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shipment port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6초

우리나라 항만의 환적기능 강화를 위한 포트얼라이언스 전략 (Port Alliance Strategy to Promote the Transshipment Function of Korea Ports)

  • 이성우;최용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45-553
    • /
    • 2007
  •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변화로 인해 우리나라 주요 항만은 새로운 전략의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무역 패턴의 변화로 인해 중국, 일본,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의 경제적 성장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동북아에 집중되는 항만 물동량을 흡수하기 위해 우리나라 중심 항만들의 환적기능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동북아 포트얼라이언스를 활용한 환적기능 강화는 변화하는 무역환경에서 우리 중심항만들이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항과 광양항 같은 우리나라 주요 항만들의 환적기능을 촉진하기 위한 포트얼라이언스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두 주요 항만의 물류비즈니스 모델 수립을 위해 동북아 포트얼라이언스의 방향과 중국과 일본의 후보 항만들을 제시하였다.

중심 항만 기능을 활용한 불산항의 환적 컨테이너 유형 분석 (Analysis of Transshipment Type of Busan Port Utilizing Regional Hub Port Function)

  • 양원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7-204
    • /
    • 2007
  • 1999년부터 2002년까지 4년간 부산항 환적 컨테이너의 연평균 증가율은 34%를 상회하는 고속 성장을 하였다. 하지만 2003년부터 2006년까지의 4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7%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더구나 2006년에는 0.6% 성장에 그쳐 그 동안 부산항 물동량 증가에 견인차 역할을 해오던 환적 컨테이너의 지속적인 성장이 관심사항으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부산항 환적 컨테이너의 4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과 일본 항만의 환경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북중국 주요 3개 항만에 대한 대형 선사들의 직 기항 증가와 상해의 심수항 개장은 부산항의 환적 컨테이너 유치에 심각한 타격을 가하고 있다. 일본 역시 항만 경쟁력을 높여 자국화물을 지키기 위해서 슈퍼 중추 항만 구상을 실현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항의 항로 교차형 및 중심 분산형의 환적 유형 및 처리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환적 컨테이너를 지속적으로 유치할 수 있는 정책적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즉, 대형 선사들이 부산항을 환적 거점항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전용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 등이 바로 그것이다.

ARIMA와 VAR·VEC 모형에 의한 부산항 물동량 예측과 관련성연구 (Study on the Forecasting and Relationship of Busan Cargo by ARIMA and VAR·VEC)

  • 이성윤;안기명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4-52
    • /
    • 2020
  • 세계적인 장기경기침체 속에서 보다 정확한 물동량 예측은 항만정책 수행에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수출입화물과 환적화물)을 단변량 모형인 ARIMA 뿐만 아니라 인과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제규모(한국, 중국, 미국의 국내총생산), 금리수준 그리고 경기변동을 고려한 벡터자기회귀모형과 벡터오차수정모형을 활용하여 추정하고 비교하였다. 측정자료는 2014년 1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월별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이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수출입물동량 시계열은 비교적 안정적(stationary)이어서 VAR에 의해 추정하였고 환적화물은 불안정적(non-stationary)하지만, 경제규모, 금리 및 경기변동과 공적분(장기적인 균형관계)를 띠고 있어 VEC모형으로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안정적인 수출입화물 추정에서는 단변량 모형인 ARIMA가 우수하고 추세가 있는 환적화물은 다변량모형인 VEC모형이 보다 예측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수출입화물은 우리나라 경제규모와 관련이 있고, 환적화물은 중국과 미국 경제규모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중국 경제규모가 미국에 비하여 더 밀접하게 나타나고 있어 환적화물 증대전략에 시사점을 주고 있다.

