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planting dates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6초

남부지방에 있어서 수도수량구성요소 및 수량해석I. 재배시기에 따른 주요형질 및 수량의 변이 (Analytical Studies on the Rice Yield Component and Yield in South Region of Korea I. Variation in the Rice Yield Component and Yield under the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 김용재;김규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9-217
    • /
    • 1984
  • 남부 다모작지대의 도작 증수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이앙시기를 5월 20일부터 7월 5일까지 15일 간격, 4시기로 하여 수량 형질 및 수량변이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수의 변이는 서광벼에서는 5월 20일 이앙구의 16.2매에 대하여 만식한 7월 5일 이앙구는 15.1매로 1.1매가 적었고 동진벼는 5월 20일 이앙구 14.8매에 대하여 7월 5일 이앙구는 13.1매로 1.7매가 적었다. 2. 지엽단축률은 작기가 늦어짐에 따라 커지는 경향이었다. 3. 작기 이동에 따른 출수일수의 변이는 서광벼는 5월 20일 이앙에서 약 75 일, 6월 5일은 68일, 6월 20일은 67일 정도이었으나, 7월 5일은 71일이 소요되었다. 4. 재배시기에 따른 최대수량은 서광벼는 5월 20일, 동진벼는 6월 20일 이앙이었고 수량생산기의 적산온도와의 관계는 서광벼는 1017$\pm$24$^{\circ}C$에서, 동진벼는 952$\pm$15$^{\circ}C$에서 600kg/10a 이상의 고위수량을 보였다. 5. 단위면적당 수수는 작기가 늦어짐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되는 부의 유의 상관관계(서광벼 r=-0.6768**, 동진벼 r=-0.5182**)가 인정되었다. 6. 작기 이동에 따른 1수 영화수는 서광벼는 작기가 늦어짐에 따라 많아졌고 동진벼는 작기가 빠르거나 늦은 경우 감소경향을 보였다.

  • PDF

버어리종담배 이식시기에 관한 연구 (Effect of Different Transplanting Date on Yield Quality of Burley Tobacco)

  • 김상범;한철수;이규상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1-32
    • /
    • 1979
  • 현재 全南北을 중심으로 한 버어리種담배産地는 4월 상순이 이식하는 改良말칭作에서부터 6월 하순에 이식하는 麥後作에 이르기 까지 移植時期가 매우 다양하다. 全州試驗場圃地에서 移植時期를 4월 10일부터 6월 20일까지 7時期로 區分하여 收量과 品質을 調査한 결과, 말칭作, 裸地作 모두 품질은 4월 10일에서 5월 10일까지 대등하게 나타났으며, 10a 收量 및 代金은 5월10일 移植區가 가장 양호하였다. 그러나 回歸上의 推定値로는 試驗結果보다 약간 빠른 5월 1 일 ∼ 5 日頃이 버어리種의 移植適期로 나타났다.

  • PDF

골풀 정식시기에 따른 주요형질 및 수량변이 (Effects of Transplanting Dates on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Stem Yield in Mat Rush(Juncus effusus L. var. decipiens, Bush))

  • 권병선;이정일;손응룡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17-322
    • /
    • 1987
  • 골풀 정식기에 따른 주요형질 및 수량변이를 구명하고자 오까야마 002, 사자나미, 세도 004의 3품종을 공시하여 정식거로 10월 25 일, 11월 5일, 11월 15 일, 11월 25 일, 익년 3월 5일로 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와 성숙기는 정식기가 지연됨에 따라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2. 경장은 10월 25일 정식에서 오까야마 002는 119cm, 세도004는 118cm, 사자나미는 117cm로 가장 길었고, 가장 늦은 정식구에서는 101∼103 cm 로 짧아졌다. 3. 주당경수는 10월 25 일 정식에서 오까야마 002는 143본, 세도 004는 138본, 사자나미는 135본으로 가장 많았고 정식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여 가장 늦은 정식구에서는 101∼106본이었다. 4. 생경수량(kg/10a)에서는 가장 정식기가 빨랐던 10월 25 일 정식이 가장 수량이 많아서 오까야마 002 3202, 세도 004 3727, 사자나미는 3784kg/10a로 많았고 가장 늦은 정식구에 서는 1785∼1972로 10월 25 일 정식의 반정도의 수량에 그쳤다. 5. 장린중, 중린중의 정식기별 수량성은 가장 빨랐던 10월 25 일 정식이 가장 높았고 정식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단린중에서는 10월 25 일 정식구와 익년 3월 5 일 정식구가 가장 높았다. 6. 총건경중(장린중, 중린중, 단린중)에서는 10월 25 일 정식에서 세도 004가 1324 kg/10a로 가장 많았고 오까야마 002가 1282kg/10a, 사자나미 1088kg의 순으로 많았으며 가장 늦은 정식구에서는 642∼724kg로 가장 낮았다. 7 수량형질간의 상관에서 수량은 경장 및 주당경수와 고도의 정의 상관이었고 분산분석에서 품종, 정식기, 품종과 정식기의 교호작용에서 대부분의 형질들이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냈다.

