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se Motives

Search Result 21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외식소비자의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활용 동기에 관한 연구 (Motive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Usage of Restaurant Customers)

  • 신서영;차성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1-138
    • /
    • 2013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SNS 활용 동기 요인이 외식 관련 SNS에 대한 태도와 향후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표본은 인터넷 사용인구분포를 고려하여 성별, 연령대, 거주 지역에 대해 할당표집하였고 총 273명의 자료를 PASW Statistics 18.0, AMOS 1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적합지수는 ${\chi}^2$=287.558(df=155) p<.000, CMIN/df=1.855 GFI=0.905 NFI=0.887, IFI=0.944, TLI=0.931, CFI=0.943, RMSEA=0.056, RMR=0.025 으로 최적모형이 도출되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식 소비자의 SNS 활용 동기 중 기능적 동기와 오락적 동기는 SNS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 관계를 보였다. 반면 사회적 동기와 심리적 동기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에 대한 태도는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식 소비자의 경우 SNS의 정보 제공 기능과 오락적 특성은 SNS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이는 외식 관련 SNS를 계속 사용하게 하는 요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외식기업에서 소비자에게 효용을 주는 SNS 마케팅 전략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자기주도적 수준별 학습지를 이용한 STAD 협동학습이 수학교과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STAD Group Study using Gradual Self-Leading Learning Materials on the Accomplishments of Math Curriculum)

  • 송영무;나덕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65-85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과에 배당된 한 시간의 수업을 어떻게 하면 가장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까\ulcorner'라는 연구과제에 대하여 자기주도적 수준별 학습지를 개발하여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 STAD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다음, STAD 형성평가를 통하여 수학적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키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하였다. 첫째, 기존의 교과서 위주의 수업을 탈피하고자 교과내용 요약, 기본문제, 발전문제, 심화문제로 이루어진 자기주도적 수준별 학습지를 개발 적용하였다. 둘째, 집단의 목표가 분명하고, 개별적인 책무성이 중요하며, 성공의 기회가 균등하고, 소집단간의 경쟁이 유발되는 STAD 협동학습 모델을 선택 적용하였다. 또한 소단원이 끝날 때마다 실시하는 STAD 형성평가지를 이용한 평가를 EXCEL의 점수 자동환산표에 삽입하여 결과를 그 즉시 공고하였다. 실험 수업의 결과는 실험수업 대상의 선정 및 크기가 제한되어 있고 실험기간이 단기간이므로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으나, 어떤 학생도 열외 됨이 없이 자율적인 소집단간의 경쟁을 유도하여 학업성취 의욕을 높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 자기주도적 수준별 학습지를 이용한 STAD 협동학습이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키고 수학적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켜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었다. STAD 협동학습은 방법이 쉽고 절차도 간단하여 협동학습을 처음 적용하는 교사가 사용하기 좋고, 보상 체제의 구조가 열린 교육이 추구하는 활발한 동료 간의 상호작용과 학습 동기를 촉진시켜 준다. 아울러 다양한 소집단 협동학습 중 STAD 협동학습 모형이 수학 수업에 보다 발전적으로 널리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라이다 자료와 정사영상을 이용한 산림지역의 수목영역추출 (Extraction of the Tree Regions in Forest Areas Using LIDAR Data and Ortho-image)

  • 김의명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34
    • /
    • 2013
  • 지구온난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는 산림자원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산림자원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항공사진 또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화에 의해 구축되었다. 그러나 영상정보만을 이용한 경우 수목이 울창한 산림지역의 수고정보를 정확하게 구축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라이다 자료와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산림지역에서 개별 수목을 분리하고 수고정보를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자료처리 방법을 제안하였다. 라이다를 이용한 자료처리는 정규화된 수치표면모형을 생성한 후 국지적 최대값 필터링을 통하여 수목점을 추출하였다. 또한 정사영상을 이용한 자료처리는 수목영역을 추출하기 위하여 객체기반 영상분류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라이다 및 정사영상의 결과를 조합하여 최종 수목점을 추출하였다. 용인지역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라이다 자료와 정사영상을 각각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장단점을 분석하고 두 자료를 융합하여 산림지역에서 개별 수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제안한 방법의 효율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한국판 음악 기능 척도의 타당화와 정서적 적응과의 관계 (Validation of RESPECT-Music With a Korean Sample)

