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History and Growth Strategies of Korean Creative Buddhist Hymns as Buddhist Ritual Contents

불교 의식용 콘텐츠로서 한국 창작 찬불가의 발전사 및 성장 방안

  • Received : 2018.06.04
  • Accepted : 2018.07.25
  • Published : 2018.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iodic characteristics of creative Buddhist hymns in our country, and confirm the role of Buddhist hymns in popularizing Buddhism and the activities and meanings of pioneers who contributed to such Buddhist hymns. The fur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utility of Buddhist hymns. In the present, the problems of Buddhist hymns can be pointed out as follows. First, some Buddhist hymns which were created about 50 years ago are used, so that new Buddhist hymns can not be established. Second, their degree of completion as music are not sufficient. Third, it is insufficient to study the miswriting of transmitted Buddhist hymns. Fourth, there is no systematical management of Buddhist hymns. The countermeasures for these problems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utilization of Buddhist hymns in Buddhist ceremonies. Second, new creative Buddhist hymns are required. Third, the religious body should reinforce its support for promoting interests in Buddhist hymns. Fourth,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emple concerts in order to strengthen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t hymns. First of all, it is required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creative Buddhist hymns for popularizing Buddhism and create and utilize new Buddhist hymns appropriate to contemporary senses.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창작 찬불가의 시기적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불교의 대중화를 위한 찬불가의 역할, 그리고 이를 위해 노력하였던 선각자들의 활동상과 그 의의를 확인해보았다. 또한 불교 의식의 중심으로서, 음악으로서 찬불가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현재 찬불가의 문제점으로는 창작된지 50여년이 지난 일부 찬불가만을 중심으로 제한되어 사용됨으로서 새로운 찬불가가 자리할 틈이 없다는 점, 음악으로서의 완성도의 미진, 전승 찬불가의 오기와 잘못된 전승에 대한 연구 부족, 체계적 관리의 부재 등이 지적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의식에서 찬불가 활용의 확대, 새로운 창작 찬불가의 필요, 사찰에서의 관심 증대를 위한 종단의 지원 강화, 대중성 강화를 위한 산사 음악회 활성화 등이 제시될 수 있다. 무엇보다 불교 대중화를 위한 창작 찬불가의 유용성에 대한 확인과 현대적 감각에 맞는 새로운 찬불가의 창작과 활용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 활용은 불교의식에서는 물론, 음악 그 자체로의 활성화가 병행되었을 때 가능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수, 불교방송(BBS) 신작찬불가의 음조직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 민선희, 불교합창단의 활동과 국악찬불가의 전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 유현주, 대중들이 선호하는 찬불가 연구: 현행 법회의식과 행사에 쓰이는 찬불가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4. 박범훈, 한국불교음악사연구, 장경각, 2000.
  5. 백용성, 대각교의식 경성, 대각교중앙본부, 1927.
  6. 김춘호(도영), 음악포교방법론 연구: 찬불가를 중심으로, 중앙승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