  • PDF

벼 이앙시기에 따른 화본과와 사초과 잡초의 발생 및 생육 차이 (Occurrence and Growth of Grass and Sedge Weeds in Paddy Fields with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 김형곤;심상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59-71
    • /
    • 2016
  • 논에서 이앙시기에 따른 화본과와 사초과 잡초의 발생 양상을 확인하고 벼에 대한 피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벼 이앙기를 4월 30일부터 6월 19일까지 10일 간격으로 달리하여 이앙 한 후 5월 20일부터 잡초발생과 벼의 생육을 확인하였다. 잡초들의 발생본수는 화본과와 사초과 잡초 모두 1차와 2차 이앙시기에 이앙한 시험구에서 발생본수가 많았으며, 크게 1, 2차 이앙구와 3, 4, 5, 6차 이앙시기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개체 당 건물중이 비교적 큰 피는 7월까지는 조기 이앙한 경우 건물중이 큰 값을 보였으나 8월 이후에는 만기 이앙한 시험구에서 건물중이 더 큰 값을 보였다. 반면 사초과 잡초는 지속적으로 빨리 이앙한 경우가 늦게 이앙한 경우보다 건물중이 높은 값을 보였다. 논의 써레질 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조기에 잡초가 발생하고 높은 잡초생장률을 보이며 잡초의 경합력이 커져 벼의 생육과 수량이 줄어들었다. 잡초생장율을 기준으로 볼 때 화본과는 사초과 잡초에 비해 출수기 이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온변리에 따른 다수성 품종 '다산벼'의 생육특성 분석 (Analysis of Growth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Air Temperature Variation in Dasanbyeo, a Indica/Japonica High Yielding Rice Cultivar)

  • 김덕수;신진철;류점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1-46
    • /
    • 2000
  • 본 시험은 다산벼를 공시하여 작물시험장 수도재배 포장에서 1998~1999년에 단위면적당 수수화보를 위하여 5월10일부터 10일 간격으로 6월 19일까지 5회 이앙을 하여 생육환경 변화에 따른 경수증가와 재식본수를 1, 3, 5본 및 7본으로 하였을 때 출수기의 변화를 구명하고 재배 기술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험하여 몇 가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한다. 1. 다산벼는 초기 생육기온이 높을수록 분얼에 유리하여 이앙 후 30일 경수가 5월 10일 이앙 9.7개 보다 6월 19일 이앙이 18.3개로 8.6개가 많았다. 2. 재식묘수에 따른 경수는 7묘까지 많을수록 많았으며, 수수는 분얼 경수가 많을수록 많은 경향이었다. 3. 출수기는 이앙기가 늦어질수록 6월 9일 까지는 출수일수가 단축되었으나 6월 19일 이앙은 늦어졌다. 주당묘수에 따른 변화는 y = 2.65$x^2$-31.36x+1957.5 ($R^2$=0.9795)관계로 변화하였다. 4. 경당 건물중은 평균기온의 변화에 따라 y = -0.1285$x^2$+6.6717x-83.423($R^2$=0.9223$^{**}$ ) 관계가 있고, 경당 건물중이 가장 높은 최적 기온은 26$^{\circ}C$이었다. 5. 수수와 수량과의 관계는 수수가 증가하면 수량은 증가하였고, 그 관계는 y=1.6292x+11.701($R^2$=0.6342$^{**}$ )이었다.

  • PDF

중북부 중간지대에서 극조생 벼 품종 '조운'의 기계이앙 시기에 따른 개화기 및 수량특성 변화 (Changes in Flowering Date and Yielding Characteristics Affected by Transplanting Date in the Early-maturing Rice Cultivar 'Joun' in the Mid-northern Inland of Korea)

