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tilization history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7초

구강악안면 영역의 재건을 위한 대흉근피판의 임상적 평가 (Evaluation of the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 for Oral and Maxillofacial Reconstructive Surgery)

  • 나광명;김진욱;이호진;김진수;권대근;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5권5호
    • /
    • pp.277-283
    • /
    • 2013
  • Purpose: Well vascularized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 (PMMF) had been a commonly used versatile flap in reconstructive oromaxillofacial surgery since the 1970s. However, after the advent of microvascular surgery in the 1980s, the PMMF was used less frequently. But, to date, PMMF has been useful and has some advantages such as covering wide defects, covering vital structures, back-up procedure in cases of free flap failure, and reconstruction for radiotherapy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ole, indication, complications, functional, and aesthetic results of this flap in the era of free flap with a literature and chart review.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f 16 oral cancer patients undergoing reconstructive surgery with PMMF for reconstruction of defects from 2001 to 2012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0:6, with a mean age of 63 years (16~79 years). Basic demographic data, previous treatment history, indications, dimension of the flap, site of reconstructi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patients' final status were systemically analyzed from chart review. Results: The pathology of the disease included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majority of cases (n=14). The remaining cases were fibrosarcoma and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16 PMMF reconstructions, 13 flaps were applied as primary reconstructive procedures, whereas three flaps were; salvage; procedures (vascularized free flap failure). Twelve patients had complications such as wound dehiscence, infection, hematoma, fistula, flap bulkiness, and partial flap necrosis. The higher complication rates showed an association with utilization of the flap in preoperative radiotherapy cases. However, all patients were discharged without failure. Conclusion: In reconstructive oromaxillofacial surgery, the PMMF is still a useful flap for huge defects. In addition, the PMMF can be used as a salvage procedure after vascularized free flap failure and reconstruction for patients with a history of preoperative radiotherapy.

3차원기법을 이용한 폐기물매립지 정보관리시스템 구축 연구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Solid Waste Landfill based on 3 Dimensional Method)

  • 박진규;조성윤;김병태;이남훈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4호
    • /
    • pp.39-4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매립지 운영자, 관계 공무원 및 지역주민들에게 폐기물매립에 관한 정보 제공은 물론 실시간으로 폐기물매립지의 운영 및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는 매립 정보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매립 정보관리 시스템은 두 개의 시스템 (폐기물 매립이력 관리 시스템 및 매립 진척상황 관리 시스템)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화된 RFID / LPR 방식에 의한 고형 폐기물 매립이력 관리 시스템은 폐기물 수거 차량과 반입폐기물의 정보를 관리하며, 또한 폐기물매립지 외각에 설치된 추적 카메라를 이용하여 폐기물의 매립위치 및 매립시간 등의 정보를 3차원으로 DB화하여 향후 매립폐기물의 자원화 및 사후토지 이용 시 필요한 매립이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매립진척상황 정보관리 시스템은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매립지 부피 및 용량을 3차원으로 관리하여 매립진척상황을 실시간으로 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향후 매립지 잔여용량 분석을 통한 수요예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불교 의식용 콘텐츠로서 한국 창작 찬불가의 발전사 및 성장 방안 (A Study on the Development History and Growth Strategies of Korean Creative Buddhist Hymns as Buddhist Ritual Contents)

  • 이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366-37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창작 찬불가의 시기적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불교의 대중화를 위한 찬불가의 역할, 그리고 이를 위해 노력하였던 선각자들의 활동상과 그 의의를 확인해보았다. 또한 불교 의식의 중심으로서, 음악으로서 찬불가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현재 찬불가의 문제점으로는 창작된지 50여년이 지난 일부 찬불가만을 중심으로 제한되어 사용됨으로서 새로운 찬불가가 자리할 틈이 없다는 점, 음악으로서의 완성도의 미진, 전승 찬불가의 오기와 잘못된 전승에 대한 연구 부족, 체계적 관리의 부재 등이 지적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의식에서 찬불가 활용의 확대, 새로운 창작 찬불가의 필요, 사찰에서의 관심 증대를 위한 종단의 지원 강화, 대중성 강화를 위한 산사 음악회 활성화 등이 제시될 수 있다. 무엇보다 불교 대중화를 위한 창작 찬불가의 유용성에 대한 확인과 현대적 감각에 맞는 새로운 찬불가의 창작과 활용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 활용은 불교의식에서는 물론, 음악 그 자체로의 활성화가 병행되었을 때 가능할 것이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도시시설물 유지관리 효율화 방안 (Effective Maintenance of Urban Facilities via Smart Phones)