  • 이정윤;김민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4권2호
    • /
    • pp.45-7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음악을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개인의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음악 기능 척도(RESPECT-Music)를 한국어로 번안 및 타당화하고, 정서적 적응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대학생 212명으로 구성된 표본 A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대학생 296명으로 구성된 표본 B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및 정서적 적응 변인과의 상관분석을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어로 번안된 음악 기능 척도는 원 척도와 동일하게 배경 음악, 가치 발달, 집중 향상, 춤 유도, 가족과의 유대, 문화적 정체성 반영, 정치적 태도 표현, 스트레스 해소, 정서 전달, 친구와의 유대의 10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0요인 35문항 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하였고, 문항 신뢰도도 양호하였다. 정서적 적응 변인들과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음악 기능 척도는 정적 정서, 재해석 정서조절 방략, 정서개선 신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 대체적으로 정서적 적응과 연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개 하위요인 중 춤 유도 기능이 정서적 적응과 가장 뚜렷한 연관성을 나타냈으며 정치적 태도 표현 기능은 예외적으로 정서적 적응과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를 음악 기능의 세 차원으로 설명하면, 음악을 개인적, 사회적 목적으로 사용할수록 정서적 적응 수준이 높았고, 문화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정서적 적응과의 관련성이 낮았다.

한국형 구급차 색상 디자인 연구 및 동향분석 (A Research on the Korean Ambulance Color Design and Trend Analysis)

  • 박민정;김형욱;정재한;한용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138-147
    • /
    • 2016
  •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 국민의 안전과 보호에 대한 서비스의 인지가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되어감에 따라 경상 환자, 상황이 급박한 중상환자까지 구급차 이용의 빈도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구급차 이용의 빈도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송 중 안전사고도 빈번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원인은 신속하게 환자를 이송해야하는 구급차가 도로를 포함하여 구급차가 노출되는 환경에서 인식이 잘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미 매우 높은 확률의 2차 사고에 노출 되어있다는 것이고, 이는 환자를 포함하여 구급대원에게도 생명이 담보된 위협적인 상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흐린 날이나 야간에 도로상의 구급차는 무방비 상태로 사고에 완전히 노출되어 있으므로 안전사고 대비를 위한 안전한 디자인의 연구 및 개발은 매우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구급차를 보다 원거리에서 인식이 되는 시인성이 높은 색상과 위급함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디자인 모티브를 추출하여 구급대원과 환자가 주변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 될 수 있으며, 현대감각에 맞는 연출로 구급차로서의 정체성을 살리고, 예민하고 불안한 환자의 심리상태를 고려하여 시각적으로 올 수 있는 위압감을 완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연구된 선진 해외 사례를 분석하고, 국내 환경에 맞는 색상을 연구하여 이제까지 구급차에 대한 고착화 되어버린 색상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보다 안전한 색상 연구의 필요성을 파악하여 실제 한국형 구급차에 적용된, 현재 구급자동차 외관의 색상 및 패턴을 포함한 외관디자인이 나오게 된 과정에 대한 연구 결과이다.

