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호양. 2003. 은사시나무 판재의 열기건조, 고온건조. 마이크로파-진공건조. 목재공학 31 (4):31-37.
- 경주시. 2005. 경주국립공원관리계획. 경주시 보고서.
- 경주시. 2008. 경주국립공원 관리이관을 위한 조사용역 보고서. 경주시 보고서.
- 경주시. 2010. 경주시통계연보. 경주시.
- 고성덕. 2006. 가침박달(Exochorda serratifolia) 군락의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연구논총 22(2):1-24.
- 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 2008. 경주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보고서.
- 국립수목원. 2005. 한반도 특산 관속식물. 국립수목원 보고서.
- 국립수목원․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한국식물분류학회 보고서.
- 국립중앙과학관. 1997. 경주국립공원 생태계 연구. 국립중앙과학관 보고서.
- 김상웅. 2007. 경주 남산과 토함산의 식생분류.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영화. 2010. 한반도 식물구계에 따른 자생 병풍쌈과 어리병풍의 분포와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준민․임양재․전의식. 2000. 한국의 귀화식물. 서울:사이언스북스.
- 김중현․김용현․윤창영․김주환. 대구광역시 비슬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5):481-504.
- 김창호. 2005. 돌콩 종자 함유 Galactomannan 조성의 지리적 변이. 한국생태학회지 28(3):157-161.
-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I. 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 18(1):163-198.
- 김통일. 2008. 산악형 국립공원과 해상형 국립공원의 경제적 가치비교-주왕산국립공원과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2(4):9-18.
- 김통일. 2009. 경제적 가치 평가에 기반한 경주국립공원 관리 방안.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3 (1):7-17.
- 박경욱. 2011. 임실 신평면 병아리꽃나무(Rhodotypos scandens) 군락의 생태적 특성.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선홍. 2003. 조계산 식물상에 관한 구계학적 조사 분석.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수현. 2009.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서울:일조각.
- 유주한․나정화․조현주․구지나. 2009. 백두대간 생태숲 조성예정지의 관속식물상과 활용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2(5):42- 58.
- 유주한․문성주. 2010. 동대 습지 주변의 식물상과 특성. 산업기술논문집 20(1):1-11.
- 유주한․박경훈․윤영철. 2010. 창원시 내동천의 귀화식물 분포특성과 관리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8(4):96-105.
- 윤성일. 2007. 한국 국립공원 내 야생동물과 농작물 피해. 환경생물 25(3):223-227.
- 이영경․최송현. 2000. 도시림의 식생구조 분석-경주 남산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 (3):13-24.
- 이유미․박수현․정수영․오승환․양종철. 2011.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1):87-101.
- 이정미. 1991. 경주국립공원 남산일대의 현존삼림식생과 식물상.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상, 하). 서울:향문사.
- 임동옥․김하송․박문수. 2009. 전남 북부지역의 귀화식물 분포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6):506-515.
- 임원현․강기호․김두찬. 2000. 경주 남산의 식물군집구조. 건설환경논총 3:1-14.
- 임원현. 2002. 경주 남산의 생태학적 식생관리 방안. 경주연구 11:13-30.
- 정태영․박철하․윤희빈․이귀용․안찬기․이경수․김경태․이우성․유주한. 2007. 충청북도 청주시 것대산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5):451- 460.
- 조태동. 2004. 보전적 측면에서 바라본 한국과 일본의 국립공원제도 비교. 한국환경과학회지 13(10):871-882.
- 최재영. 2002. 경주국립공원 남산지구 유적 주변의 식생보존 방안에 관한 연구. 건설환경연구 1(4):157-169.
- 환경부. 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환경부 보고서.
- 환경부. 2008.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선정을 위한 연구-3차년도-. 환경부 보고서.
- 환경부. 2009.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자료집. 환경부 보고서.
- http://www.nature.go.kr
- Huang, Y., K. Ji, Z. Jiang and G. Tang. 2008. Genetic structure of Buxus sinica var. parvifolia, a rare and endangered plant. Scientia Horticulturae 116:324-329. https://doi.org/10.1016/j.scienta.2008.01.001
- Marchand, P., and G. Houle. 2006. Spatial patterns of plant species richness along a forest edge:what are their determinan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23:113-124. https://doi.org/10.1016/j.foreco.2005.10.064
-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Berlin.
- Walck, J. L., J. M. Baskin and C. C. Baskin. 1999. Effects of competition from introduced plants on establishment, survival, growth and reproduction of the rare plant Solidago shortii (Asteraceae). Biological Conservation 88:213-219. https://doi.org/10.1016/S0006-3207(98)00097-4
Cited by
- 북한산국립공원 주요지역의 관속식물상 -북한산 둘레길, 진관내동 습지, 북한동 철거지를 대상으로- vol.15, pp.1, 2012, https://doi.org/10.13087/kosert.2012.15.1.035
- 경상남도 하동군 섬진강 하구주변의 관속식물상 vol.16, pp.2, 2011, https://doi.org/10.34272/forest.2012.16.2.005
- 창원시 주요지역의 식물상 및 보전관리방안 vol.15, pp.4, 2011, https://doi.org/10.13087/kosert.2012.15.4.023
- 가야산국립공원의 식물상과 보전방안 vol.16, pp.1, 2013, https://doi.org/10.13087/kosert.2013.16.1.109
- 장안산과 팔공산 구간(전북 장수)의 식물상 및 보전관리방안 vol.16, pp.1, 2011, https://doi.org/10.13087/kosert.2013.16.1.227
- 지리산 바래봉 철쭉속(Rhododendron) 복원지의 식물자원 기초연구 vol.17, pp.1, 2013, https://doi.org/10.34272/forest.2013.17.1.012
- 경주국립공원 탐방로의 훼손실태 분석 - 토함산, 남산, 단석산, 구미산 지구를 중심으로 - vol.41, pp.3, 2013, https://doi.org/10.9715/kila.2013.41.3.031
- RUSLE 모형을 이용한 경주국립공원의 토양침식 위험지역 추정 vol.27, pp.5, 2011, https://doi.org/10.13047/kjee.2013.27.5.614
-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Vegetation to Manage the Function of Forest Recreation in Bukhansan National Park vol.17, pp.4, 2011, https://doi.org/10.34272/forest.2013.17.4.017
- 제주 성읍민속마을의 귀화식물 분포현황 및 관리방안 vol.32, pp.1, 2011,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1.107
- 사찰림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이용한 식물생태지수 분석 vol.23, pp.4, 2014, https://doi.org/10.14249/eia.2014.23.4.251
- 전라북도 임실군 병아리꽃나무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vol.24, pp.4, 2015, https://doi.org/10.14249/eia.2015.24.4.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