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death perception, terminal care attitude on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performance for cancer pati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illed by 526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Data were analyze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Death percep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rminal care attitude (r = .45, p < .001), while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terminal care performance. Additionally, terminal care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rminal care performance (r = .18, p < .001). The explanatory power of nurses' death perception and terminal care attitude toward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14%. Conclusions: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nurses' death perception and terminal care attitude ar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burnout on th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among care provid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126 care provid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Chungbuk and Kangwon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was positively affected by compassion satisfaction. Secondly, th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was negatively affected by compassion fatigue. Thirdly, th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was negatively affected by burnout.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strong empirical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burnout in explaining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among care provid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refore, strategies to decrease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and improve compassion satisfaction are needed to improve th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among care provid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본 연구는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90명이였으며 측정 도구는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 임종간호 태도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불안, 임종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 임종간호 태도정도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임종간호 태도는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죽음 불안, 죽음에 대한 태도, 소진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 불안, 임종 간호 스트레스, 죽음에 대한 태도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임종간호 태도의 32.7%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제적인 임종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d of this study was done to DNR attitude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among hospital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7 nurses working in hospital nurses in D and G cities. Data on DNR attitude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 between April 2015 and July 2015. Data analysis was done with SPSS 12.0 program and included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Result. DNR attitude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hown to have high levels (DNR attitude: M=32.64/60, SD=6.14).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hown to have poor levels (physical M=20.72/32, SD=3.77, psychological M=20.26/32, SD=3.85, spiritual M=9.62/24, SD=3.65). The attitude of the hospital nur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xperience of terminal care. The DNR attitude by nurses was positively correlation to physioloical terminal care performance(r=.137, p<.049)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terminal care performance( r=.016, p=.815) and spiritual terminal care performance showed no correlation(r=-.099, p=.157).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DNR attitude and to encourage terminal care performance among hospital nurse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fluences of attitude to death and resilience on terminal care attitude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230 nursing undergraduates from two nursing schools in Korea. The students responded to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at included demographics, attitude to death, resilience, and terminal care attitude. Results: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who had undertaken a clinical practicum had experienced the death of a patient during their clinical placements but had not yet received any support from their instructors or professionals, but also academic training on patients' death or terminal care. The mean score of terminal care of the students who had death-related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mong those who had not.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attitude to death, grade, and resilience wer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terminal care attitude. These explained 30.3% of their terminal care attitude. Conclusion: Death-related education is needed throughout the curriculum including not only death but also resilience to develop emotional competences. In this way, nursing undergraduates will be better prepared to cope positively and constructively with the suffering and death they encounter, and thus may minimize the distress they experience in the patients' dying process. It may also create a significant positive increase in their terminal care attitud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urses' attitude toward death and their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in long-term care hospitals (LCHs).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127 nurses from 6 Incheon LCH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ly and August, 2020.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collect data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erminal care stress, attitude toward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Nurses' terminal care stress was affected by their attitude toward death (𝛽=.30, p<.001) and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𝛽=.28, p=.002)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1.6%. Conclusion: Terminal care str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attitude toward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erefore, educating nurses in LCHs about death an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s essential to manage their terminal care stress effectively.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terminal care stress of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in terms of their death perception, attitude toward terminal care, and mental health.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collected data from 118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in one tertiary referral hospital and three general hospital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he Terminal Care Stress Assessment Tool, the View of Life and Death Scale, the Frommelt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Scale (FATCOD), and the Mental Health Assessment Tool.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rminal care stress and death perception (r=.31, p<.001). Th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terminal care stress of the participants included gender (β=.33, p<.001), religion (β=.24, p=.004), and death perception (β=.35, p<.001), and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was 23.1% (F=12.73, p<.001). Conclusion: To decrease terminal care stress among nurses, establishing the death perception of nurses based on value clarification about death may be necessary.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an intervention study examining the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terminal care stress among ICU nurses.
목적: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방법: G 광역시 일 종합병원에 종사하는 근무하는 238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종간호태도, 영적건강, 결혼유무, 총 임상경력 순이었으며,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이 좋을수록, 기혼일수록, 총 임상경력이 높을수록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은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대하여 52.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임종간호태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완화시키기 위해 임종간호태도와 영적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간호사의 생명윤리의식과 환자중심간호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국내 병원의 호스피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45명이다. 자료는 2018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수집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one way-ANOVA, Pearson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호스피스 전문간호사 자격증(β=.15, p=.031), 생명윤리의식(β=-.24, p=.003)과 환자중심간호(β=.36, p<.001)가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은 임종간호태도를 39.6%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호스피스간호사의 임종간호 향상을 위해서는 생명윤리의식을 포함한 환자중심간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tent to which nurses' death perceptions, death anxiety, and stress associated with terminal care affects their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Method : A total of 214 nurses were asked questions about characteristics, death perceptions, death anxiety, stress associated with end-of-life care, and terminal care attitude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Factors influencing terminal care attitudes in participants were positive meaning associated with death, respect for life, final education, end-of-life nursing education experiences, stress associated with end-of-life care, death anxiety, and position. These factors explained 38.7% of variance in participants' terminal care attitudes (F=20.18, p<.001). Conclusion : In order for nurse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erminal care, it is necessary to raise positive awareness about death and respect for lif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strengthen their capacity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