물류수송의 환적저항에 따른 수단선택 행태 변화 - 양회 중심으로 (study on the resistance of the transshipment of transport logistics according to the mode choice - focus of cement)

  • 이원태;김성은;김시곤;정성봉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15-1622
    • /
    • 2010
  •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interest from the aspects of transshipment and connection betwee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Not only for passengers but also for freight transportation as the need for transportation efficiency is growing while the importance of logistic railway transportation is emerging. The domestic freight transportation is carried out by roads, railroads, ships, and port. However, as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except road, is impossible for Door to Door Service, multimodal transportation accompanied by road transportation is carried out. Here, even though 'transshipment' occurs, because of the lack of basic data regarding this, it is difficult to reflect it in the demand forecasting. With respect to the Korean freight O-D, it was very difficult to have equivalent comparison on the competitiveness and availability of transportation services between the point of departure and the final destin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study of implementation of logit model considering the time and cost of transshipment of multimodal transportation and the transshipment resistance value upon selecting means of freight transportation on multimodal transportation was comparatively insufficient. This study consisted of questionnaire targeting shippers, and based on this, transshipment resistance value was calculated by deriving utility function. By doing so, I intend to examine the effect 'transshipment' has on selecting the means of transportation occurring from freight transportation.

  • PDF

부산항 환적컨테이너의 바지선 운송 타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Feasibility of Busan Container Transshipment by Barge service)

  • 조부래;최만기;신용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97-404
    • /
    • 2010
  • 현재 부산 북항과 부산 신항간의 컨테이너 환적화물의 대부분은 육상을 통하여 운송되고 있으며, 일부 환적화물은 바지선(barge)을 통하여 해상으로 운송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녹색물류의 관점에서 부산 북항과 신항간의 환적 컨테이너의 바지선 운송수요가 증가될 것을 예상하여, 바지선 운송의 타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부산항 환적물동량의 북항과 신항간 바지선 운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연간 수익성을 예측함으로써 북항과 신항 간의 컨테이너 물동량의 바지선 운송 사업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부강과 신항간의 환적 물동량 변동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환적 운송물동량의 50%, 60%, 80%, 100% 운송의 경우와 바지선 월간 항차수 25회를 가정하여, 시나리오별 효과를 예측하였다. 바지선 운송사업은 북항과 신항 간의 TEU당 운임과 항차수에 따라 당기순이익이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바지선 운송 사업의 당기순이익이 흑자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예상되는 최저 환적물동량이 확보되어야 하고 TEU 당 최저운임이 결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녹색물류가 강화되는 시점에서 부산 북항과 신항간 환적 컨테이너의 바지선 운송 필요성을 제안하여 환경오염과 도시교통 체증 등의 사회적 비용감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완충지역을 활용한 타부두 환적 컨테이너 운송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ter-Terminal Transportation Using Buffer Space)

  • 박형준;신재영;최양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314-324
    • /
    • 2021
  • 환적화물 유치를 위해 전 세계 항만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중국의 해운부문 카보타지 정책 해제, 안전운임제시행 등 국내 항만의 환적화물 물동량 이탈이 우려되는 상황들이 발생하고 있다. 운영적 측면에서도 터미널별 환적 물동량의 불균형, 특정 시간대에 집중된 차량 등으로 인해 터미널 혼잡 및 차량 대기시간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타부두 환적운송 시스템으로 인해 발생하는 차량 대기시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완충지역을 활용한 타부두 환적 컨테이너 운송 방식을 제안하고 문제에 대한 혼합정수계획 모형을 제시하였다. 부산 신항 데이터에 기반한 터미널 혼잡 패턴과 터미널간 운송 차량 반출입 패턴을 적용하여 다양한 작업량, 가용량 변동폭에 대해 완충지역 활용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Transshipment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by Analyzing Factors Affecting Transshipment Competitiveness

