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f

검색결과 322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에서 국제 골프 토너먼트 규격에 맞는 빠른 그린 관리 방법 - 레이크사이드 컨트리 클럽을 사례로 - (Management to Prepare Fast Green Suitable for International Golf Tournament in Korea - A Case Study of the Lakeside Country Club -)

  • 장유비;김진관;박장혁;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6-7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tandard putting green management program to prepare fast green suitable for international golf tournaments, and to conform whether the reported green speed model can be applied to the real field situations. The west course of Lakeside Country Club was selected for the case study. This study was initiated on August 1st, 2001 and continued through October 4th, 2001.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ollowing the long-term schedule, 'penncross' creeping bentgrass turf was mowed at 5.0mm(37days), 4.5mm(8days), 4.0mm(4days), 3.5mm(2days), 3.2mm(2days), 3.0mm(2days), 2.8mm(2days) and the mowing direction was changed daily. Variation of mowing height was reduced to a minimum range. Core aerification with deep tines was applied 19 days prior to the first practice round. Dry sand maintenance was top-dressed 2 times at 1.5mm/$m^2$ on the 17th day and 1.0mm/$m^2$ on the 10th day. Minimum irrigation was applied to keep the turf alive. During the tournament preparation week, dew on the putting greens was removed by using a sponge roller. Following the dew removal, the greens were cut once each morning at a height of 2.8mm. The mower used was the 21 inch working behind mower equipped with a tournament bedknife and 11 reel blades. Following the mowing, the peens were rolled with a light-weight roller in one direction in the morning. Rolling was used as a finishing technique to ensure that the surface was as smooth as possible, and to provide true ball roll and maximum green speed. In conclusion these management practices satisfied the daily green stimpmeter readings required for USGA championship play. 2. During the period of tournament preparation, no damage was observed on the green, but scalping in green edge appeared in about 0.39% of the total area of 18 greens in the west course.

완효성비료의 모래식재지반에 있어서 질소용탈의 감소 (Slow Release Fertilizer Decreases Leaching Loss of Nitrogen in Sand-based Root Zone)

  • 첸웨이펭;왕웨이;퀴잉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7-182
    • /
    • 2007
  • 축구장의 식재지반이 모래로 조성될 경우 낮은 보비력과 높은 용탈율로 인해 시비관리의 조정이 필요하다. 본 실험의 목적은 PVC관을 이용한 경기장 유사모형 실험구에서 캔터키 블루그래스에 있어서 완효성비료의 생육 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잔디의 색깔, 균일도, 생육, 지상부 생체량과배출수의 질산의 유출량을 몇 가지 다른 생육상과 네 번의 유사 강우 시험 시 행하였다. 실험 결과 요소의 성분 유출량이 가장 높았고 공시 완효성비료는 가장 낮았다. 이 완효성 비료는 다른 공시 잔디비료에 비해 14일간, 요소보다는 28일간 잔디의 품질 면에서 비효가 지속되었다. 또한 이 완효성비료는 잔디의 웃자람과 잔디깎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질산태 질소의 유출에 있어서도 잔디의 조성 초반기에 50% 정도를 감소 시켰다.

잔디육묘 이식재배법에 관한 연구 : Ⅴ. 월년생 잡초의 특성 (Study on Transplanting Cultural Methods of Turf Seedling : V. Growth Characteristics of Biennial Weeds in Lawn)

  • 이명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3-127
    • /
    • 2009
  • 실생묘 이앙으로 새로이 조성된 잔디밭에 발생되는 월년생 잡초의 종류 및 그 방제를 위한 특성을 조사한바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발생잡초 종은 십자화과 및 국화과가 각각 29.4%이고, 석죽과 23.5%, 벼과 11.8%,꿀풀과 5.9%의 순위였다. 2. 발생 시기별로는 10월에 47.1%, 11월에 41.2%, 9월과 12월에 각각 5.9%를 나타내는 순위를 보인다. 3. 개화시기별로는 5월에 58.8%, 4월 23.5%, 3월 11.8%, 6월 5.9% 순위를 보였다. 4. 초장별로는 20-40 cm에 속하는 것이 47.1%, 20 cm 미만이 23.5%, 40-60 cm에 속하는 것이 17,6%, 60cm이상에 해당되는 것이 11.8%를 나타나고 있었다.