  • 노수성;손세형;김도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13-522
    • /
    • 2017
  • 오늘날 세계는 빠르게 도시화가 되어가고 있으며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인구밀집현상은 교통 혼잡, 생태환경악화 등 도시의 전형적인 문제들을 초래하였으며, 폐기물 처리 및 공공위생, 치안 문제 등 도시 관리의 어려움은 점점 증대하고 있다. 특히 도시시설물 관리에 있어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관리대상의 시설물 수와 종류가 많은 반면 관리인의 부족과 적정관리시스템의 부재로 인하여 도시민들이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시설물의 유지관리 효율화를 위해 스마트폰을 활용한 관리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시설물의 사진과 위치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기 때문에 시설물의 정보관리, 유지보수관리, 이력관리 등 원스톱으로 유지관리 업무가 가능하다. 둘째, 유지보수관리는 스마트폰의 위치가 아닌 시설물, 즉, 피사체의 위치 및 사진정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시설물의 상태파악 및 빠른 조치가 용이하며,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유지보수 관리자에게 접수와 동시에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셋째, 시설물의 정보 및 각종 자료와 도면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기 때문에 이력관리 및 데이터의 활용이 용이하다. 넷째,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도시민 누구나 쉽게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인프라 투자 없이 시설물관리자 기능으로서 확대가 용이하다. 마지막으로 위치 정보 기반으로 도로, 수목, 산책로 등 비 시설물의 관리가 가능하다.

하이패스 운용가용도를 이용한 부품의 교체 추정 모델 (An Estimation Model for the Replacement Parts based on the Operational Availability of Hi-Pass System)

  • 황의덕;허서정;김창석;손동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285-291
    • /
    • 2015
  • 현재 FTMS(Freeway Traffic Management System: 고속도로 교통관리 시스템), TCS(Toll Collection System: 요금 징수 시스템), 하이패스(Hi-Pass: 통행료 전자 지불 시스템)등의 고속도로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설비들은 단순한 이력관리 및 수동적인 사후관리가 이루어져 고장관련 DB가 부족하여 시설물의 통합운영관리 활용을 최대화 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부품의 교체시기가 없어 고장 발생 시마다 부품을 교체하다 보니 고장건수 증가 및 수리시간이 증가하며, 매번 교체 할 때마다 서비스가 중단되는 문제 점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ITS 시설물의 고장이력을 사전에 관리하여 예방적 유지관리를 하려한다. 따라서 하이패스 시설물의 고장이력을 신뢰성 이론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인 통계분석을 통해 시스템의 신뢰도인 운용가용도를 산출한다. 교체시기 산정을 통해 고장건수 및 시간이 감소하며 예비품 수량을 확보하여 예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부품의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지속적인 예방적 유지관리를 통해 시스템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서비스 품질을 항시 가용한 상태인 무 중단 운용상태를 지향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교육시설(敎育施設)에 관한 문헌연구(文獻硏究) 방법(方法) - 미국 ERIC 자료 활용방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ethods of Documentary Research on Educational Facilities - Focused on the Utilization of the ERIC -)

