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pterygium wilfordii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Tripterygium wilfordii (Celastraceae): A new generic and species record for the flora of Vietnam

  • HAI, Do Van;QUANG, Bui Hong;BACH, Tran The;BINH, Tran Duc;CHOUDHARY, Ritesh Kumar;LEE, Joongku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19-325
    • /
    • 2021
  • Tripterygium wilfordii Hook.f. (Celastraceae), collected from Phia Oac-Phia Den National Park of Vietnam, is reported here as a new generic and species record for the flora of Vietnam. The genus Tripterygium differs from other genera of Celastraceae by its samara fruits, which become three-winged at maturity, and a scandent shrub. Taxonomic notes, descriptions, line drawing and photographs are provided, together with short notes on the distribution, ecology and phenology of Tripterygium wilfordii Hook.f. (Celastraceae).

Establishment of Tripterygium wilfordii Hook. f. Hairy Root Culture and Optimization of Its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Triptolide and Wilforine

  • Zhu, Chuanshu;Miao, Guopeng;Guo, Jia;Huo, Yanbo;Zhang, Xing;Xie, Jiahua;Feng, Junta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6호
    • /
    • pp.823-834
    • /
    • 2014
  • In order to solve the shortage of natural Tripterygium wilfordii Hook. f. plant resource for the production of the important secondary metabolites triptolide and wilforine, hairy roots were induced from its root calli by Agrobacterium rhizogenes. Induced hairy roots not only could be maintained and grown well in hormone-free half-strength Murashige and Skoog medium but also could produce sufficient amounts of both triptolide and wilforine. Although hairy roots produced approximately 15% less triptolide than adventitious roots and 10% less wilforine than naturally grown roots, they could grow fast and could be a suitable system for producing both secondary metabolites compared with other tissues. Addition of $50{\mu}M$ methyl jasmonate (MeJA) could slightly affect hairy root growth, but dramatically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both triptolide and wilforine, whereas $50{\mu}M$ salicylic acid had no apparent effect on hairy root growth with slightly stimulatory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both secondary metabolites. Addition of precursor nicotinic acid, isoleucine, or aspartic acid at the concentration of $500{\mu}M$ had varying effects on hairy root growth, but none of them had stimulatory effects on triptolide production, and only the former two had slightly beneficial effects on wilforine production. The majority of triptolide produced was secreted into the medium, whereas most of the produced wilforine was retained inside of hairy roots. Our studies provide a promising way to produce triptolide and wilforine in T. wilfordii hairy root cultures combined with MeJA treatment.

韓國産 抗腫瘍性 資源의 Screening에 대하여(II) (Screening for Antitumor Efficacy fro the wild plants in Korea(II))

  • 이상래;윤의수;신수철;이상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2
    • /
    • 1993
  • Many plants, which collected from Korea, were applied to antitumor and cytotoxic screeing tests against sarcom 180 a ascitec in mice, V-79 KB and P388 cultured cells. The results are summarixed as follows:1) The total packed cell volum method has been used for the antineoplastic screening for from natural higher plants in Korea. By this method, we have found out that the root, leaf and stem of Tripterygiu, regelii Spragne & Taketa having strong antineoplastic activity and also Rumex Japonicus Houtt. Eragrositis ferru-ginea Beauv. and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er showed significant activity to anticancer tumor while cynanchum wilfordii Hemsley, and Rosa polyantha Sieb. et Zacc. showed slight activity to antitumor. 2) Among the 13 tested plants, the root and stem of Tripterygium regelii Spragne & Taketa and Amethystanthus excisus Nakai showed strong antitumor activity by the V79 cytotoxic cell screening test. 3) Twelve plants, which are glowing in mountainous area of Korea tested to anticancer activity. From the results, Eragrositis ferru-ginea Beauv., Angelica gigas Nakai, Geranium sibiricum L., Patrinia scabio-saefolia Fisher, Cynanchum wilfordii Hemsley, and Rubia akane Nakai have been proved to be anti-cancer plants by using P388 cell cultured method. 4) Tripterygiu, resgelii Spragne & Taketa, Eragrositis ferru-ginea Beauv., Patrinia scabio-saefoli Fisher, Cynanchum wilfordii Hemsley and Rasa polyantha Sieb. et Zacc., var. genuina Thunb. showed strong anti-tumor activity both total packed cell volume method and Cytotoxicity method.

  • PDF

Triptolide Suppresses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Induced by Toll-Like Receptor 3 and 4 Agonists

  • Gu, Gyo-Jeong;Eom, Sang-Hoon;Min, In Soon;Youn, Hyung-S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2-117
    • /
    • 2013
  • Toll-like receptors (TLRs) recognize 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PAMPs) and regulate the activation of innate immunity. All TLR signaling pathways culminate in the activation of NF-${\kappa}B$, leading to the induction of inflammatory gene products such as cyclooxygenase-2 (COX-2). Triptolide (TP), a natural component of Tripterygium wilfordii Hook. F, has been used as folk remedies to treat many chronic diseases for many years. In the present report, we present biochemical evidence that TP inhibits the NF-${\kappa}B$ activation induced by polyriboinosinic polyribocytidylic acid (Poly[I:C], TLR3 agonist) and lipopolysaccharide (LPS, TLR4 agonist). TP also inhibits COX-2 expression induced by Poly[I:C] and L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P can modulate the immune responses regulated by TLR3 and TLR4 signaling pathways.

