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forest management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6초

유역에서 토지이용과 오염원자료의 공간적 변화가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Spatial Variability in Land Use and Pollutant Source on the Stream Water)

  • 정광욱;이승재;이상우;한정윤
    • 생태와환경
    • /
    • 제40권1호
    • /
    • pp.40-49
    • /
    • 2007
  • For effective watershed management, we must understand the complex and dynamic relationships of land uses and water quality. Despite numerous studie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water quality and land use, there are increasing concerns on the geographical variation and lack of spatial integrations in previous studie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Hwa-Sung estuarine reservoir watershed in Korea, which has spatially integrated land uses. The spatial variations of these relationships were also examined using zonal analysis. Water quality parameter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residential and forest and negatively with paddy and upland especially during base flow in the near buffer zone. During storm flow, correlation between land use and water quality was less apparent. Population and livestock density was correlated well to water quality parameter than just number of population and livestock. Relationships across zones, distinguished by distances from streams, were inconsistent and erratic, suggesting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remote land uses and water quality may be affected more significantly by sub-basin characteristics than by the land use itself. The watersheds studied are mainly non-urban and their land uses are similar to typical watershed of other estuarine reservoirs, therefore, the correl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might be helpful to manage other watersheds of estuarine reservoir. This methodology could be applied to other areas where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tudy area.

북한산국립공원의 둘레길과 정상정복형 탐방로의 경관 특성 비교 연구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cenic landscapes of between the Dulle-gil and the uphill tra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 이규철;손용훈;이산하
    • 농촌계획
    • /
    • 제22권3호
    • /
    • pp.21-31
    • /
    • 2016
  • This is a comparative study focused on the scenic landscape preferences derived from visitors's perceptions at the Dulle-gil and the uphill tra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Unlike previous landscape assessment methods, this study contains more direct and on-site analysis with methods of understanding the visitors' perceptions by using 'visitor employed photography(VEP)' which requires each visitor to take preferable scenic landscape with one's own smart phone camera. The scenic landscape types at two different trails were categorized and then the types favoring most of participants were verified. There are total number of 16 visual landscape types preferred by participants at both the Dulle-gil and the uphill tra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As in terms of consensus photography(CP) on the Dulle-gil was found to have more diverse elements including both natural and artificial elements compare to the uphill trail. Furthermore, the perceptually excited node(PEN) at the Dulle-gill were found to be more scattered evenly whereas PEN at the uphill trail were concentrated on the entrance and the top of the mountai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scenic landscape management at the Dulle-gil and the uphill trail require different approaches. Facilities were set based on careful consideration of distinctive geographical features and vegetation in the Dulle-gil. And the management need to be focus on the 'forested area' maintaining natural state in the uphill trail. Futhermore, the result of the CP and PEN in the trails would be helpful to proceed the next step of landscape perception study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groups.

전도형 강수량계의 성능시험 및 불확도 분석 (Performance tests and uncertainty analysis of tipping bucket rain gauge)

  • 홍성택;박병돈;신강욱;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95-597
    • /
    • 2018
  • 강수량의 계측은 댐 및 하천의 안정적인 운영 및 유지관리, 도시 및 산업단지의 먹는 물 및 용수공급, 농어촌의 영농 및 산림녹화 등 광범위한 범위에서 필요로 하고 있으며, 재난재해를 대비하고 강우 발생시 경제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정확한 강수량의 측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계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교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도형 강수량계에 대한 강우강도 20 ~ 100 mm/h에 대한 특성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측정값은 19.30 ~ 19.59 mm, 오차율은 0.31 ~ 0.35 mm로 측정되었으며, 불확도는 0.2887 mm로 산출되었다. 이러한 특성시험을 통하여 기상 및 수문 관측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PDF

선정릉의 적정수용능력 추정 및 관리방안(I) -토양환경 및 식생분석- (Carrying Capacity Estim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of the Seonjeong Royal Tomb(I) -Soil Environment and Vegetation Analysis-)