뉴미디어아트의 경험요소가 이용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Factors of New Media Art on the Motivation)

  • 윤여선;안병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79-285
    • /
    • 2022
  • 디지털 패러다임으로 인한 다양한 매체와 기술의 발달은 문화예술산업과 더불어 시대적 인식 변화를 가져오고 있고 뉴미디어(New Media)의 혁신적 영향은 예술을 경험하는 환경에도 변화를 가속화 하였다. 디지털 환경의 변화로 기술과 예술이 융복합되어 출현하게 되었고, 상호작용과 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뉴미디어아트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한다. 국내·외 디지털 패러다임에 관한 사례와 뉴미디어아트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도 이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뉴미디어아트에 있어서 경험요소를 정의하고 이용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뉴미디어아트(New Media Art)에 있어서 기존의 경험요소를 이론적 바탕으로 두고 이용동기 요인들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경험요소들은 매우 유용한 변수로 적용됨이 검증되었고, 실질적으로 이용동기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뉴미디어아트에서 상호작용 특성에 따라 경험자의 이용동기에 관한 경로로 사용된 초기의 연구라는 점을 근간으로 결론 및 의의를 논의하였다.

Pedagogical Conditions for Formation of Design Competence of Qualified Workers with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 Slipchyshyn, Lidiia;Honcharuk, Oksana;Anikina, Inessa;Yakymenko, Polina;Breslavska, Hanna;Yakymenko, Svitlana;Opria, Iho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79-88
    • /
    • 2022
  • Modern production requires production staff who have design competence, experience and skills to work in various types of work integrated into professional activities. Possession of digital design methods significantly expands the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activities of qualified workers.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study the impact of pedagogical conditions on the formation of design competence of future qualified workers in a group work. We have identified a set of pedagogical conditions that promote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ly oriented artistic and technical creativity of workers in the conditions of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which include motivational-target, procedural-semantic, organizational-technological, and subject-oriented. It is shown that the formation of design competence is determined by motivational, informational-active and reflection criteria, which are aimed at motivational-value, cognitive, operational-active, creative, social and emotional components of this competence.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 is highlighted, which includes the use of the following methods: determination of the personality's motivational sphere in order to identify strong and weak motives of students activity; multiple intelligence to identify students talents in the direction of practical intelligence, which is important for design competence; determining the level of creative activity to identify manifestations of students creative abilities; identifying the type of students innovative thinking in order to develop motivation for success; factor-criterion model, developed on the basis of a qualimetric approach, which is used to identify the level of design competence formation in accordance with its compon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reation of separate pedagogical conditions in the institu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VE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design competence, which shows the potential of artistic and technical design i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creativity of future qualified workers taking into account the environmental approach.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res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 of Motive on Their Addiction to the Internet)

  • 박혜영;이은희;박상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6호
    • /
    • pp.65-82
    • /
    • 2009
  • The following research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tres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addiction to the Internet. This research's target was a group of male students who had a high probability of getting addicted to the Internet while playing c/t games. The study distributed 357 questionnaires and used 340 copies, which meant discarding 17 copies that were considered inadequat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ppeared subordinate factors in the stress suffered by the students. These included stress from their families, from conflicts with their teachers, from the living environment, current schoolwork and future course in college, insecurity over their physical appearance, bullying from other students, and relationships with friends. Among these factors, stress caused by conflicts with teachers and family was the most frequently cited, while stress from their friends was the least cited. The motive in using the Internet was found to be bound with several factors. These include: a form of diversion, a way to communicate with others, a means in coping with loneliness, a source of news and information, a form of passing away time, a kind of habit, and others. Among these motives, passing away time and indulging a habit were cited the most, followed by news and information search, and a form of diversion. Second, as a subordinate factor in Internet addiction, the following were cited: formation of tolerance, health issues, occurrence of problems related to daily life, satisfaction or a pleasant sensation, withdrawal, cover-up on the use of the Internet, and formation of virtua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others. Among these, the formation of tolerance came out the highest, followed by health issues, daily life, and problems related to daily life. Third, in terms of the effects of stress on the motive in using the Internet, the research found that the more the students felt stressed out by conflicts with their teachers and family, the more they tended to use the Internet to communicate with others, to cope with loneliness, to obtain newsI and information, to passawaytime, and to indulge a habit Also, the more they felt stressed out by the living environment, the more they tended to use the Internet to communicate with others, to cope with loneliness, and use news and information. The more they felt stressed out by their schoolwork and future course in college, they tended to use the Internet as a form of diversion and to secure news and information. The more they felt stressed out by their insecurity over their physical appearance and being victimized by bullies, the more they tended to use the Internet to cope with loneliness. Fourth, as for the effect of several variables on student addiction to the Internet, the study found that the more students felt stressed out by their living environment, by schoolwork and future course in college, by their physical appearance, and bullying from other students, the more they used the Internet as a form of diversion, a communication tool, and as a means of passing away time or indulging a habit. The study came up with the finding that the more the students used the computer and the Internet, the probability of their getting addicted to the Internet got higher.