Viator vitreocola gen. et sp. nov. (Stylonematophyceae), a new red alga on drift glass debris in Oregon and Washington, USA

  • Hansen, Gayle I.;West, John A.;Yoon, Hwan Su;Goodman, Christopher D.;Goer, Susan Loiseaux-de;Zuccarello, Giuseppe C.
    • ALGAE
    • /
    • 제34권2호
    • /
    • pp.71-90
    • /
    • 2019
  • A new encrusting red alga was found growing abundantly on glass debris items that drifted ashore along the coasts of Oregon and Washington. These included discarded fluorescent tubes, incandescent light bulbs, capped liquor bottles, and ball-shaped fishing-net floats. Field collections and unialgal cultures of the alga revealed that it consisted of two morphological phases: a young loosely aggregated turf and a mature consolidated mucilaginous crust. The turf phase consisted of a basal layer of globose cells that produced erect, rarely branched, uniseriate to multiseriate filaments up to $500{\mu}m$ long with closely spaced cells lacking pit-plugs. These filaments expanded in size from their bases to their tips and released single cells as spores. At maturity, a second phase of growth occurred that produced a consolidated crust, up to $370{\mu}m$ thick. It consisted of a basal layer of small, tightly appressed ellipsoidal-to-elongate cells that generated a mucilaginous perithallial matrix containing a second type of filament with irregularly spaced cells often undergoing binary division. At the matrix surface, the original filaments continued to grow and release spores but often also eroded. Individual cells, examined using confocal microscopy and SYBR Green staining, were found to contain a central nucleus, a single highly lobed peripheral chloroplast without a pyrenoid, and numerous chloroplast nucleoids. Morphological data from field and culture isolates and molecular data (rbcL, psbA, and SSU) show that this alga is a new genus and species which we name Viator vitreocola, "a traveller on glass."

동해안 중부 대진연안의 해조 군집 계절 변화 (Seasonal Changes in the Marine Algal Community of the Daejin Coast, Mid-eastern Coast of Korea)

  • 한표일;노현수;박주면;박종원;김범식;이충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62-277
    • /
    • 2024
  • The mid-eastern coast of Korea is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cold and warm currents, which causes changes in th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marine organisms in response to fluctuations in the marine environment. To understand the seasonal changes in the seaweed community, we investigated its species composition, biomass, coverage, and frequency from November 2022 to August 2023. A total of 45 species (7 green, 18 brown, and 20 red algae) were found in the study area. In the intertidal zone, the number of species decreased from autumn to summer; the biomass peaked during winter (471.94 g wet weight m-2). Seaweed groups were the dominant functional groups, which were coarsely branched, filamentous, and sheet-like during autumn, winter, spring, and summer. The morpho-functional group was dominated by turf species. In the subtidal zone, the number of species increased during autumn to spring, whereas the biomass peaked during spring (655.27 g wet weight m-2). The functional group was dominated by coarsely branched species throughout all four seasons, whereas the morpho-functional group was dominated by canopy species. Consequently, changes in the biomass of brown and red algae are recognized as key drivers of seasonal changes in seaweed communities.

완효성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의 시비가 토양 중 질소함량 변화 및 켄터키블루그래스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pound Fertilizer Contained Slow Release Nitrogen on Turfgrass Growth in Kentucky bluegrasss and on Nitrogen Change in Root Zone)