  • Park, Ho-Chul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238-251
    • /
    • 2021
  • It is understood that carriers evaluate several features of ports when fixing the T/S port. Those features can be enumerated as Geographic condition of port, Service network with overseas ports, Level of port productivity, Port infrastructure, Port services level, Port Authority's Policy direction mand Cost competitivenes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1) determine if those factors could affect the T/S competitiveness of the port; and 2) to evaluate how Busan port conforms to those determinants factors in such extent. According to results of the analysis after surveying National global carrier, Intra-Asia carriers, Global overseas carriers, Terminal operators, and Busan Port Authority known to be highly influential samples, all factors were proven to be factors affecting the T/S competitiveness of the port. Meanwhile, in the analysis through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ology about the order of weight among those factors, Cost competitiveness was answ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On the other hand, in the analysis to find the situation if Busan port conforms to those factors, Busan port was proven to satisfy those conditions to a moderate extent. In the analysis about the order of strength among those factors, Busan port was answered to have the highest strength in the geographic condition. However, it showed the bottom level of strength in the Cost competitiveness which was answ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samples for determining the T/S competitiveness of the port. This indicates that Government and Port Authority of Busan have to concentrate policy capabilities on the improvement of cost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to enhance the T/S competitiveness. In this paper, four policy recommendations are given : Integration of Busan port operation into New port, Combining multiple operators into one or a few, Attracting Global mega carriers as the New port terminal operators, and Continuous Infrastructure expansion.

환적화물 유치를 위한 동북아 항만간 경쟁에 게임이론의 응용 (On the Application of Game Theory to the Competition among Major Ports in NE Asia for T/S Cargos)

  • 한욱;박계각;안태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61-266
    • /
    • 2012
  • 동북아시아 경제의 급성장으로 인한 지역 물동량 및 해운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서 부산항과 상해항은 동북아 물류 중심 허브가 되기 위하여 항만개발 및 항만 경쟁력을 강화해 왔으며, 최근에는 환적 컨테이너 화물 유치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 주요 컨테이너 항만중 경쟁관계에 있는 부산항과 상해항을 대상으로 이 두 항만이 피더항의 환적화물을 유치하기 위한 경쟁의 게임모형을 수립하여 경쟁상황을 분석하였다.

전용 피더 서비스 연계를 통한 Grand Alliance 컨테이너 서비스 항로의 운영 개선에 관한 사례 연구: '극동-북미서안' 컨테이너 서비스 항로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a Way of Improving the Grand Alliance Container Service Route by Incorporating Dedicated Feeders - Focusing on 'Far East-West Coast of North America' Route -)

  • 김우진;신정훈;장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09-418
    • /
    • 2012
  • 컨테이너 선사들은 세계경제의 불황과 고유가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선박운영비용을 낮추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들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Grand Alliance는 극동 북미서안 서비스인 CCX와 극동 북미동안 서비스인 NCE에 서비스별 선박추가 투입대신에 Dedicated Feeder 투입을 하기로 결정하였다. 즉, 기간항로의 선박이 북중국항만에 기항하지 않고 환적항인 부산항에서 Feeder선을 통하여 환적 운송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용피더 서비스 도입을 통한 환적의 경제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Grand Alliance 컨테이너 서비스의 실제 운영 자료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전략을 통해 Grand Alliance의 'NCE, 'CCX'항로는 기간항로에 투입되는 선박의 감속운항이 가능하게 되어 선박 운영비의 절감 효과를 보이고 있다.

고객 세분화에 따른 항만 선호도 비교분석 (The Estimating of Port Preference according to Customer′s Segmentation)

  • 허윤수;김율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3-19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항만의 주요고객인 선사를 대상으로, 국외선사와 국내선사로 세분화하여 속성의 중요도와 항만 선호도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컨조인트 분석 결과 국내선사와 국외선사 간의 항만선호도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기항지와 환적항에서 동시에 나타났다. 국외선사들은 환적항으로서 상하이항을 가장 높게 평가했지만, 국내선사들은 부산항을 상하이항보다 높게 평가했다. 또한, 기항지 선호도 비교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외 선사에 따라 항만 선호도가 다르기 때문에 집단별로 구분하여 평가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타항만에 비해 경쟁위위에 있는 부산항의 선호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목표(Target) 마케팅이 필요하며, 주요 목표(Target)는 항만의 주요 고객인 선사임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