트립톨라이드가 식이제한에 의한 수명연장과 노화관련 질환에 미치는 영향 (Triptolide Mimics the Effect of Dietary Restriction on Lifespan and Retards Age-related Diseases in Caenorhabditis elegans)

  • 백선미;박상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31-937
    • /
    • 2018
  • 뇌공등에 함유되어있는 트립톨라이드는 뛰어난 항염증, 항산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예쁜꼬마선충을 이용한 이전 연구에서 트립톨라이드의 섭취가 개체의 항스트레스 효능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시킴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트립톨라이드에 의한 수명연장에 관여하는 세포 내 기전과 트립톨라이드가 노화관련 질환인 당뇨병과 알츠하이머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트립톨라이드는 인슐린/IGF-1-like 신호전달 저하에 의한 수명연장 돌연변이인 age-1과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저하에 의한 수명연장 돌연변이인 clk-1의 수명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킨 반면, 식이제한 유도 돌연변이인 eat-2의 수명에는 유의적인 변화를 유도하지 못했다. 또한 박테리아 희석을 이용한 식이제한에 의해 연장된 수명을 추가적으로 더 연장시키지 못했다. 트립톨라이드 섭취는 고농도의 당 섭취에 의한 체내 독성과 사람 아밀로이드 베타 형질전환 유전자로 인한 체내 독성을 유의적으로 저하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은 트립톨라이드에 의한 수명연장이 식이제한에 의한 수명연장 기전과 중복되며, 트립톨라이드가 노화관련 질환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트립톨라이드는 식이제한 효능을 대체할 수 있는 식의약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미역줄나무 뿌리 추출물인 셀라스트롤의 비만관련 암증식 억제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Celastrol, A Quinine Methide Triterpene Extracted from the Perennial Vine Tripterygium wilfordii, on Obesity-related Cancers)

  • 박선미;문현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9-66
    • /
    • 2016
  • Celastrol은 미역줄나무의 뿌리에서 얻은 추출물로 오래전부터 관절염 및 자가면역 같은 염증반응 질병들을 치료하기 위하여 쓰여져 왔다. 이외에도 많은 연구들에서 celastrol이 신경보호, 항산화 및 알츠하이머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암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밝혀 졌다(Table 1).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생리학적, 생화학적 및 면역학적 관점에서 celastrol의 항암효과를 규명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다양한 관점에서 신호전달체계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Fig. 1). 특히, celastrol은 $NF-{\kappa}B$를 억제함으로서 암의 발달 및 전이를 저해함을 물론, 암의 치료에 동반되는 면역 반응을 조절 할 수 있다(Fig. 2). 또한 세포사멸과 관계된 유전자들을 활성화 시키고, 항세포사멸 유전자들을 억제시킴으로서 세포 주기를 조절한다. 유전자 조절 외에도 heat shock protein과 같은 단백질의 변조와 자가소화작용(autophagy)를 유도한다. 이처럼 celastrol의 다양한 효과는 암의 성공적 치료에 한발 더 가까워지게 만든다. 이외에도 celastrol의 항 비만 효과가 알려지면서 향후 비만 및 비만과 연계된 암 환자들이 가질 수 있는 부작용, 오남용 및 비용절감 측면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낼 것이라 예상 된다. Celastrol의 다양한 기작이 밝혀짐에도 불구 하고 직접적인 결합 부위에 대한 연구 결과는 아직 없으며, 임상적용 하기에 앞서 다양한 동물모델 in vivo 실험이 필요하다. 또한 임상치료 시도에 있어 안전성을 확보 하기 위해서는 celastrol의 단기간 및 장기간의 효과에 대한 깊은 연구가 요구된다.

항 백혈병작용에 관련된 천연물의 자료조사 (Review of Anti-Leukemia Effects from Medicinal Plants)