  • 양운호;김명기;강신구;박정화;김숙진;최종서;양창인;백남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04-310
    • /
    • 2017
  • 중북부 중간지에서 극조생종 벼 품종 조운의 기계이앙 시기에 따른 출수기와 등숙기간 중 평균기온의 변화 및 그에 따른 수량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 철원 출장소 시험포장에서 이앙시기를 5월 5일부터 6월 19일까지 조절하여 3년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5월 5일 이앙에서 7월 16일이었고 6월 19일 이앙에서 8월 14일이었으며,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이앙~출수기의 일평균기온은 높았으나 기간이 짧아지고 적산 온도가 적어졌다. 출수 후 40일간 기상은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일평균기온이 낮아지고 일조시간은 많아졌다. 2. $m^2$당 이삭수는 이앙시기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은 수량구성요소로서 이앙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수당영화수는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쌀수량은 5월 20일 이앙에서 가장 많았고 6월 19일 이앙에서 가장 적었으며, 완전미 비율은 쌀수량과 반대의 경향을 보였는데, 완전미 수량은 쌀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이앙시기와 완전미 수량지수의 관계 분석 결과, 5월 18일 이앙에서 완전미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최고수량 대비 5%와 10%가 감소하는 이앙시기는 각각 6월 6일과 6월 15일로 분석되었다. 5. 완전미 최고수량을 보인 이앙시기의 출수기는 7월 21일이었고 이 때 출수 후 40일간 평균기온은 $24.6^{\circ}C$였으며, 최고수량 대비 5%와 10%가 감소하는 이앙시기의 출수기는 각각 8월 2일과 8월 11일로 이들 출수기에서 출수 후 40일간 평균기온은 각각 $23.2^{\circ}C$$21.7^{\circ}C$였다.

호남평야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적정 이앙시기 구명 (Optimum Transplanting Date for Production Quality Rice in Honam Plain Area)

  • 최원영;남정권;김상수;이준희;김재현;박홍규;백남현;최민규;김정곤;정광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435-441
    • /
    • 2005
  • 호남평야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적정 이앙시기를 구명하고자 2002${\~}$2004년까지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단위면적당 영화수는 생태형에 관계없이 5월 30일 이앙에서 가장 많았다. 나. 등숙비율은 삼천벼와 남평벼는 5월 30일${\~}$6월 9일 이앙에서 높았고 화성벼는 5월 30일 이후 이앙에서 높았다. 다. 완전미 수량은 생태형에 관계없이 6월 9일 이앙에서 가장 많았다. 라. 완전미 수량, 등숙비율, 미질 등을 고려한 이앙적기는 조생종과 중생종은 5월 30일${\~}$6월 19일, 중만생종은 5월 30일${\~}$6월 9일이었다.

Growing Degree Days를 이용한 수도품종의 생육기간 측정방법과 이용 (Utilization of Growing Degree Days as an Index of Growth Duration of Rice Varieties)

  • 이석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3-183
    • /
    • 1983
  • 동일벼 품종이라도 이앙기가 다르면 생육소요일수가 현저히 다르나 생육기간을 Growing degree days(GDD)로 표시하면 같은 벼 품종일 때 이앙기에 관계없이 생육기간동안 일정한 GDD로 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재래종, 일본도입종, 국내육성품종 등 과거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되어 왔던 일반계 16품종과 통일계 14품종을 공시하여 5월 10일부터 6월 29일까지 10일 간격으로 6회에 걸쳐 이앙한 후 이앙에서 출수, 출수에서 성숙까지 소요일수, 적산온도, GDD를 비교하였다. 일반계 품종은 모두 이앙이 늦어질수록 이앙에서 출수까지 일수가 감소하였으나 통일계 품종은 이앙이 늦어질수록 출수소요일수가 계속 감소하거나 6월 9일이나 6월 19일까지는 감소하나 그 이후 이앙시에는 감소하지 않거나 오히려 출수소요일수가 증가하였으며 이앙기에 따른 출수소요일수의 변이가 컸다. 이앙에서 출수까지 기간을 적산온도나 GDD로 표시하면 이앙기간에 출수소요기간의 변이가 소요일수로 나타낸 것 보다 적었으며 GDD간에는 일 최고온도와 최저온도를 더하여 2로 나눈 후 $10^{\circ}C$를 뺀 값을 누적한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품종별로는 통일계가 일반계 품종보다, 또 일반계 중에서는 조생종이 중만생종보다 이앙기간 이앙에서 출수까지 GDD의 변이가 적어 GDD의 이용에 더 적합하였다. 출수에서 성숙까지 일수는 출수가 늦어질수록 길어졌으나 그 연장정도는 일반계가 통일계보다 길었고 이앙기간에 등숙일수의 변이가 컸다. 최고온도가 $30^{\circ}C$보다 높을 때는 그 넘는 만큼의 온도를 3$0^{\circ}C$에서 빼서 최고온도를 대치하여 계산한 GDD와 적산온도로 계산한 생육기간이 최고온도를 보정하지 않고 계산한 GDD보다 등숙기간 GDD의 변이가 적었다. 등숙기간을 GDD로 표시하면 일반품종은 출수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보였으나 통일계는 이앙이 늦어질수록 등숙에 소요되는 GDD가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출수가 늦어지면 립중이 낮아지고 등숙일수가 크게 연장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