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child Relationship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2초

영아 보육교사의 상해예방을 위한 감독과 자기 효능감 및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s among Supervision Behaviors for Injury Prevention, Self-Efficacy, and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for Infants)

  • 김혜금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573-581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supervision behavio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for infant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childcare teachers' supervision behaviors affected self-efficacy and job stress and whether their self-efficacy acted as a mediating effects on job stress and supervisory behaviors. The participants were 292 childcare teachers for infa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instruments utilized were the parent supervision attributes scal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and teacher self-efficacy scale. The data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Baron & Kenny first proposed, was conduct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by the Sobe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care teachers' supervision behavio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eachers' self-efficacy, while the teachers' supervision behaviors and self-efficac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Second, job stress appeared to have a negative on supervision behaviors. Self-efficacy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upervision behavior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behaviors and job stress. The more self-efficacy the childcare teachers had, the more supervision behaviors they performed. The greater their self-efficacy, the more the childcare teachers were able to control job stress. Therefore, by enhancing the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their level of supervision behaviors should increase and their level of job stress should decrease.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 이미아;강영심;고민정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256-268
    • /
    • 2007
  •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Participants were 73 from both regular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were measured using the Teacher-Child Rating Scale. An important findings of this study described as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between boys and girls. Second, there were moder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competence between lower and higher grad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ho are higher grade had a significantly more social competence when compared with children who are lower grade. Bu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haviour problems between lower and higher grade. Third, there were moder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competence between lower and higher IQ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ho are higher IQ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ocial competence an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behaviour problems, when compared with children who are lower IQ. Forth, there were moder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competence between the regular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groups. Children who attended special education schools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ocial competence an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behaviour problems, when compared with children who attended regular schools. Fifth,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behaviour proble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aracteristics of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social competence intervention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보육교사의 상사무례경험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복지와 희망의 역할 (The Roles of Welfare and Hope Between Boss Incivility Experience and Flourishing of Childcare Teachers)

  • 김숙경;윤해연;안계림;서순민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95-104
    • /
    • 2022
  • 본 연구는 보육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상사무례경험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복지와 희망이 단순 및 이중 매개하는 지를 분석하여 플로리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는 오프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이중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사무례경험은 복지, 희망 및 플로리싱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복지, 희망 및 플로리싱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복지와 희망은 상사무례경험과 플로리싱의 관계에서 이중 매개역할을 하였다. 복지와 희망 두 매개변인은 무례경험이 플로리싱에 미치는 음(-)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상쇄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복지와 희망의 이중 매개역할을 이용하여 플로리싱을 증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Attitudes and Teaching Efficacy with Respect to Multicultural Education)

  • 김나림;권이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83-100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과 다문화교육 태도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이다. J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총 296명을 대상으로 Pang(2005)의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교사의 관점, Ponterotto와 동료들(1998)이 개발한 교사 다문화 태도 척도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 Survey: TMAS)를 옥장흠(2009)이 수정 보완한 다문화 교육에 대한 태도 척도, 최충옥과 모경환(2007)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에 대해 많은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은 '인간관계 강조'나 '배려중심'교육이 목표라고 인식하였다. 두 번째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다문화교육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다만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에서 교사의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정적 상관을 보여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문화교육에 대한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에 대한 태도, 교사교육에 대한 태도 모두 교수효능감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을 위한 다문화 현직교육과정의 필요성과 결부하여 논의되었다.

숲교육(숲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지식개념 연구 (A Study of Forest Education Concept Mapping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 이연선;견주연;이시은;이소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49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 내용과 수준을 분석하여 그들의 현 지식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유아교사 39명과 3,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60명, 총 99명을 대상으로 상위개념의 수, 내용요소에 따른 수, 종속 개념의 수, 특성, 위계, 밀도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숲교육'에서 '자연(숲)'의 개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생명', 위계는 '치유'와 '생명', 특성화 점수는 '숲 체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4.80의 범위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자연(숲)', 위계는 생명과 자연(숲), 특성점수는 '자연(숲)'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6.78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과 지식수준의 문제점 진단 및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숲유치원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사전교육과 재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숲교육이 올바르게 실천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을 기대한다.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ant Class Childcare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 김순애;김수향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57-8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배경 변인 분석을 통해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여건 개선 및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경상북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반 보육교사 488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11일부터 2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전반적으로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효능감이 개인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은 개인변인인 연령과 결혼여부에서, 근무여건 변인인 어린이집 유형, 평균근무시간, 월평균보수, 반 원아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역시 전반적으로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경제, 학부모, 업무, 원아, 개인, 행정업무 순이며, 가장 낮은 요인은 동료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개인변인 연령, 결혼여부, 경력, 이수한 연수회수에서, 근무여건 변인은 어린이집 유형, 평균근무시간, 반 원아수, 월평균보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해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여건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에 관한 연구 (Relations of Self-esteem to Teaching Aptitud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정원;전선옥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7-18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의 전반적인 양상을 파악하고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교직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와 경기도에 소재한 3년제 영유아교사 양성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44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에 관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들 중 타인과의 관계와 관련된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존중과 관련된 자아존중감은 자아존중감의 다른 하위요인들과 비교해볼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적성의 하위요인들 중 특히 수용성 및 민감성과 관련된 교직적성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정서와 관련된 교직적성이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교직적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예비유아교사의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와 관련된 자아존중감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유아교사 교육과정에서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by MBTI Personality Types of Infant Childcare Teachers)

  • 강원미;문혜련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7-158
    • /
    • 2017
  • 본 연구는 영아반 보욕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전분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반 보육교사 35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 중 판단형(J)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높은 전문성 인식을 보이며, 인식형(P)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낮은 전문성 인식을 보였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외향형 교사가 내향형 교사보다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감각형과 직관형에 따른 전문성 인식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고형 교사가 감정형 교사보다 '공정성'과 '전문단체'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판단형 교사가 인식형 교사보다 '사회 경제적 지위', '사회 봉사성',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 채용시 MBTI 성격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반과 영아반 중 더 맞는 역할을 제공할 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과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정서적 전문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ger-Expression and Ego-Resilience on Teaching Efficacy)

  • 강현영;서현아;엄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93-30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 및 교수효능감을 알아본 후, 각 변인에 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더불어 예비유아교사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12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분노표현, 자아탄력성, 교수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한 후,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노표현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은 낮아지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대한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 전체가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 지역 일부 보육교사의 식행동 및 급식 지도 활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s of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heir Meal Attitude Education during Meal Time in Jeonju Area of Korea)

  • 노정옥;이숙인;이진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42-351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behavior of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heir meal attitudes during meal time in Jeonju are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66 day-care center teachers who worked in a national(public) or private day-care center. The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 12.0. All subjects were women, and 64.7% were married(p<0.001), over more than 60% were junior college graduates(p<0.05), and 73.7% had salaries greater than 1,000,000 won(p<0.001). The breakfast skipping ratio of the subjects was very high, and about 66.5% of the respondents had irregular meals. The snack intake ratios of the subjects in private day-care centers were higher than the subjects in national(public) day-care centers(p<0.001). Approximately 56%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education about eating is very important for providing balanced nutrition to young children. About 84% of subjects had no experience with the continuing-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p<0.01), and they wanted to know more about balanced nutrition. The meal attitude education score during meal time was $4.53{\pm}0.36$. The relationship between meal attitude education and the dietary behavior of day-care teach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 "frequency of overeating"(p<0.05) and "self-recognition of eating habit"(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ay-care center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manage meal attitud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provide good nutrition for themselves.