  • 김영선;김택수;함선규;방수원;이창은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1-110
    • /
    • 2009
  • 본 연구는 완효성 질소 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의 시비가 켄터키블루그래스 생육과 토양 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고자 2007년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비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NF), 속효성질소복합비료(11-5-7)를 처리한 대조구(CF), MU 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를 처리한 MU 처리구(MU), IBDU 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를 처리한 IBDU 처리구(IBDU) 등 4개 처리를 난괴법으로 수행하였다. 시비 후 속효성질소성분과 완효성질소성분의 경과시간에 따른 토양 중 변화와 엽색지수와 엽록소함량과 같은 잔디품질과 잔디 생육량, 잔디밀도 등 잔디 생육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암모니아태 질소와 질산태질소는 모든 처리구에서 시비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나 총질소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질소질 비료 시비 후 30일까지는 속효성비료의 가용성 질소가 많았으나 시비 후 30일 이후에는 완효성 비료처리구에서 가용성 질소 비율이 증가하였다. 엽색지수와 엽록소함량을 NF와 비교한 결과, 엽색지수는 CF, MU 및 IBDU에서 각각 1.4%, 2.5%, 2.3% 증가하였고, 엽록소함량은 16%, 25%, 26% 증가하여 MU와 IBDU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잔디생육량과 잔디밀도 조사에서 잔디생육량은 CF, MU 및 IBDU가 NF보다 각각 31%, 62%, 46% 각각 높았고, 잔디밀도는 104%, 185%, 148% 증가하였으며, 속효성비료처리구(CF)보다 완효성비료처리구(MU, IBDU)에서 잔디생육량 및 잔디밀도가 증가했다. 본 결과들을 통해 완효성 질소 함유비료는 속효성 질소에 비해 토양 중 가용성 질소의 함량을 높여 질소비효기간을 연장시키고, 염색지수, 엽록소함량 및 잔디밀도를 향상시켜 잔디 생육에 효과적이었다.

잔디 엽병을 유발하는 잠재인자로서의 남조류(Blue-Green algae)에 대한 관찰보고 (Blue-green algae as a Potential agent Causing Turf Leaf Disease)

  • 박대섭;이형석;홍범석;최병만;전재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1-170
    • /
    • 2008
  • 본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 보고된 바 없는 조류에 의한 잔디 병 발생 가능성에 대한 연구로, 2008년 7월 경기지역 골프장내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식재된 티잉그라운드에서 흑갈색 얼룩 반점병을 일으킨 잎조직이 발견되면서 조류에 의한 잔디 병 발생 요인과 대책을 조사하였다. 1.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흑갈색 반점 염조직으로부터 다수의 남조류(blue-green algae)가 관찰되었고, 흑갈색 반점이 형성 부위의 엽몸, 엽귀, 그리고 엽집에서 남조류가 다수 발견되었으며, 이병조직 이외의 개체내 건전부위와 줄기에서도 남조류 파편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남조류는 Oscillatoria 계통이 많았다. 2. 잔디밭에서 남조류는 토양 내 뿌리나 지제부에서 관찰되는데, 이번 관찰시에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흑갈색 얼룩반점 병반부위인 상단 엽조직에서 남조류가 관찰되었다. 또한 이병조직 주위의 건전한 부위에서도 작은 파편형태의 남조류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현재까지 식물조직 내 남조류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없지만 조직 내에서 남조류의 이동 가능성도 있다. 3. 흑갈색 얼룩반점이 형성된 켄터키 블루그래스 뿐만 아니라 황화현상이 발생한 벤트그래스 퍼팅그린의 잔디 잎에서도 남조류가 관찰되었으므로, 향후 초종에 따른 조류의 영향에 대한 세부연구가 수행되어져 야 할 것이다. 4. 약제처리로 조류 억제와 흑갈색 얼룩 반점 경감효과를 가져왔는데 프로피코나졸이 가장 우수하였고 이프로디온과 아족시스트로 빈 순으로 조류 억제가 관찰되었다. 6. 특히 고온 다습한 여름철에 조류 방제가 어렵고 적절한 조류억제제를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조류에 대한 일반적 관리에 머무르기보다는 더 적극적인 방제 방안 및 사전 예방 관리를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6. 끝으로 향후 조류의 잔디 조직 내 이동 및 감염 경로를 규명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USGA 지반 및 약식지반에서 난지형과 한지형 잔디의 대취축적 비교 (Comparison of Thatch Accumulation in Warm-Season and Cool-Season Turfgrasses under USGA and Mono-layer Soil Systems)

