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Sprawl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2초

수도권 스프롤 양상의 시공간적 변화 : 공간구조 기반 접근 (Spatio-temporal Changes of Urban Sprawl Process in Seoul Metropolitan Area : Spatial Structure-based Approach)

  • 임수진;김감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28-642
    • /
    • 2016
  • 우리나라와 같이 가용 국토면적이 좁은 상황에서 도시의 급격한 외연적 팽창은 여러 도시 및 환경문제의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진다. 도시 스프롤로 인하여 발생하는 도시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그 양상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면적, 분포, 형태 등 공간구조 관점에서 수도권 스프롤 양상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관 분석 툴인 FRAGSTATS을 이용하였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말 이래 수도권의 스프롤은 지속적으로 심화되고 있으며, 그 경향은 1990년대 보다 분명하였다. 1990대에는 비지적 개발이, 2000년대에는 충진 개발이 상대적으로 강하였다. 둘째, 권역별로 보면, 스프롤 경향과 개발의 방식이 권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경관지수 측면에서 과밀억제권역의 스프롤 경향이 가장 강하지만 충진 개발이 우세한 반면, 성장관리권역1의 경우 1990년대는 비지적 개발이, 2000년대에는 충진 개발이 우세하였다. 성장관리권역2의 경우 1980년대 이후 비지적 개발이, 자연보전권역의 경우 스프롤의 수준이 가장 약하지만 점차 그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셋째, 수도권 스프롤 양상은 서울로부터의 거리와 방향에 따라 상이하였다. 1980년대 말에는 서울에 인접한 시군에서, 1990년대 말에는 서울 인접 시군과 남부지역에서, 2000년대 말에는 서울의 남부지역과 북부지역에서 스프롤 현상이 뚜렷하였다.

  • PDF

수도권 도시 스프롤 평가에 따른 도시성장관리 및 도시재생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ing Urban Sprawl and Its Policy Implications for Urban Growth Management and Urban Regeneration in Seoul Capital Region)

  • 전혜진;우명제
    • 지역연구
    • /
    • 제35권1호
    • /
    • pp.3-18
    • /
    • 2019
  • 도시 스프롤 현상은 녹지와 오픈스페이스의 잠식, 교통 혼잡 및 대기오염의 증가, 중심도시 쇠퇴의 촉진, 사회적 자본의 감소, 도시기반시설 비용에 대한 납세부담의 형평성 등 부정적 효과로 인해 비판을 받아왔다. 이 연구는 미국 대도시 지역에서 확인되는 도시 스프롤 특성과 다른 것으로 알려진 한국 수도 지역에서의 도시의 무질서한 확장을 측정한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이 교외지역의 저밀도 주택개발 확대로 중심도시의 쇠퇴 경험 여부를 조사한다. 인구밀도의 스프롤 지수, 인구 변화에 대한 도시화 지역의 변화 비율, 인구밀도 변화율 등 세 가지 척도를 채택하였으며, 도시 스프롤 현상을 측정하기 위해 GIS 지도와 서술적 분석을 사용하여 중심 도시의 쇠퇴와 교외지역의 개발 패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수도 지역이 중앙 도시의 쇠퇴와 교외지역의 단독주택의 증가로 미국식 스프롤형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정책 입안자들이 도시스프롤과 미국 대도시들이 겪고 있는 도시스프롤의 부정적 영향을 예방하기 위해 성장관리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Simulation of Urban Expansion Causing Farmland Loss and Sprawl Phenomena with Cellular Automata Technology

  • Kim Dae Sik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7호
    • /
    • pp.23-32
    • /
    • 2004
  • A spatial simulation model for rural and urban sprawl phenomena was developed with GIS and cellular automata techniques. The model finds out built-up areas invading toward rural areas required for development of existing urban area. Probability of land use change for optimizing the development area was determined using a land suitability analysis method interfaced with GIS methods, based on several criteria in terms of geographic and accessibility factors such as slope of land and distance from city center. Weighting values of the criteria were quantified by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For model applicability test, the parameters of criteria were calibrated based on the changes in time series land use data of the test city for 1986, 1996, and 2000, which were classified by remote sensing techniques. Simulated and observed areas in land use maps for city shape of 1996 showed good similarities with each other through a morphology verification method. The model enabled us to evaluate the spatial expansion phenomena of cities considering boundary conditions, and also to simulate land use planning for rural areas in urban fringe.