  • 박재윤
    • 교육시설
    • /
    • 제1권1호
    • /
    • pp.33-40
    • /
    • 1994
  • This study was taken to increase efficiency in reviewing documents of school facilities from the network of ERIV(Educational Resources and Information Center, USA). Outline of the ERIC network, and the structure, role, function of the ERIC thesaurus are introduced. A thesaurus have developed for information retrieval purpose provides the filing labels which permit information to be stored by one person and retrieved by another. As an information system grows, its thesaurus is systematically built and refined to the point where it represents, in a very special sense, the vocabulary of subject field. The Thesaurus of ERIC Descriptors represents such a vocabulary for the field education. An understanding of its origins, its function and its limitations, is just as important to the teacher, the student of education or the educational researcher as it is for the indexer or custodian of the information pool it represents. If the Thesaurus is understood and used in an appropriate way, it can give all educators not only insight into the ERIC system but also an increased awareness of the language of their field. A great many terms are necessary to describe the many aspects of education, and the task of relating them in even an approximately consistent way is an enormous one. The undertaking should be managed by people who not only know what they are talking about but who also should be able to predict what people in their field are lilely to be talking about in the near future. It should also enlist people who are willing to pay term to another within the system. To engage a large number of these two kinds of people over a long period of time is very likely to cost a great deal of money. There is very little proprietary value in producing such a list of terms, for it can very easily be copied, adapted, updated, etc. Thus, because of its high cost and low proprietary value, it becomes a task likely to be funded only by a government. A government has many ways of spending its money. However, after the decision has been made to spend money to produce an authority list, one must decide how this authority is to be delegated.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he ERIC Thesaurus is the history of how this authority was delegated. Scientific research has thrived on efforts to define terms as precisely as possible. It is difficult to say with certainty, however, that solutions to social problems have thrived on a simple diet of scientific research. Contemporary crises demand new and imaginative ways of conceiving problems and talking about them. If this Thesaurus or any other scheme for normalizing or controlling language inhibits in the slightest measure the creative use of language, it is against it use. Only if the principles and details of the Thesaurus are misunderstood can it be used as a constraint on language in a negative sense. Students of education of every kind should see the The-saurus as an opportunity to become increasingly self-conscious about their language and thus about their assumptions and their approaches to educational problems.

  • PDF

일제강점기 임상한의서 『제세보감』 연구 - 『방약합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linical Korean Medicine Book 『JeSeBoGam』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 with Focus on the Comparison with 『BangYakHapPyeon』 -)

  • 구현희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5-47
    • /
    • 2016
  • "JeSeBoGam (濟世寶鑑)" was a medical document authored by Moon Gi-h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1933, and the author acted as a Korean medicine doctor, an acupuncturist, a medicine practitioner and an apothecary. Since its first publication in 1933, it has been published three times in 1966 and 1975,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liberation period. "JeSeBoGam" is largely divided into Preface part, "List of drugs according to symptoms [隨症用藥目錄]", "JeSeBoGam-Gap (濟世寶鑑甲)", and the Appendix includes "Key points for diagnosing the disease [察病要訣]" "Key points of acupuncture and pulse [脈訣]" "Key point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reatment [針灸訣]" in the back of the book. In 1933, there are attached exam books and license application forms related to Korean medicine doctor and pharmacist, so strict regulations on them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can be confirmed. "JeSeBoGam-Gap" contains 208 prescriptions from 143 prescriptions taken from "BangYakHapPyeon" and 65 prescriptions from other books. It divided into Gap (甲) Eul (乙) Byung (丙) Jung (丁). These prescriptions were placed in "List of drugs according to symptoms [隨症用藥目錄]" according to a symptom 1,286 times. Considerable parts of organization and prescription drug composition of "JeSeBoGam" are closely related with "BangYakHapPyeon", but there were adjustments in all medicinal ingredients and capacity for the rest of them except 23 prescription drugs. Compared to "BangYakHapPyeon", there was a tendency to substitute the basic prescription in "JeSeBoGam" for prescriptions used for the same disease. Though only 65 prescriptions were taken from books other than "BangYakHapPyeon", 575 times were reflected in "List of drugs according to symptoms [隨症用藥目錄]", and the rate of utilization is high compared with the number of prescriptions of "BangYakHapPyeon". It is thought that the circumstances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limits in medicinal ingredients composition due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a patient's condition and the treatment method might have an influence on the author's drug use tendency. "JeSeBoGam" is similar to "BangYakHapPyeon" in composition, but it is a new practical medical book in which the author's clinical records are concentrated.

구강건조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ry Mouth)