  • 김경남;김병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29-136
    • /
    • 2010
  • 본 연구는 다층구조의 USGA 지반 및 단층구조의 약식지반에서 난지형 및 한지형 잔디의 대취축적 차이를 평가하고자 시작되었다. USGA 지반은 전체 45cm 깊이로 이루어진 구조로 식재층 30cm, 중간층 5cm, 배수층 10cm로 조성하였고, 약식지반은 전체가 30cm 깊이로 식재층으로만 조성된 지반이다. 공시 초종은 9종류(난지형 3, 한지형 6)의 처리구를 각 지반에 사용하였으며, 시험구 배치는 9종류의 처리구를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통계분석 시 처리구 평균간 유의성 검정은 Duncan의 다중범위검정으로 실시하였다. 잔디지반에 따라 대취축적 정도는 달랐으며 USGA 지반에서 대취층은 약식지반에 비해 9% 정도 높았다. 초종별 대취축적은 대체적으로 난지형 들잔디가 한지형 잔디에 비해 높았지만, 그 차이는 지반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한지형에 비해 난지형 들잔디의 대취층은 USGA 지반에서 34~87% 그리고 약식지반에서 16~75% 정도 더 높게 나타났다. 들잔디 품종간 차이는 USGA 지반 및 약식지반에서 모두 중지 품종이 각각 3.58cm 및 3.21cm로 대취축적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한지형 잔디 초종 간 차이를 보면 USGA 지반에서는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2.53cm로 가장 높았으며, 톨 훼스큐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는 각각 2.05cm 및 1.98cm로 나타났다. 약식지반에서도 한지형 잔디의 대취축적은 USGA 지반과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대취층이 가장 높았던 것은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지하경 생장(R-type)을 하기 때문에 주형생장(B-type)을 하는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및 톨 훼스큐 보다 왕성한 생장으로 인해 유기물 생성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라 판단되었다. 잔디그라운드에서 적정 수준의 대취는 내마모성 증가 및 쿠션효과 등의 이점이 있기 때문에 켄터키 블루그래스는 잔디품질, 환경적응력 및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선수 보호차원에서도 우수한 초종이라 판단되었다. 하지만, 잔디대취의 과다 축적 시 건조 피해, 환경스트레스 내성 저하, 병충해 피해 증가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어 적정 수준의 두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잔디관리 시 지반 및 초종에 따라 차별화 된 관리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래 토양에서 켄터키블루그라스, 퍼레니얼라이그라스, 톨훼스큐 및 한지형 혼합구 뗏장의 피복도, 균일도, 근계 형성력 및 잔디품질 비교 (Comparison of Establishment Vigor, Uniformity, Rooting Potential and Turf Qualtiy of Sods of Kentucky Bluegrass, Perennial Ryegrass, Tall Fescue and Cool-Season Grass Mixtures Grown in Sand Soil)