Urban sprawl and its impact on the land cover-a geospatial study

  • Jayakumar, S.;Enkhbaatar, Lkhagva;Heo, Joon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73-78
    • /
    • 2008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stimate the urban sprawl in a historical city of India using series of satellite data between 1968 and 2005(37 years) and GIS. The total area of the Tiruchirappalli city was 1991.96 ha during 1968 and it was expanded into 4335.98 ha(117.67%) during 2005. The average growth rate per year was 63.35 ha. This 117.67% growth was at the cost of agriculture land(97.81%) and water body(2.19%). The satellit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be good source of information for this kind of analysis and further studies are need to estimate the impact of this city expansion on agriculture yield and ground water.

  • PDF

Analysis on Urban Sprawl and Landcover Change Using TM, ETM+ and GIS

  • Xiao, Jieying;Ryutaro, Tateishi;Shen, Yanjun;Ge, Jingfeng;Liang, Yanqing;Chang, Chunpi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978-980
    • /
    • 2003
  • This study explores the temporal and spatial features near 67years (1934 ?2001) and landcover change in last 14 years (1987-2001) in Shijiazhuang, China, based on 67-year time series data edited from historical maps, TM and ETM+ imageries by integrating GIS and remote sensing method. An index named Annual Growth Rate (AGR) is used to analyze the spatial features of urban sprawl, and 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 method is utilized to detect the land cover types change. At last,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ization and factors is analyzed.

  • PDF

Land Use Feature Extraction and Sprawl Development Prediction from Quickbird Satellite Imagery Using Dempster-Shafer and Land Transformation Model

  • Saharkhiz, Maryam Adel;Pradhan, Biswajeet;Rizeei, Hossein Mojaddadi;Jung, Hyung-Sup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5-27
    • /
    • 2020
  • Accurate knowledge of land use/land cover (LULC) features and their relative changes over upon the time are essential for sustainable urban management. Urban sprawl growth has been always also a worldwide concern that needs to carefully monitor particularly in a developing country where unplanned building constriction has been expanding at a high rate. Recently, remotely sensed imageries with a very high spatial/spectral resolution and state of the art machine learning approaches sent the urban classification and growth monitoring to a higher level. In this research, we classified the Quickbird satellite imagery by object-based image analysis of Dempster-Shafer (OBIA-DS) for the years of 2002 and 2015 at Karbala-Iraq. The real LULC changes including, residential sprawl expansion, amongst these years, were identified via change detection procedure. In accordance with extracted features of LULC and detected trend of urban pattern, the future LULC dynamic was simulated by using land transformation model (LTM) in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GIS) platform. Both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stages were successfully validated using ground control points (GCPs) through accuracy assessment metric of Kappa coefficient that indicated 0.87 and 0.91 for 2002 and 2015 classification as well as 0.79 for prediction part. Detail results revealed a substantial growth in building over fifteen years that mostly replaced by agriculture and orchard field. The prediction scenario of LULC sprawl development for 2030 revealed a substantial decline in green and agriculture land as well as an extensive increment in build-up area especially at the countryside of the city without following the residential pattern standard. The proposed method helps urban decision-makers to identify the detail temporal-spatial growth pattern of highly populated cities like Karbala. Additio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a probable future map in order to design enough future social services and amenities for the local inhabitants.