국제프랜차이징 연구요소 및 연구방향 (Research Framework for International Franchising)

  • 김주영;임영균;심재덕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61-118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외 프랜차이즈의 해외진출에 대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국제프랜차이징연구의 전체적인 연구체계를 세워보고, 연구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연구요인들을 확인하여 각 연구요소별로 이루어지는 연구주제와 내용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주제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주요한 연구요소들은 국제프랜차이징의 동기 및 환경 요소과 진출의사결정, 국제프랜차이징의 진입양식 및 발전전략, 국제프랜차이징의 운영전략 및 국제프랜차이징의 성과이다. 이외에도 국제프랜차이징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대리인이론, 자원기반이론, 거래비용이론, 조직학습이론 및 해외진출이론들을 설명하였다. 또한 국제프랜차이징연구에서 보다 중점적으로 개발해야 할 질적, 양적 방법론을 소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국내연구의 동향을 정리하여 추후의 연구방향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 PDF

사이버 안보에 대한 국가정보기구의 책무와 방향성에 대한 고찰 (A Study about the Direct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Agency to the Cyber Security Issues)

  • 한희원
    • 시큐리티연구
    • /
    • 제39호
    • /
    • pp.319-353
    • /
    • 2014
  • 2001년 9/11 테러공격 이후에 미국은 사이버 안보를 가장 위중한 국가안보 문제로 인식한다. 미국 국방부는 2013년 처음으로 사이버 전쟁이 물리적인 테러보다 더 큰 국가안보 위협임을 확인했다. 단적으로 윌리암 린(William J. Lynn) 국방부 차관의 지적처럼 오늘날 사이버 공간은 육지, 바다, 하늘, 우주 다음의 '제5의 전장(the fifth domain of warfare)'이라고 함에 의문이 없다. 인터넷의 활용과 급속한 보급은 사이버 공간에서의 상상하지 못했던 역기능을 창출한 것이다. 이에 사이버 정보와 사이버 네트워크 보호까지를 포괄하지 않으면 국가안보 수호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각국은 운영상의 효율성과 편리성, 국제교류 등 외부세계와의 교류확대를 위해 국가기간망의 네트워크화를 더욱 확대해 가고 있고 인터넷에의 의존도는 심화되고 있다. 하지만 그 실천적인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법제도적 장치와 사이버 안전에 대한 인식수준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오늘날 가장 실천적이고 현실적인 위협을 제기하는 사이버 안보의 핵심은 하나도 둘도 계획의 구체성과 실천력의 배양이다. 대책회의나 교육 등은 부차적이다. 실전적인 사이버 사령부와 사이버 정보기구 그리고 사이버 전사의 창설과 육성에 더 커다란 노력을 경주해야 하고, 우리의 경우에는 가장 많은 경험을 가지고 인력과 장비를 가진 국가정보원의 사이버 수호 역량을 고양하고 더 많은 책무를 부담시키고 합리적인 업무 감독을 다하는 것에 있다고 할 것이다. 이에 본고는 법규범적으로 치안질서와 별개 개념으로서의 국가안보에 대한 무한책임기구인 국가정보기구의 사이버 안보에 대한 책무와 그에 더하여 필요한 사이버 정보활동과 유관활동의 범위를 검토하고자 한다. 사이버 테러와 사이버 공격을 포괄한 사이버 공격(Cyber Attack)에 대한 이해와 전자기장을 물리적으로 장악하는 전자전에 대한 연구도 포함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