  • 김경남;박원규;남상용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29-146
    • /
    • 2003
  • 켄터키블루그라스, 퍼레니얼라이그라스, 톨훼스큐 및 한지형 혼합구의 뗏장실험 결과 파종 후 피복도, 균일도, 근계 형성력 및 잔디품질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종간 피복도 경향은 초기에는 발아속도의 영향을 받았지만, 후기에는 생장습성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다. 파종 후 6주까지는 발아속도가 가장 빠른 퍼레니얼라이그라스의 피복도가 가장 양호하였고, 톨훼스큐는 중간 정도, 그리고 발아속도가 느린 켄터키블루그라스는 가장 저조하였다. 하지만, 파종 후 7주정도 지나서는 퍼레니얼라이그라스나 톨훼스큐에 비해 켄터키블루그라스의 피복도 향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 조성 후기에 피복도 경향이 달라지게 된 것은 켄터키블루그라스의 경우 생육형이 R-type으로 발아 후 생장이 직립경과 지하경으로 둘 다 가능함으로 생장속도가 빨라지면서 잔디면 피복이 빠르게 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초기 피복도가 양호한 퍼레니얼라이그라스는 연약한 줄기조직으로 인해 병에 쉽게 걸려 밀도가 떨어졌고, 톨훼스큐는 저온에 약한 특성으로 인해 생장 속도가 저조해지면서 피복도가 떨어졌다. 3. 뗏장의 균일도가 가장 우수한 종류는 켄터키블루그라스였는데 이는 생육형이 R-type으로 지하경 포복으로 낮게 자라는 습성 및 질감이 고운 세엽 특성 때문이었다. 퍼레니얼라이그라스는 켄터키블루그라스와 톨훼스큐의 중간 정도였는데 이는 생육형이 B-type으로 생장이 직립경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줄기간의 초장 차이가 크게 나타나면서 균일도가 다소 떨어졌다. 그리고 단일 초종구 중 톨훼스큐의 균일도가 가장 불량하였는데 이는 생육형이 B-type으로 직립경으로 생장하고, 또한 질감이 거칠은 광엽 특성과 함께 신초의 전개 각도가 넓어 잔디면이 북더기 모양으로 나타나기 때문이었다. 혼합구 균일도는 색상, 밀도, 질감 및 생육형 등의 특성이 서로 다른 여러 초종이 혼합되었기 때문에 단일 초종 보다 낮았다. 따라서 균질의 품질을 기대 시 여러 종류의 초종을 혼합(mixture)하여 파종하는 것보다는 단일 초종을 사용 (blend)하는 것이 훨씬 더 바람직하다. 4. 또한, 혼합구의 경우 단일 처리구에 비해 신초 출현 시 경합이 강하게 나타났다. 혼합구에서 켄터키블루그라스의 신초 발생 속도는 켄터키블루그라스 100% 단일종으로만 식재한 것에 비해 30∼40% 정도 느렸고, 퍼레니얼라이그라스도 퍼레니얼라이그라스 100% 단일종류에 비해 20∼30%정도 늦었다. 따라서, 뗏장 재배시 여러 종류의 초종을 천편일률적으로 혼합하여 파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컨셉에 따라 적절하게 초종 및 품종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5. 뗏장의 뿌리 형성 능력은 퍼레니얼라이그라스가 가장 좋았고, 가장 저조한 초종은 켄터키블루그라스였다. 톨훼스큐는 켄터키블루그라스와 퍼레니얼라이그라스의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혼합구의 뗏장 형성 능력은 초종의 혼합비에 따라 뿌리 형성력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퍼레니얼라이그라스 혼합비율이 많을수록 뿌리 형성 능력은 증가하였다. 6. 뗏장 수확시 잔디 품질은 단일 초종구의 품질이 혼합구에 비해 양호하였는데 가장 우수한 초종은 켄터키블루그라스였고, 톨훼스큐는 켄터키블루그라스 다음으로 중간정도, 그리고 퍼레니얼라이그라스는 가장 저조하였다. 켄터키블루그라스는 균일한 잔디 면, 고밀도 및 예초 후 상태가 우수한 특성으로 품질이 양호하였고, 퍼레니얼라이그라스의 품질이 저조하였던 것은 초장이 길어 잔디 면이 누운 상태로 나타나 균일도 저하 및 예초 후 품질이 켄터키블루그라스나 톨훼스큐 보다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혼합구의 품질은 여러 종류가 혼합됨으로 인해 색상 및 밀도의 균일도가 떨어지고, 또한 예초 시 물결처럼 불균일하게 깎여 잔디 표면이 불량하였기 때문이었다. 7. 골프장이나 경기장 기본 설계 시 초기 피복도 및 뿌리 형성력이 양호한 특성만을 고려해서 퍼레니얼라이그라스위주로 결정하여 시공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우수한 잔디 품질을 원할 경우 퍼레니얼라이그라스보다는 켄터키블루그라스 위주의 파종이 더 적절하다고 사료되었다. 왜냐하면 조성 후 품질, 뿌리생육 및 환경 적응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잔디 적응력은 켄터키블루그라스가 가장 양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골프장이나 경기장 건설 시 초종 선택은 기후, 지형, 인프라, 식생 지반, 장비, 관리 수준, 관리예산 및 기술인력 등의 현장 분석 및 조성 후 잔디품질의 기대수준, 잔디사용정도 및 운영방향 등의 장기적인 컨셉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지형 잔디의 조성시기, 초종 혼합 비율이 잔디 피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dding and Seeding Time and Rate of Seed Mixture on the Establishment of Cool-Season Turfgrasses)