국토계획법에 의한 농촌 토지 이용관리의 실효성 평가 (Effectiveness of Rural Land Use Control by the National Land Use and Planning Act)

  • 박시현;황한철;황연수
    • 농촌계획
    • /
    • 제18권3호
    • /
    • pp.77-89
    • /
    • 2012
  • In 2003, "The National Land Use and Planning Act" (NLUP Act) was enacted unifying two old laws; "The Urban Planning Act" enacted in 1962 and "The National Land Use and Management Act" enacted in 1972. One of main reasons of unifying two acts was to extend urban planning-based development systems to rural areas for preventing uncontrolled urban sprawl in rural areas and enhancing or settlling plan-based land use system in rural areas. This paper i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specific objectives: i) to critically review the contents of NLUP Act in terms of rational rural land use planning; ii) to evaluate plan-based land use practices in rural area by NLUP Act; iii) to appraise performance level for prevention against unplanned development activities in rural areas by NLUP Act.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we surveyed actural state of rural land use and development system by the new act in two case study areas. Ansung city in Gyeongi province as an urban sprawl region and Hamyang county in Gyeongnam Province as a remote rural area. Study results ascertained that the new act can not effectively control rural land use and not prevent over-use of agricultural land in the positive and effective ways because of followering three points.

지속가능한 콤팩트도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유럽, 미국, 일본의 도시, 사회, 거주 특징분석을 중심으로- (Basic Research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ompact Cit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City/ Society/Residence of Europe/USA/Japan-)

  • 백승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95-60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콤팩트 도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콤팩트 시티의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우선, 스프롤 현상의 문제는 오랫동안 인식되어 왔다. 도시 스프롤의 현상은 몇 개의 요인으로부터 초래되는데 도시 교외의 저렴한 토지를 비롯하여 이동수단의 진보, 재원조달의 용이함, 그리고 주택의 대량생산에 따른 부동산 개발업자의 증가 등이다. 이러한 도시 스프롤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색되고 있는 콤팩트 시티는 토지의 집약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에 의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전거이용 범위 확대, 주민 층의 다양화, 사회적 커뮤니티의 활성화 등을 가져올 수 있다. 이밖에 콤팩트 시티는 스프롤 현상의 억제를 지향하는데 많은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며, 직주근접에 따른 오염 감소, 도보 자전거 또는 대중교통의 이용이 가능하다. 즉, 지속가능한 콤팩트 도시는 주택, 상업, 업무 등의 각종 시설의 집중 개발을 통해 통합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트래픽 볼륨 감소를 통해 도시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한다.

도시성장경계가 도시 밀도와 도시 스프롤에 미치는 영향 : 비교 연구 (Impacts of Urban Growth Boundaries on Urban Density and Sprawl : A Comparative Approach)

  • 페티그로브 마가렛;황철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549-558
    • /
    • 2010
  • 본 연구는 특정 기간 동안 미국 대도시가 성장하는 패턴에 도시성장경계(UGB)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상대적 관점에서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통계분석을 통해 도시성장경계를 규정하고 있는 대도시권에서 거주지역밀도에 도시성장경계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도시성장의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 도시성장경계를 비교 분석하여 도시성장경계의 중요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성장 패턴이 도시성장경계를 규정하고 있는 도시와 이를 규정하지 않는 도시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도시성장경계가 갖는 유의성에도 불구하고 다른 요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점 역시 발견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가 설명하기 어려운 요인들이 복잡하게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연구자료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도시성장경계가 도시 스프롤을 억제하는데 어느 정도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 PDF

GIS-CA 기법을 이용한 도시확산 지역의 공간적 모의 (Spatial Simulation of Urban Expansion Area using GIS and CA Technologies)

  • 김대식;정하우
    • 농촌계획
    • /
    • 제10권4호
    • /
    • pp.9-18
    • /
    • 2004
  • The purpose or this study is to simulate spatially the urban expansion phenomena with a cellular automata (CA) technique using GIS. A study area, Suwon city, was selected for test of model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with the classified land-use maps of three data years: 1986, 1996, and 2000. The urbanized potential maps were generated with seven criteria of one geographic factor (slope of land), and six accessibility factors (time distances from city, national road, Seoul, station, and built-up boundary), considering their weighting values, which were optimized by WSM (weighted scenario method for intensity order) combined a ranking method and a AHP technique. The optimized weighting values at the urban expansion between 1986 and 1996 were applied to verify the CA model for the other expansion between 1996 and 2000. The results of model application showed that urban sprawl phenomena of the urban expansion toward rural area can be simulated spatially and temporally with several boundary conditions considering various scenarios for the criteria and parameters of the model. Ultimately,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reference data for land-use planning of urban fringe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