  • 이경재;오구균;권영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3-45
    • /
    • 1987
  • The Seonjeong royal tomb is one of many historic sites in and around Seoul city and its natural environment and landscape have born damaged seriously by heavy use. So conservation planning with an estimation of reasonable carrying capacity shall be required In aspect of not only historic site conservation, but also urban forest and nature park management. Eight sites were sampled with clumped sampling method during July of 1986 and five quadrats were examined in each site. Environmental factors, actual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grade were investigated in field and vegetational structure was analyzed by estimation of importance value, species diversity, similarity index, DBH class distribution,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Damage on soil and vegetation of middle and lower layer increased according to amount of users'impact. 2. Semi - natural vegetation covered 63% of the total area(22.2 ha) and its major species were Pinus densiflora, Quercus aliena, Q mongolica, Sorbus alnifolia, etc. Pinus densiflora was a dominant species in heavy impact area. 3. Environmental impact grade 3, 4 and 5 area covered 51% of the seminatural vegetation, Especially, the area of impact grade 4 and 5 should be restored because self-refair seemed to be impossible. 4. The semi-natural vegetation was classified with four plant communities; two P.densiflora comm., Q. mongolica-P. densiflora comm. and Q. aliena comm. One of the P. densifolra comm. was destroyed seriously with no younger trees in middle and lower layer by overuse impact and would be bareland soon. But Q. aliena comm.in light impact area showed just completion of plant succession from P. densiflora comm.

  • PDF

경주국립공원 화랑지구의 관속식물상과 관리방안 (Management Plan and Vascular Plants of the Hwarang District in Gyeongju National Park)

  • 유주한;문성주;이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17-3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national park by systematic and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distributed in the Hwarang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vascular plants in this site were summarized as 396 taxa: 95 families, 272 genera, 351 species, 2 subspecies, 38 varieties and 5 forma.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5 taxa: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Potentilla discolor Bunge, Prunus yedoensis Matsum, Lysimachia coreana Nakai and Inula salicina var. asiatica Kitam..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6 taxa: 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 Clematis trichotoma Nakai, Lespedeza maritima Nakai, Lysimachia coreana Nakai,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0 taxa: Asplenium sarelii Hk., Salix chaenomeloides Kimura, Lysimachia barystachys Bunge, Achillea alpina L., Celtis aurantiaca Nakai, Vitex negundo var. incisa (Lam.) C.B.Clarke and so forth. The plants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were 6 taxa: Clematis trichotoma Nakai,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Glycine soja Siebold & Zucc., Lespedeza maritima Nakai, Lysimachia coreana Nakai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9 taxa: Bilderdykia dumetora (L.) Holub, Descurainia pinnata Britton, Oxalis corymbosa DC., Bidens frondosa L.,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2 taxa: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Aster pilosus Willd. In future, if we will survey the flora of whole Gyeongju national park, we will offer the help to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plan of ecosystem in Gyeongju national park.

전략환경영향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사업에서의 생태면적률 적용 현황 및 한계점 분석 (Analysis of the Status and Limitation of the Biotope Area Ratio on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박진한;이동근;김효민;성현찬;전성우;최재용;이창석;황상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5-71
    • /
    • 2018
  • To improve the ecological function of urban areas, the guideline for applying the Biotope Area Ratio to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was developed in 2005 and modified in the July, 2017.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guideline has been actually practiced in the real world by searching reports including 648 cases of the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EIA) and 471 cases of the EIA. The results show that the 38% of SEIA and the 43% of EIA include sections about Biotope Area Ratio, and the 15% of SEIA and the 25 % of EIA are satisfied the threshold of the Biotope Area Ratio suggested by the guideline.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is low level of practice was not improved through the modification of the guideline in 2017. This is because the guideline is forcibleness, its explanation is unclear, and stockholders' understanding of it lacks. In addition, lack of tracking management on SEIA and EIA also contributes to the low level of practice of the guideline. To promote the practice, the efforts to legislate and publicize the guideline are required.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저전력 임베디드 센서 보드를 이용한 트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설계 (Design of Tree Management System using Low-Power Embedded Sensor Board in WSN)

  • 허민;모수종;김창수;임재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27-130
    • /
    • 2005
  • 국내의 도시들은 빌딩 숲으로 둘러싸인 회색도시에서 공원과 가로수가 어우러진 녹색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해 많은 노력과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그 예로 부산시에서는 ‘녹색도시부산21’의 정책으로 군부대시설의 공원화, 도심의 나무심기 등을 계획하고 진행 중에 있다. 여기서 조경을 위한 수목의 가격은 매우 고가이다. 이런 고가의 조경 수목을 관리하기 위한 수목 관리 시스템의 도입은 당연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각 수목에 붙여진 Mote를 이용하여 수목의 정보를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에서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목의 상태 파악 및 관리, 병충해 예방, 수목 정보 웹 데이터 서비스 등에 이용할 수 있게 하며, 그리고 생태 관리 학자들에게 도신의 조경 수목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설계를 제안하였다.

