Active State' to a 'Coacting State', from a 'Parallel State' to a 'Coacting State', and from a 'Quiescent State' to a 'Parallel State'. These showed goodness of fit for sex and age differences, particularily for direction of effect.

  • PDF

영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관한 단기 종단 연구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n Infant and Mother Interaction)

  • 김미옥;나종혜;현온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5호
    • /
    • pp.167-18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infant-mother interactions and to measure infant-mother interaction, mutuality, and reciprocity at the 2nd and 6th postnatal monthperiods. Infant-mother interaction was assessed in the mornings, afternoons, and evenings in the 2nd and 6th postnatal months, by filming unstructured free play in the home and analyzing 28 of these infant-mother film recordingsusing two trained observers.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five points. First, the separate frequency distribution of each category in MIIBR's maternal behavior was as follows: the frequencies of vocalization category, the kinesthetic exercise & physical contact category, the physical caregiving category, and theuse of play tool category. These all showed changes in the 6th postnatal month compared to the 2nd postnatal month. Second, the separate frequency distribution of each category in MIIBR's infant behavior was as follows: the frequencies of physical behavior category, the vocalization category, and the play behavior category. These also all showed changes in the 6th postnatal month compared to the 2nd postnatal month. Third, the mutuality and reciprocity of mother interaction decreased in the 2nd postnatal month compared to the 6th postnatal month. Fourth, mutuality and reciprocity in the infant interaction increased in 2nd postnatal month compared to the 6th postnatal month. Fifth, mutuality and reciprocity in the infant-mother interaction increased in 2nd postnatal month compared to the 6th postnatal month. In conclusion, it is evident that infant-mother interactions change over time. This study bears particular significance in setting a foundation for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infant and mother by obser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