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p distribution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3초

균형 통행분포모형연구 (Equilibrium trip distribution model)

  • 임용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59-166
    • /
    • 2010
  • 통행분포(trip distribution)에서는 첫 단계인 통행발생(trip generation)에서 구해진 통행 유출량(trip production)과 통행 유입량(trip attraction)을 연결시키는 작업이 행해진다. 즉 하나의 존에서 유출되는 통행량을 다른 존에 분포시키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통행분포모형에 사용되는 통행시간이나 비용 등의 통행저항들이 통행수요가 변함에 따라 함께 변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중력모형에서는 이를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즉, 목적지까지의 통행비용이 커지면 통행수요는 줄어들며, 반대로 통행비용이 적으면 통행수요가 커지는 것과 같은 관계가 존재하게 된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통행분포시 목적지간에 균형(equilibrium condition of trip distribution)이 존재함을 증명한다. 이를 위하여 대표적인 통행분포모형인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통행분포시 균형조건을 유도하며, 이런 균형조건을 만족시키는 통행분포를 구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은 간단한 예제를 통하여 평가하며, 통행분포시 균형상태의 해가 도출됨을 확인한다.

연쇄통행행태분석과 통행분포모형 (Trip-Chaining Behavior and Trip Distribution Model)

  • 김형진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1995년도 제27회 학술발표회
    • /
    • pp.58-82
    • /
    • 1995
  • This study providesd an empirical analysis of trip-chaining behavior and its application to transportation planning. In the empirical analysis, changes in trip-chaining patterns since 1970 have been examined and details of current trip-chaining behavior as they describe shopping trip-chaining behavior has changed. Individual trip-chaining has become longer and complex. It appears that the average number of trips per chains has substantially increased over the past 20 years. An increased number of trips in chains means fewer home-based trips. Changes in trip-chaining behavior have several consequences. Important consequences are for transportation and land-use planning. Up to now trips have been treated as if they are independent clusters of home-to-destination-to-home; this approach has not usually taken into account the trip-chaining behavior of individuals. this calls for a different approach to at least the trip generation and trip distribution part of transportation planning. In this study, application of trip-chaining behavior to trip distribution model formulation is proposed and its calibration results are presented.

  • PDF

통행량 분포모형의 적용 타당성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in Applying the Trip Distribution Model - in Kwangju City -)

  • 황의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43-50
    • /
    • 2004
  • 본 연구에서 교통수요 예측기법 중 통행량 분포기법의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 평가하고 모형에 내재되어 있는 매개변수의 특성변화를 연구하여 통행량 분포모형의 적용 타당성을 찾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행분포모형의 정립을 목적으로 광주시의 20개 대존 중에서 도심지역에 해당되는 9개 존을 중심으로 한 통행목적별, 수단별, 출발 도착통행량 모형을 정립하였다. 여기에서는 기준 년도를 1996년으로 하고 2001년까지의 통행량을 분석하고 2008년도까지의 통행분포량을 예측하였다.

  • PDF

통행분포/수단선택 통합모형 및 민감도분석 (Integrated Trip Distribution/Mode Choice Model and Sensitivity Analysis)

  • 임용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1-89
    • /
    • 2011
  • 통행분포(trip distribution)는 4단계 통행수요추정의 첫 단계인 통행발생(trip generation)에서 구해진 통행생성(trip production)과 통행 유인(trip attraction)을 연결시키는 작업이다. 즉 하나의 존에서 생성 또는 유인되는 통행량을 다른 존에 분포시키는 과정이다. 이에 반해, 통행수단선택(transport mode choice)은 통행자들이 어떤 교통수단을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그러나, 이들 통행분포단계와 통행수단선택단계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온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통행분포단계와 통행수단선택단계를 통합한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풀기 위한 알고리듬도 제시한다. 통합모형의 통행분포모형으로는 중력모형(gravity model)을 적용되며, 수단선택모형으로는 로짓모형(logit model)을 이용한다. 본 연구의 통합모형은 각 단계별로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추정단계가 하나의 모형 틀 안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져 좀 더 현실적이며, 통행비용의 불일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통합모형에서도 균형조건(equilibrium condition)이 존재함을 증명하며, 통합모형의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기존 모형과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A Genetic Algorithm for Trip Distribution and Traffic Assignment from Traffic Counts in a Stochastic User Equilibrium

  • Sung, Ki-Seok;Rakha, Hesham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15권1호
    • /
    • pp.51-69
    • /
    • 2009
  • A network model and a Genetic Algorithm (GA) is proposed to solve the simultaneous estimation of the trip distribution and traffic assignment from traffic counts in the congested networks in a logit-based Stochastic User Equilibrium (SUE). The model is formulated as a problem of minimizing a non-linear objective function with the linear constraints. In the model, the flow-conservation constraints are utilized to restrict the solution space and to force the link flows become consistent to the traffic counts. The objective of the model is to minimize the discrepancies between two sets of link flows. One is the set of link flows satisfying the constraints of flow-conservation, trip production from origin, trip attraction to destination and traffic counts at observed links. The other is the set of link flows those are estimated through the trip distribution and traffic assignment using the path flow estimator in the logit-based SUE. In the proposed GA, a chromosome is defined as a real vector representing a set of Origin-Destination Matrix (ODM), link flows and route-choice dispersion coefficient. Each chromosome is evaluated by the corresponding discrepancies. The population of the chromosome is evolved by the concurrent simplex crossover and random mutation. To maintain the feasibility of solutions, a bounded vector shipment technique is used during the crossover and mutation.

