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Operation Strategy by Multi-variate Regression of Deagu Arboretum Visitor's Satisfaction

대구수목원 이용객 만족모델을 통한 운영 방안 연구

  • Kang, Kee-Rae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강기래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Education on the environment and plants offered by arboretum for today's people not only contribute to foster a better natural environment in urban region but also provide visitors with decent refreshment environment and beyond. In the study, the author undertook the observation on usage behavior and satisfaction model of arboretum visitors expect and investigated the facilities and programs to be offered by arboretum in order to propose the opinion regarding the service. For observation size of variables i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variables is influencing satisfaction rankings walks the line of flow, the educational effect on the environment, cleanliness of the facility, visits pay, natural beauty, diversity of trees, accessibility and friendliness of staff, expansion of facilities in the arboretum and appeared as a complement. In case of visitor attribute, the residents living near the facility showed the highest visit frequency of more than 5 times, especially as part of taking a walk. This proves that the visit to arboretum is considered as part of everyday life, and thus a new program and walk path as well as movement route are needed to be developed for the visitors. In the question relating to the facilities and operation programs in Daegu Arboretum, particularly the requests by visitors, they responded that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event, beautiful natural scenery, refreshment and convenience facilities is the most critical issue. In addition, the management on withered trees and bare lands is an urgent issue as well. In this sense,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based upon the visitor behaviors and model of satisfaction are needed to deal with the adoption of diverse events and festivals joined by local residents, ombudsman program, environmental program development for students and teachers within the region, negligent bare lands and withered tree replacement, and cafeteria facility improvement and supplement as well as the bench marking of other facilities than arboretums located in other regions. These items are thought to be sufficiently dealt with by Daegu Arboretum having no more external resources. It is recognized that the visitor satisfaction begins from a minor thing, and a small difference determines a great satisfaction, and thus the software approach rather than hardware one is in need.

현대인들에게 수목원이 제공하는 환경과 식물에 대한 교육은 단순히 도시 속에서 자연환경을 조성하고 방문객들에게 휴양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대구수목원 방문객들의 이용만족도에 대한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목원에서 제공해야 할 시설과 프로그램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그에 따른 의견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변수의 크기를 관찰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에서 만족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의 순위는 산책로의 동선흐름, 환경에 대한 교육효과, 시설의 청결성, 입장료나 방문시의 비용, 자연경관, 수목종류의 다양성, 수목원의 접근성, 직원의 친절, 수목원 내의 편의시설의 확충과 보완으로 나타났다. 이용객의 성향은 인근의 거주자가 연간 5회 이상 이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용객들이 요구하는 대구수목원의 시설과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질문에서 문화행사와 이벤트, 아름다운 경관조성, 휴게 및 편의시설의 확충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죽은 수목과 나지에 대한 관리도 시급히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상과 같이 이용객의 만족도와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한 대구수목원의 운영관리전략은 지역민과 함께하는 이벤트와 축제, 옴부즈맨제도 도입, 관내 학생들과 교사들에 대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치된 나지와 죽은 수목의 교체, 매점 시설의 개선과 보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고 다른 수목원의 프로그램과 타 시설을 예시로 들어 운영전략을 제안 하였다. 이러한 사항은 대구수목원에서 외부의 자원을 투입하지 않고도 충분히 개발할 수 있는 운영관리의 내용이라고 생각된다. 이용객의 만족감은 사소한 것에서부터 시작되며 작은 차이가 큰 만족감을 결정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인 부분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오, 진상철, 오찬진. 2002. 완도난대림수목원 지역 붉가시나무림의 삼림군락구조 한국임학회지 91(6): 781-792.
  2. 김종선, 오도교, 김세빈. 2010. 한밭수목원 산책로에대한 이용객 평가:주용도-만족도(ISA)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9(3): 404-413.
  3. 나정화. 2000. Hemeroby 등급을 적용한 수목원조성 전후의 자연성평가 -대곡수목원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28(1): 62-69.
  4. 노형진. 2002. 한글 SPSS10.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 분석. 서울: 형설출판사.
  5. 배준규, 송기훈, 정문영. 2000. 천리포수목원 갉섬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니터링(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2): 109-117.
  6. 백동렬, 정용문, 변재상(2003) 충남금강수목원의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6(6): 14-24.
  7. 송종은, 송형섭. 2002. 자기안내식 환경해설판의 기능 효과 분석 - 홍릉수목원을 중심으로 -. 한국임학회지 91(6): 742-749.
  8. 이기철, 강기래. 2007. 자연휴양림 숙박시설만족도 모형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6): 78-86.
  9. 임양재, 조무연. 1977. 홍릉수목원의 개화기에 관햐여. 한국생태학회지 1(1,2): 17-43.
  10. 임연진. 2008. 국립수목원 학생,가족 여름 숲 캠프에 참가한 자녀들의 교육효과 변화와 가족의 캠프 만족도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2(3): 45-56.
  11. 임연진, 배준규, 주진순, 김현중. 2005. 국립수목원 방문객의 이용행태 및 만족도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2): 21-27.
  12. 홍성권, 김재현, 김용하, 김성진, 장호찬, 이석호, 태유리. 2010. 수목원 방문자들의 지각된 가치, 만족 및 재방문 의도간의 관계 한국임학회지 99(4): 517-527.
  13. 홍성권, 김재현, 정수정, 태유리. 2010. 선택실험법을 이용한 수목원의 경제가치 추정. 한국조경학회지 37(6): 1-11.
  14. 황재복, 심경구, 권용웅, 송석보, 이동창, 김순철. 2002. 수목원의 제초방법에 따른 잡초발생 양상 한국잡초학회지 22(4): 307-314.
  15. 허성수, 김종현, 한광현, 신언동, 강지민. 1999. 관광식물원(觀光植物園) 조성을(造成) 위한 식재수종의(植栽樹種) 선택과(選擇) 배치(配置) 및 운영에(運營) 관한 연구(硏究) 한국조경학회지 26(4): 3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