  • PDF

강수량계 종류별 성능시험 및 불확도 분석 (Performance tests and uncertainty analysis of precipitation types)

  • 홍성택;박병돈;김종립;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935-942
    • /
    • 2018
  • 정확한 강수량의 측정은 댐 및 하천의 운영, 농어촌 및 산림녹화, 안전관리 등 사용분야가 광범위하며, 재난재해를 대비하고 강우발생시 경제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집수형 강수량계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통합검증시스템에 의한 강수량계 종류별 특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전도형 강수량계는 0.0041 mm, 무게식 강수량계는 0.0045 mm, 표면장력식 강수량계는 0.0039 mm으로 불확도가 산출되었으며, 강수량계의 종류 및 특성에 따른 불확도는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시험을 통하여 강수량계 종류에 따른 기상관측 및 수문관측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재난 예측, 감시 및 대응 (Disaster Prediction, Monitoring, and Response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 김준우;김덕진;손홍규;최진무;임정호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5_2호
    • /
    • pp.661-667
    • /
    • 2022
  • 원격탐사와 GIS를 활용한 공간자료 분석은 재난 관리에 효율적인 기술로 이를 활용한 재난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 분석 및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군집위성의 발사와 다양한 원격탐사 플랫폼의 활용, 취득된 데이터 처리 및 저장 능력의 향상,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해 재난 관리를 위한 원격탐사와 GIS 기술의 활용은 많은 발전의 여지를 가지고 있다. 이번 특별호에는 재난의 예측, 감시 그리고 대응 단계에서 선박탐지, 건축물 추출, 해양환경 감시, 홍수탐지, 산불탐지, 그리고 재난 발생시 의사결정지원에 적용 가능한 원격탐사와 GIS 기술의 개발과 활용한 관련한 10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이번 특별호에 출판된 논문들은 재난 관리 기술의 발전과 연관 학문 분야의 학술적 발전에 밑거름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대구수목원 이용객 만족모델을 통한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Operation Strategy by Multi-variate Regression of Deagu Arboretum Visitor's Satisfaction)

  • 강기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36-45
    • /
    • 2012
  • 현대인들에게 수목원이 제공하는 환경과 식물에 대한 교육은 단순히 도시 속에서 자연환경을 조성하고 방문객들에게 휴양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대구수목원 방문객들의 이용만족도에 대한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목원에서 제공해야 할 시설과 프로그램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그에 따른 의견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변수의 크기를 관찰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에서 만족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의 순위는 산책로의 동선흐름, 환경에 대한 교육효과, 시설의 청결성, 입장료나 방문시의 비용, 자연경관, 수목종류의 다양성, 수목원의 접근성, 직원의 친절, 수목원 내의 편의시설의 확충과 보완으로 나타났다. 이용객의 성향은 인근의 거주자가 연간 5회 이상 이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용객들이 요구하는 대구수목원의 시설과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질문에서 문화행사와 이벤트, 아름다운 경관조성, 휴게 및 편의시설의 확충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죽은 수목과 나지에 대한 관리도 시급히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상과 같이 이용객의 만족도와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한 대구수목원의 운영관리전략은 지역민과 함께하는 이벤트와 축제, 옴부즈맨제도 도입, 관내 학생들과 교사들에 대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치된 나지와 죽은 수목의 교체, 매점 시설의 개선과 보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고 다른 수목원의 프로그램과 타 시설을 예시로 들어 운영전략을 제안 하였다. 이러한 사항은 대구수목원에서 외부의 자원을 투입하지 않고도 충분히 개발할 수 있는 운영관리의 내용이라고 생각된다. 이용객의 만족감은 사소한 것에서부터 시작되며 작은 차이가 큰 만족감을 결정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인 부분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