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eaching practicum

Search Result 9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수학과 수업실습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및 역할에 관한 교육실습생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the role and teaching guidance of cooperating teachers in mathematics teaching practicum)

  • 한혜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47-76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수학과 수업실습의 내실화를 위하여 수업실습 과정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및 역할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실습을 마친 34명의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고, 교육실습생들이 수업실습 기간 동안 작성한 교과지도 활동지 또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에 의하면, 예비교사들은 대체로 수업실습 과정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실태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담 및 교과지도 활동지 분석 결과에 의하면,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은 주로 수업의 반성 및 평가의 단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지도 내용으로는 교수-학습 방법 및 교수-학습 내용적인 측면에 대한 지도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수업실습 과정에서 실습지도교사는 교사교육자, 수업 참관자, 수업 협력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실습지도교사의 교사교육자 또는 수업 협력자로서의 역할이 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다.

  • PDF

학교현장실습을 통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수업능력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Ability through Teaching Practicum)

  • 심상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63-183
    • /
    • 2017
  • In this study we reveal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after the practicums of pre-service math teachers, in that, they changed contents of class and the way of explanation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and provide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In addition, they made more use of textbooks in their class instead of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 acquired before the practicums.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fore and after their practicums, neither in their review of lessons nor in their use of simple 'question and answer' strategies. In this regard, we suggest continuous researches be conducted in order to enhanc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ability, especially those which is hard to be acquir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ystematic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re required in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영아반 보육실습 체험에 대한 의미 (Meaning of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in Daycare Centers for Toddler)

  • 천혜정;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7-199
    • /
    • 2010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 보육실습에서 예비보육교사들이 어떠한 체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드러내어, 예비보육교사들의 영아반 보육실습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서울의 A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4명의 보육실습 체험을 8개월간 수집한 내러티브 연구이다. 예비보육교사들의 영아반 보육실습의 체험은 개인마다 다양하였으며 실습을 통하여 교사가 되어가는 것의 가치와 영아에 대한 이해, 영아보육에 대한 이해를 나타내고 있다. 영아반보육실습의 의미는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자기존재를 확인하고 교사로서 자신을 돌아보는 자기성찰의 태도를 통하여 자기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고, 가르치는 일에 행복함을 체험하는 과정이었다. 또한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은 영아들의 삶에 진정으로 마음을 다하여 함께 하는 돌봄의 자세임을 알아가고 있다.

초등학생이 경험하는 경력교사와 예비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Qualitative Study on PE Class of Experienced Teachers and Prospective Teachers as to Elementary Student Experience)

  • 이종목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678-691
    • /
    • 2016
  •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rospective teachers with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experience of students. To that end, the classes of prospective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were compared through the students with focus on PE class. Practicum is the first teaching experience of prospective teachers and there are many related studie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contributing to the reflective introspection of prospective teachers based on the experience of students. Thus, this study intends to promote their reflective introspection on their practicum, the first teaching experience. It wa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find the prospective teachers' class less helpful than the class of experienced teachers. The detaile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find that prospective teachers only focus on the textbook and materials they have prepared. Second, most students find that prospective teachers do not consider the level of students as they focus on the textbook only. Third, most students find the class of prospective students uninteresting. Fourth, most students find that prospective teachers are unable to help students acquire various functions easily. The findings show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find the prospective teachers' classes are inadequate. It implies that prospective teachers do not gain effective teaching skills at their universities (college of education). Prospective teachers should identify their areas of improvement based on their student experience.

예비보육교사들의 실습경험에 대한 이야기 -보육교사교육원을 중심으로- (The Storie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s : Focusing o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enters)

  • 임경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750-761
    • /
    • 2016
  • 본 연구는 보육실습을 마친 3급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실습에 대한 경험과 경험이 남긴 의미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3급 보육교사들의 효율적인 보육실습지도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소재 P 보육교사교육원과 S 보육교사교육원에서 교육받고 있는 16명을 대상으로 개인 면담을 실시한 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실습은 실습기관 선정의 어려움, 실습준비 부족, 교육과정과 현장의 연계 불일치, 실습의 스트레스, 영유아 지도의 어려움, 현장의 현실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실습의 경험이 남긴 의미는 보육교사로서 자신의 진로 결정 및 가치관을 정립하는데 영향을 끼쳤으며,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논의에서는 도출된 주제를 중심으로 보육실습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4년제 간호대학(과) 아동간호학 실습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Evaluation of Clinical Practicum for Child Health Nursing)