  • 배현옥;임창경;장선일;한동민;안원근;윤유식;전병훈;김원신;윤용갑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05-610
    • /
    • 2003
  • 인삼, 호장근, 상산 등에서 분리한 성분들이 HL60, HL-60, Jurkat, Molt-4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익모초의 Leonunrine, 대청엽의 Indirubin, 천문동의 Aspargus polysaccharideA.B.C.D, 백합의 Colchicnamile, 익모초의 Lenunrine, 산두근, 자초근 추출물이 여러유형의 백혈병 환자에 대한 백혈병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mouse의 P388, L1210, L615, L120, S-180 등에 항 백혈병 효과가 있는 것으로는 완화, 로회, 원지, 오수유, 파두, 뇌공등, 석산, 백출, 단삼, 산약, 목단피, 청대, 감초, 당귀에서 분리한 성분들이 있으며 백굴채, 마전자, 가시오가피, 천초 추출물들이 동물실험에서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천연물에서 분리한 성분이 항백혈병 작용이 있는것으로는 ginsenoside Ro, ginseonoside Rh2, Emodin, Yuanhuacine, Aleemodin, phorbocdiester, Triptolide, Homolycorine, Atractylol, Colchicnamile, Paeonol, 당귀다당체, Aspargus polysaccharideABCD, Indirubin, Leonunrine, Acinosohic acid, Trichosanthin, G2 132, Schizandrin, allicin, Indirubin, cmdiumlactone chuanxiongol, 18A glycyrrhetic acid, Kansuiphorin A, 13 oxyingenol Kansuiphorin B 등이 조사되었고, 추출물이 항 백혈병 작용이 있는 것으로는 원지, 오수유, 백굴채, 대황, 산두근, 마전자, 가시오가피, 천초 등이 조사되었다.

폐상피세포에서 Triptolide에 의한 NF-${\kappa}B$ 의존성 IL-8 유전자 전사활성 억제기전 (Triptolide-induced Transrepression of IL-8 NF-${\kappa}B$ in Lung Epithelial Cells)

  • 지영구;김윤섭;윤세영;김용호;최은경;박재석;김건열;채기남;곽상준;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1호
    • /
    • pp.52-66
    • /
    • 2001
  • 연구배경 : 폐상피세포가 능동적으로 IL-8을 분비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NF-${\kappa}B$는 IL-8 발현 조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전사인자이다. Triptolide는 최근 밝혀진 NF-${\kappa}B$ 억제제로서 중국한약제인 뇌공등 (Tripterygium Wilfordii)에서 추출된약제이다. 연자들은 새로운 NF-${\kappa}B$ 억제제인 triptolide가 폐상피세포에서 NF-${\kappa}B$ 의존성 IL-8 유전자의triptolide가 염증성 폐질환에서 새로운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폐상피세포로서 A549 사용하였고 triptolide는 미국의 Pharamagenesis(Palo Alto, CA)사로부터 제공받았다. NF-${\kappa}B$ 활성유도물질로는 IL-$1{\beta}$(R&D)와 PMA(Sigma)를 이용하였다. IL-8 유전자의 발현은 RT-PCR과 ELISA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NF-${\kappa}B$의존성 IL-8 유전자의 전사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는 IL-8 NF-${\kappa}B$ luciferase construct를 안정적으로 유전자주입한 A549 IL-8 NF-${\kappa}B$ luciferase 세포주를 제조해 사용하였고 NF-${\kappa}B$ DNA 결합은 electromobility shift assay(EMSA)를 이용하였다. p65 전사활성을 assay하기 위해서는 Gal4-p65 fusion protein expression system을 유전자주입과 luciferase assay를 통하여 시행하였다. Transcriptional coactivator의 역할을 규명 하가 위하여서는 CBP(CREB-binding protein)와 SRC-1(steroid receptor coactivator-1) 발현 벡터를 유전자 주입하고 luciferase assay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 Luciferase assay로 triptolide가 PMA와 IL-$1{\beta}$자극에 의한 IL-8 NF-${\kappa}B$ 활성을 의미있게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IL-8 ELISA와 RT-PCR로 triptolide가 PMA와 IL-$1{\beta}$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IL-8 발현을 각각 단백질과 mRNA 수준에서 억제함을 관찰하였다. Triptolide가 PMA와 IL-$1{\beta}$에 의한 IL-8 NF-${\kappa}B$의 전사활성을 억제시킨 반면 EMSA와 $I{\kappa}B{\alpha}$ Western blot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triptolide가 NF-${\kappa}B$ DNA 결합과 $I{\kappa}B{\alpha}$의 분해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전사활성 억제와 DNA 결합 간의 불일치의 원인으로서는 DNA 결합 이후에 발생하는 핵내 에서의 transactivation에 triptolide가 영향을 미치리라고 생각되어 p65 transactivation study를 Gal4-p65T A(p65의 transactivation domain) fusion protein 발현 시스템과 luciferase assay를 이용하여 시행한 결과 triptolide가 p65 transactivation을 억제함으로써 NF-${\kappa}B$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CBP나 SRC-1과 같은 coactivator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한 유전자주입 실험에서 triptolide에 의한 p65 transactivation 억제에 대해 CBP나 SRC-1의 과발현이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 : Triptolide는 폐상피세포에서 NF-${\kappa}B$ 의존성 IL-8 유전자의 전사활성을 억제하고 그 기전은 $I{\kappa}B{\alpha}$ 경로가 아닌 핵내에서의 p65 transactivation 억제에 의해 발생하며 이에는 CBP나 SRC-1과 같은 coactivator가 관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