  • 오정규;김연중;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4호
    • /
    • pp.331-343
    • /
    • 2001
  • Advances in medical procedures and utilization of medication have resulted in expanding aged population, which leads to increased aged patients with salivary hypofunction and its associated symptoms in dental clin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ry mouth and its correlation with their salivary flow rate. Forty dry mouth patients (7 males, 33 females, mean age 42.0 years) whose flow rate of unstimulated whole saliva was less than 0.15 ml/min were included and their gender- and age-matched controls (7 males, 33 females, mean age 42.9 years) who did not report any complaints, suggestive of salivary gland dysfunction and had the flow rate of greater than 0.20 ml/min were included for comparison. The salivary flow rate was measured in both unstimulated and stimulated conditions. Dry mouth-related clinical information including history, dry mouth associated symptoms, exacerbating and relieving factors, drugs, systemic diseases, and family history was investigated using questionnaires. The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to each question and their relation to the salivary flow rate were analyzed and we came to following conclusions.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patients and controls to the following questions: the period and frequency of suffering from dry mouth; severity of dry feeling during a meal; severity of discomfort during swallowing; necessity of sipping liquids during swallowing dry foods, severity of discomfort in usual life due to dry feeling; self-assessment of residual salivary volume; taking medications. 2. The patients had more stress-related medical histories including indigestion, insomnia, and gastritis compared with controls. The patients took many kinds of medications to control their systemic diseases.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livary flow rate between different groups of patients to following questions: severity of dry feeling during a meal; severity of discomfort during swallowing; necessity of sipping liquids during swallowing dry foods. The difference was more significant in the case of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rather than unstimulated one. 4. The salivary flow rate of patients taking medications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patients who did not take medications. The difference was more significant in the case of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rather than unstimulated one.

  • PDF

국내 웹 디자인 변천사 - 디자인 표현기법과 기술적 변화를 중심으로 - (History of Domestic Web Design - Focused on Design Expression Techniques and Technological Changes -)

  • 이현주;홍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00-208
    • /
    • 2020
  • 웹의 활용과 기술의 발전으로 웹 디자인 영역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지만,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웹 디자인의 변천 과정을 연구함으로써 웹 디자인 시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향후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의 표현기법 발현과 진화 배경과 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정보기술의 흐름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웹 디자인 변천 과정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는 앞으로의 웹 디자인 영역 확장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연구 범위로는 웹의 역사 30년을 기준으로 1990년부터 2000년대 초까지는 당시 이슈가 되었t던 웹 사이트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고, 2000년대 중반부터는 웹 어워드 코리아의 대상 수상작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디자인 표현기법의 조형적 특성과 웹 디자인에 영향을 준 정보기술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디자인 표현기법의 변화는 미니멀리즘과 스큐어모피즘으로 크게 나눌 수 있었고, 정보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웹 디자인을 표현하는 방식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도 다양한 디바이스의 출현과 영상 콘텐츠 활성화로 이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미니멀리즘의 영향을 받은 디자인이 지속할 것으로 예측된다.

중·미·일 애니메이션영화 창작스타일 비교연구 (China, the United States and Japan's animation film creation style of comparative study)

  • 양건화
    • 한국철학논집
    • /
    • 제39호
    • /
    • pp.221-235
    • /
    • 2013
  • 본 논문은 중 미 일 애니메이션영화를 통해 그 창작스타일을 분석하기 위해 삼국의 주요 예술적 특징 및 그 표현 스타일을 사례를 통해 비교하여 각각 자신들의 전통 회화예술, 심미적 습관, 사유방식과 깊이 연계되어 있으며 독특한 애니메이션영화 예술형식을 만들어냈음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미국은 사실주의 예술표현과 뉴테크놀로지에 대한 활용을 중시한다. 일본은 전통 회화예술과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의 표현을 중시한다. 상업적인 측면에서 볼 때, 그들은 그들의 국가와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마켓의 다양한 서로 다른 수요에 따라 각기 다른 시장의 수요를 만족시켜왔으며, 서로 다른 비즈니스 방식을 개발하였다. 내용적 측면에서 보면, 보편적 가치인 선악관을 알리고 개인주의의 영웅관을 만족시키며, 다양한 상업적인 예술 애니메이션영화를 개발하여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관중의 사랑을 받아왔다. 미국과 일본 양국에 비해 중국은 50-80년대에 사회주의 의식형태의 수요와 사고에 기초하여 애니메이션영화를 창작하였다. 80년대 개혁개방 이후에서야 다시 엔터테인먼트 마켓과 관중의 다양성의 수요에 따라 창작하게 된다. 그러나 그 결과는 여전히 지금의 중국 애니메이션영화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창작 동력과 원작 인재가 끊어지게 되었고 다양한 창의적 스타일과 상업시장 운영의 매카니즘이 결손되었다. 일본은 미국 스타일로부터 시종 자신의 위치와 성공을 찾게 되었다. 오늘날의 중국은 미국과 일본 스타일 중에서 자신의 창작 스타일과 위치를 찾고 정부관리방식, 업계규범, 국제화 인재양성 및 경험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그 근본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