  • 박은숙;탁영란;강경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5-14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scribe and evaluate the educational status regarding clinical practicum for child health nursing to facilitate student's clinical compliance for the bachelor's degree in Korea. Methods: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and included data from 40 institutions among the 53 university nursing programs in Korea(75.5% response rate). Data were collected using mailed semi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content analysis was done. Results: Findings show that most institutions have common learning objectives for the clinical practicum; neonatal care, high risk infant care, hospitalized child care, and advanced nursing practice. The mode for theoretical credits in child health nursing was 5 to 6 and 3 to 4 credits for clinical practice. The practice settings were prepared to provide diverse experiences, including childcare centers, and community centers wit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Evaluation for learning outcomes included faculty and instructors. It was pointed out that updating evaluation based on student and faculty feedback is important for a comprehensive practicum evaluation. Conclusions: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a generalized curriculum for clinical practicum and for the expanding role of advanced nursing practice-, a need for diverse clinical settings for practice, and effective guidance and learning activities. It is significantly noted that the attitude and teaching methodologies of clinical instructor's are highly important to effective clinical learning outcomes.

  • PDF

교육실습에서 과학수업의 관찰과 개선을 위한 KTOP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의 활용 (Application of the KTOP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for Observing and Improving Science Teaching in Teaching Practicum)

  • 김수정;박종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61-97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KTOP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을 과학과 교육실습에 적용하여 예비교사들의 수업 개선을 위한 과정을 돕고자 하였다. 4명의 예비교사와 지도교사가 KTOP을 이용하여 수업을 관찰, 분석하고, 협의 과정을 통해 다음 수업을 개선하는 과정으로 교육실습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KTOP에 의한 수업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협의 활동을 하여 KTOP이 예비교사들의 수업 개선에 실제적인 안내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KTOP을 이용한 협의 활동이 다음 수업의 개선에도 도움을 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보다 더 효과적인 수업 개선을 위해서는 더 많은 반복적인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도 추론할 수 있었다. 교육실습과정에 대한 관찰과 면담, 설문을 통해 KTOP이 보다 더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교사는 KTOP 활용에 대한 확신을 갖고 학생 중심의 수업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고, KTOP의 항목수를 줄이고, KTOP의 양식을 좀 더 편리하게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학습이란 자기 주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갖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것도 추론할 수 있었다.

외국인 유학생의 보육실습 경험 분석: 어려움과 가치를 중심으로 (Analyzing the Child Care Practicum Experience of Foreign Students: Exploring Challenges and Benefits)

  • 강정원;국소영;박명금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39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foreign students in childcare practicum, with a specific focus on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and the values they derived from their practicum experiences. The aim was to gain insight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practicum support for thes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6 foreign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using snowball sampl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spanned from May 2021 to March 2023, during whic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Results: Foreign students faced challenges in securing practicum placements prior to the start of their program. Communication difficulties necessitated the use of interpreters to interact with children. Additionally, documenting information in a language other than their mother tongue posed a challenge. Consequently, there was a need for tailored training support to address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childcare practicum. Despite these challenges, the students reported rewarding and valuable experiences during their practicum. These experiences included discovering the teaching identity in Korea, learning about desirable practices in the field, recognizing and addressing personal shortcomings, and developing a sense of voc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fant education in their home countries. Conclusion/Implications: If we actively listen to and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their childcare practicum, they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excellent childcare teachers who can foster a harmonious and inclusive environment within our multicultural society.

예비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수준 분석 (An Analysis of the Levels of Prospective Teachers' Comm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 방정숙;선우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25-647
    • /
    • 2015
  • 예비교사가 수학 수업을 어떻게 이해하고 비평하는지는 수업전문성 개발의 기초가 되므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과정 중 현직교사의 시범 수업을 참관한 후 작성한 수업 비평을 토대로, 비평 수준 및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특히 비평에 포함된 수학 내용뿐만 아니라 주체, 견지, 근거, 대안을 토대로 비평 수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이 유의미하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비평 수준은 1수준(소감형), 2수준(점검형), 3수준(분석형) 중 대부분 2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평 수준틀에 대한 중다회귀분석결과 비평 수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견지(見地)였다. 한편 예비교사들의 비평을 통하여 교육실습 과정에서의 수업 참관이 수학 수업과 관련된 신념과 교사로서의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및 교육실습과 관련하여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도모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예비화학교사의 PCK 신장을 위한 교육실습 연계 교과목의 실러버스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Practicum-affiliated Coursework for Enhancement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CK)

  • 장효순;최병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313-323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화학교사의 PCK를 신장시키기 위하여 교육실습과 연계된 대학 강좌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교육실습 연계 대학 강좌의 실러버스와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교육실습을 나갈 화학교육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화학수업의 실제'란 강좌를 개설하여 개발한 교육과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이 수업이 이론과 실제를 연계 지어줌으로써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안목을 형성할 수 있게 하였으며 실습에 대한 실제적 준비를 할 수 있었고, 반성적 성찰을 가능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교수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다고 언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실습과 연계된 대학 교과목의 실습 전후 교육으로 교육실습 경험을 재구성함으로써 예비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