  • 심규열;김창수;이성호;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79-191
    • /
    • 2004
  • 피복율 가을 조성 시(2001. 9. 4)의 피복율은 롤잔디의 경우 KB100, KB80+PR20 처리구 모두 1.5개월(2001. 10. 20)이 경과하면 $100\%$의 피복율을 나타내었으며, 파종의 경우는 초종의 혼합비율에 따라 피복율이 차이를 보였는데 PR100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가장 높은 피복율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KB70+PR 30, KB80+PR20, KB100처리구 순으로 나타났다. 휴면기를 거친 후의 피복율은 PR100 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파종 후 7개월 (2002. 5. 5)만에 $100\%$ 피복되었다. KB100, KB80+PR20, KB70+PR30처리구들은 처리구간의 피복율에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공히 7.5개월(2002. 5. 20)만에 $100\%$ 피복율을 나타내었다. 봄 조성시(2002. 4. 11)의 조성속도는 모든 처리구가 가을 조성(2001. 9. 4)시 보다 빨랐다. 봄조성시의 피복율은 롤잔디의 경우 KB100, KB80+PR20 처리구 모두 조성 1개월(2002. 5.11) 후 1$100\%$ 피복율을 나타내었으며 파종의 경우는 $100\%$ 피복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PR100 처리구의 경우 3개월(2002. 7, 12)로 가장 빠른 조성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KB80+PR2O, KB70+PR30 처리구가 3.5개월(2002. 7. 26)이 소요되었으며 KB100 처리구는 4개월(2002. 8. 9)이 소요되었다. 봄 파종시기별 피복율 4월, 5월, 6월에 각각 파종하여 파종시기별, 초종혼합비율에 따른 한지형 잔디의 피복율을 조사한 결과, 파종시기에 따른 피복율은 모든 초종혼합비에서 4월 파종이 가장 높은 피복율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5월, 6월 순으로 나타났다. 4월 파종과 5월 파종간의 피복율 차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6월 파종은 4월, 5월에 비하여 피복율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초종혼합비 율에 따른 피복율은 4월 5월 파종의 경우는 Perennial ryegrass의 혼합비가 높을수록 피복율이 높았으나 6월 파종의 경우는 KB100, KB80 : PR20, KB70 : PR30, KB50 : PR5O의 혼합구는 Perennial ryegrass의 혼합비가 높을수록 피복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PR 100 구는 이들 혼합구보다 약간 높은 피복율을 보였다. 봄 파종시기별, 초종혼합 비율에 따른 개체수 2002년 4월 1일 파종 후 2002년 7월 5일(조성 후 95일)에 초종혼합비율에 따른 개체수 및 총직립 경수를 조사한 결과, KB100:PR0, KB80 :PR20, KB70:PR30, KB50:PR50, PR100:KB0 처리구의 $1m^2$ 당 개체 수는 각각 16,600개, 6,700개, 4,900개, 3,300개, 12,400개였으며 총직립경 수는 각각 33,200개, 22,800개, 18,000개, 15,000개, 62,000개였다. 개체 수는 KB100:PR0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PR100:KB0처리구였으며 혼합처리구의 경우는 Kentucky bluegrass 혼합비 율이 높을수록 높았다. 총직립경 수는 PR100:KB0 처리구가 KB100:PR0 처리구보다 오히려 높았으며 혼합 처리구의 경우는 개체수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혼합처리구의 경우 초종별 개체수의 비율은 KB80:PR20는 87:13, KB70:PR30는 78:22, KB50:PR50은 48:52의 비율로 나타났다. 조성시기의 기상과 피복율과의 상관관계 2001년 가을과 2002년 봄의 일일평균기온을 비교하여 보면 가을(9월, 10월, 11월) 3개월간의 일일평균기온은 $13.0^{\circ}C$였으며, 봄(4월, 5월, 6월) 3개월간의 일일평균기온은 $17.3^{\circ}C$로 봄철이 가을철 보다 $4.5^{\circ}C$ 높게 나타났다. 조성시기에 따른 한지형 잔디의 피복율 결과에서 봄철이 가을철보다 조성속도가 빠른 것은 일일평균 기온이 피복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의 하나로 작용하였다. 2001년 가을과 2002년 봄의 일조시간을 비교하여 보면 가을(9월, 10월, 11월) 3개월간의 평균일조시간은 277시간 이였으며, 봄(4월, 5월, 6월) 3개월간은 301.2시간으로 봄철의 일조시간이 가을철보다 월 94.2시간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봄철, 가을철의 강수량은 봄철이 95mm/월, 가을철이 27.3mm/월로 봄철이 가을철보다 약 3배정도 높게 나타났으나 강수량이 많은 봄철에 잔디피복율이 높은 점으로 보아 강수량이 많을수록 잔디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는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