개인별 선택행위에서의 동력모형의 유효성 (Validity of Gravity Models for Individual Choies)

  • 음성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3-47
    • /
    • 1983
  • Within the conventional transportation planning process, "trip distribution" has a significant role to play. The most widely applied trip distribution model is the gravity model, for which Wilson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in 1967. The concept of the gravity model, however, still remains ambiguous if we analyze the "trip distribution" with a disaggregate data set. Thus, this paper hypothesizes that the gravity technique is still valid even with the disaggregate data set, by proving that the estimated coefficients of the gravity model, which is derived under the principle of entropy maximization, are identical with those of the multinomial logit model, which is derived under the principle of individual utility maximization.tility maximization.

  • PDF

차단기 트립코일 이상감지 장치 (A Trip Coil Fault Detection of Circuit Breaker)

  • 윤주혁;이종헌;박노식;이동희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61-68
    • /
    • 2011
  • The circuit breaker of power distribution board is essential part for the protection of electrical disaster from load short, trouble of power system. For the normal operation of circuit breaker, trip coil of the circuit breaker can cut the mechanical contact of circuit breaker from the detection of power system troubles.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and experimental results of trip coil fault detection system for the real time monitoring of the circuit breaker. The designed system is consisted by the trip coil fault detector which is connected to the each circuit breaker and remote monitoring unit. The trip coil fault detector can detect the impedance and operating voltage of the trip coil, and the detected values are compared with the normal state. And the remote monitoring unit can be connected to the 32 channels of trip coil fault detectors by serial communication. From the designed system, the fault and normal states of the trip coil can be remotely monitored in real time. The designed system is verified by the practical circuit breaker of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results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system.

통행분포패턴에 기초한 장래 O-D표 수렴계산방법 개발 (Development of a Trip Distribution Model by Iterative Method Based on Target Year's O-D Matrix)

  • 유영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3-150
    • /
    • 2005
  • 통행분포의 예측과정에서 장래 O-D표는 행의 합 및 열의 합이 통행발생 예측단계에서 예측된 존의 유출 통행량 및 유입 통행량에 근접해야 한다는 제약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수렴계산을 하게 된다. 기존 수렴계산 방법들은 통행분포 예측모형에 의해 예측된 존간 통행분포량이 수렴계산과정에서 상당히 달라질 수 있고, 그 결과로, 예측된 존간 통행분포패터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새로운 수렴계산방법을 개발하였다. 기존 수렴계산 방법들이 O-D표의 행의 합과 유출 통행량, 그리고 열의 합과 유입통행량을 근접시키기 위하여 비율로써 행과 열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면서 수렴계산을 행하는 것과 달리, 개발된 방법은 총 통행량을 기준으로 유출통행량, 유입통행량과의 차를 가중평균으로써 최소화시키는 수렴계산 특성을 갖는다. 개발된 수렴계산 방법을 38개 존의 실제 O-D표를 이용하여 현재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어온 프레타법 및 퍼니스법과 비교, 검증하였으며, 검증결과 개발된 방법은 제약조건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통행분포 예측모형으로부터 예측된 존간 통행분포량과의 차가 다른 방법에 비해 최소화 되어 유용한 거승로 증명되었다.

중죤단위와 중력모형을 이용한 택지개발사업의 통행분포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ecasting Trip Distribution of Land Development Project Using Middle Zone Size And Gravity Model)

  • 정창용;손의영;김도경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9-28
    • /
    • 2009
  • 새로운 대규모의 택지개발사업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유발되는 교통량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정규모의 교통시설이 건설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확한 유발교통량의 예측이 이루어져야 한다. 유발교통량은 통행발생과 통행분포 단계를 통해 추정되는데 통행발생 단계에서는 택지개발사업 내의 시설별 교통유발원단위를 이용함으로써 자세한 발생량의 예측이 가능하다. 반면에 통행분포 단계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사업이 위치하는 지역의 사업시행전 통행분포 비율이 시행된 후에도 같다고 가정하는 방법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해당지역의 공간적 범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범위설정에 있어 분석가의 주관적인 의견이 반영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당지역의 공간적 범위를 대죤, 중죤, 소죤 단위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통해 위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통행발생량의 분포를 파악할수 있는 중죤 단위의 통행분포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중죤 단위의 통행분포도 실제 통행분포와 비교하면 어느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중죤 단위의 통행분포에서 중죤과 택지개발사업의 위치 차이를 유출제약중력모형(Production - constrained gravity model)으로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보정의 효과는 평균제곱오차(Mean Squared Error)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은 수집이 용이한 자료만으로 분석이 가능하면서도 정확한 통행분포의 예측이 가능하여 향후 택지개발사업의 통행분포 예측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접근성 변수를 반영한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 개발 (Development of Estimation Model of Trip Generation Model and Trip Distribution Model Reflecting Coefficient of Accessibility)

  • 전용현;노정현;장준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76-584
    • /
    • 2017
  • 교통수요 예측 결과는 교통계획 및 운영과 같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매우 주요하게 작용되고 있다. 교통수요 예측 시 적용되는 기존 교통수요 예측 4단계 모형은 지정된 기점과 종점 간의 통행만을 대상으로 하며 모형의 특성상 접근성 향상에 따라 유발되는 수요는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모형의 한계를 보완하고 모형의 추정력 및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접근성을 반영한 전국 지역 간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접근성을 반영한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 정산 결과, 접근성 계수의 부호는 양(+)의 값으로 추정되었다. 통행목적 중 업무통행은 타 목적통행에 비해 외부요소의 제약에 가장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통행은 통행비용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산된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모형을 관측자료 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한 결과, 접근성을 반영한 모형의 가중평균(weighted average) 오차율(%), RMSE(Root Mean Square Error), 총 오차량(total error)등이 기존 모형에 비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모형의 추정력 및 신뢰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